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088
한자 懲毖錄
영어공식명칭 War memoirs by Yu Seongryong
영어음역 Jingbirok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6[종가길 69]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안병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9년 11월 12일연표보기 - 징비록 국보 제13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징비록 국보 재지정
성격 잡기류|실록
관련인물 류성룡(柳成龍, 1542~1607)
저자 류성룡(柳成龍, 1542~1607)
저술연도/일시 1598년연표보기
편찬연도/일시 1600년경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647년연표보기
권수 16권
책수 6책
사용활자 목판본
가로 20.5㎝
세로 29.7㎝
소장처 충효당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6[종가길 69]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정의]

조선 중기 안동 출신 문신 류성룡이 임진왜란 동안에 경험한 사실을 기록한 책.

[편찬/발간경위]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종식된 뒤 조정에서 물러난 류성룡이 전시 정국의 최고 책임자로서 전쟁의 발생과 당시의 정국 상황, 조정의 대응 등을 회고, 반성하면서 기술한 저술이다. 징비록은 1647년 류성룡의 외손 조수익(趙壽益)이 경상도관찰사로 있을 때 목판본 1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 후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조선사편수회가 충효당 소장본인 필사본을 조선사료총간 제11집으로 영인하였고, 1958년에는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이 『서애집』을 영인할 때 부록으로 함께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본서의 저본은 충효당 소장본이다.

[형태]

16권 6책이며, 목판본이다. 계선 형태는 이어진 계선이다.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크기는 가로 20.5㎝, 세로 29.7㎝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16권을 요약하면, 권1~2는 전쟁의 원인 및 전쟁의 상황을 서술한 것으로 이 부분이 징비록의 중심 부분이다. 권3~5는 『근폭집(芹暴集)』으로, 류성룡이 작성하여 국왕에게 올린 차자(箚子)와 계사(啓辭)들을 묶었다. 권6~14는 『진사록(辰巳錄)』으로 전쟁기의 각종 서장(書狀)들이고, 권15~16의 『군문등록(軍門謄錄)』은 1595년에서 1598년 사이 류성룡이 도체찰사로 재임 중의 각종 유문과 이문들을 모은 것이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때 전란을 총괄하였던 수상이 직접 남긴 실록으로서, 임진왜란 연구에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1969년 11월 12일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보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신** 징비록은 1차사료인가요 2차사료인가요??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징비록은 원사료이므로 1차 사료에 해당합니다.
2016.11.0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