콘텐츠목차

용단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340
한자 龍-
영어음역 Yongdanji
영어의미역 Yongdanji Faith
이칭/별칭 안용단지,바깥용단지,쌀용단지,꺼칠용단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명자(민속)

[정의]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모시는 가신신앙 형태 중 하나.

[개설]

용단지는 용(용신, 용왕)을 위하는 신앙으로, 풍년과 집안의 평안을 빌면서 쌀이나 나락을 넣어 부엌이나 창고 또는 다락에 모시는 단지이다. 이를 안용단지, 바깥용단지, 쌀용단지, 꺼칠용단지라고도 한다. 용단지는 신체(神體)의 모양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원래 용신은 바람·비·물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하늘과 땅을 오가는 전능한 신이다. 가신으로 모시는 용신은 농경신·재산신으로 받들어진다. 그밖에 조상신으로 보기도 한다. 재산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또 용과 뱀을 동일시하는 신앙형태를 통해 업신 또는 터주신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안동 사람들은 용단지를 터주신이라고도 하며, 업신과 동일한 개념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용단지는 용이 드는 자리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용이 든다는 말은 재산이 들고, 가정을 잘 수호해 준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그 자리는 곡물이 드나드는 부엌·고방, 또는 돈궤를 두는 다락 등 이라고 말한다. 용단지에는 쌀이나 나락을 담아둔다. 안동 지역에서 용단지를 섬기는 까닭은 농경신인 용신을 받듦으로써 농사의 풍작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또한 용단지가 집을 지켜주고, 집안의 재물을 보살펴주며, 아울러 집안을 평안하게 해준다고 믿기 때문에 용단지를 섬기는 것이다.

용신은 전국적으로 받들어지지만 ‘용단지’라는 명칭은 주로 경상북도에서 나타난다. 1938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석전·기우·안택』에 안동 지방의 용단지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농가 각호에서 농번기 또는 명절에 성주 또는 용단지에 청수나 음식물·햇곡·햇보리를 신에게 올려 그 해의 풍작을 빈다. 또 복날[三伏]에는 경지(耕地)에서 제를 올리는데, 이때는 떡류를 한지에 싸서 밭 가운데 있는 나뭇가지에 꽂아놓고 풍작을 기원한다.”는 내용이다.

안동 지역에서는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집에서 안용단지와 바깥(꺼칠)용단지가 전승되는 사례가 발견된다. 안용단지에는 도정한 쌀을 넣고, 꺼칠용단지에는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나락을 넣어둔다. 특히 가뭄이 들면 곡물을 갈아 넣으며 정성을 드리기도 한다. 오늘날 농사를 짓지 않는 가정에서 아직도 용단지를 위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임동면 고천2리의 사례]

용단지는 신체의 모양을 따서 붙인 이름으로 신의 이름과 신체 이름이 같다. 이는 다른 가신의 경우에도 해당되어, 삼신을 신체 이름인 ‘삼신바가치(삼신바가지)’라고도 한다. 용단지 안에는 쌀이나 나락을 넣는다. 용단지 안에 들어있는 쌀이나 나락은 1년에 한 번씩 햅쌀이 날 때 처음 나온 수지쌀로 갈아준다. 예전에는 용단지를 신체와 함께 모셨으나 요즘은 신체가 없이 건궁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직도 안동 지역에서는 용단지의 전승력이 강하다. 용단지에 대한 의례는 대체로 각 명절과 햅쌀이 날 때이며, 이때에는 밥과 물을 올린다. 다만 정월 명절 때에는 쌀 대신 떡국을 올리며 동짓날 팥죽을 용단지에 올리기도 한다.

[임하면 금소리의 사례]

약 40년 전 금소리의 주민 서순화는 뿔이 난 큰 구렁이가 매일 방문 앞에 와 있는 꿈을 꾸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제보자가 무수쟁이[무당]에게 물어보니 집안에 용을 모셔야 한다고 하였다. 무당은 용을 모시기 좋은 날을 잡아주었다. 그러면서 목화를 잣은 실 한가락, 똑같은 모양의 단지 한 쌍, 그리고 강변에 가서 단지 뚜껑으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돌을 주워 놓으라고 했다.

용을 모실 때에는 금소마을 옆으로 흐르는 길안천으로 갔다. 강가에서 무당이 악기를 두드리며 경을 읊었다. 얼마 뒤 목화 실로 강가에 있던 돌을 묶은 뒤 실가락을 풀어 집까지 왔다. 무당은 실가락을 풀며 집에 오자 실을 끊고, 준비한 한 쌍의 단지에 각각 쌀과 나락을 넣었다.

쌀을 넣은 단지는 암용이라고 하고, 나락을 넣은 단지는 꺼칠용(거칠용) 또는 숫용이라고 한다. 용단지 안에 든 쌀과 나락은 가을에 햅쌀이 나면 쏟아내고 다시 햅쌀을 넣는다. 숫용단지에 든 나락은 도정해서 암용에 들었던 쌀과 함께 밥을 지어 가족들끼리 먹는다. 이때 궂은 사람이 집에 찾아오면 밥을 해먹지 않는다. 용단지에는 설과 가을 햅쌀이 날 때 “다오는(다가오는) 농사짓거들랑 어예든동(어떻게든) 잘 대그르(잘 되도록) 해주소.”라며 비손한다.

금소리의 주민 황봉난 댁에서는 현재 옛 집을 부숴버리고 가건물에서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가건물의 북쪽 바깥에 용단지를 나란히 두었다. 용단지는 암용과 숫용 한 쌍을 모시는데, 쌀을 넣은 단지를 쌀용이라 하고 나락을 넣은 단지는 꺼칠용이라고 한다. 용단지를 모시게 된 동기는 점쟁이가 용을 모셔야 집안 일이 잘 된다고 했기 때문이다. 용단지에는 정월 대보름에 밥을 떠놓고 “일 년 열두 달로 우리 농사 잘 대그로(잘 되도록) 해달라.”고 빌며, 가을에 단지 안에 든 쌀을 낸다고 한다.

[북후면 신전리의 사례]

용단지는 보통 안용과 꺼칠용 2개를 모신다. 안용에는 쌀을 넣는데 쌀용이라고도 하며, 꺼칠용에는 나락을 넣는다. 용단지를 하나만 모시는 집도 있는데, 이 경우는 꺼칠용을 모신다. 꺼칠용 안에 넣은 나락은 햇나락이 날 때 갈아주고, 그 나락은 집안 식구들이 찧어서 밥을 지어 먹는다. 또 안용에 들어있던 쌀은 음력 5월에 집안 어른들이 손 없는 날을 택하여 밥을 지어 집안 식구들끼리 먹는다. 이렇게 쌀용의 쌀을 먼저 꺼내 먹는 까닭은 우선 그때쯤이면 쌀 바구미가 생겨서 더 이상 쌀을 보관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뿐만 아니라 옛날에는 그때쯤이면 양식이 다 떨어지기 때문에 쌀용단지 안의 쌀로 식량을 해결하기도 했다.

설과 추석에 용단지에는 크게 상을 차리지 않고 물(정화수)과 밥을 떠놓는데, 이때 숟가락은 놓지 않는다. 숟가락을 놓지 않는 이유는 점쟁이가 그렇게 하라고 시켰기 때문이다. 동지에는 팥죽을 올리고,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생기면 물을 떠놓고 빈다. 신전리의 주민 장숙남 댁에서는 돌아가신 시부모님을 용으로 모신다. 안용은 시어머니, 꺼칠용은 시아버지를 모신 것이다.

시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셔서 꺼칠용으로 들어와 용단지가 하나였지만,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역시 용으로 들어오셔서 용단지가 2개가 되었다.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부부 용단지를 섬기고 있는 것인데, 원래 용단지는 2개를 같이 놓아야 좋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