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산. 아기산은 태백산(太白山) 지맥인 일월산(日月山)이 뻗어내려 남쪽에 우뚝 솟구친 산으로 임동면에서 가장 높은 진산이다.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거의 모든 지역이 임하호(臨河湖)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의 일부만이 육로로 연결되어 있어 마치 호수 한가운데 떠 있는 섬처럼 보인다. 산의 이름은 한자로 아기산(鵝岐山) 또는 아기산(峨岐山)으로도 표...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산. 아기산은 태백산(太白山) 지맥인 일월산(日月山)이 뻗어내려 남쪽에 우뚝 솟구친 산으로 임동면에서 가장 높은 진산이다.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거의 모든 지역이 임하호(臨河湖)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의 일부만이 육로로 연결되어 있어 마치 호수 한가운데 떠 있는 섬처럼 보인다. 산의 이름은 한자로 아기산(鵝岐山) 또는 아기산(峨岐山)으로도 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아이들이 입어 온 옷. 안동에서 아이들은 어른과 마찬가지로 저고리와 바지 혹은 치마를 입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민가에서는 6~7세가 되도록 저고리만 입혀 키웠다. 돌복과 같은 의례복은 집안마다 풍습이 달랐으며, 돌이지만 특별한 옷을 입히지 않는 집도 있었다. 1. 출생복 안동에서는 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처음으로 ‘이란저고리’라는 배냇저고리를 입힌...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에 있는 법정리. 아틈실[阿谷] 아래쪽에 있으므로 하아리·아래아틈실이라 하였다. 자연마을인 남짓골[南池谷]은 남쪽에 못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샘숫골은 약 300년 전 한발이 심하였을 때 식수가 없어 땅을 파니 많은 물이 나와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개너머는 고개 너머에 마을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낙동강에 인접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채소가 잘되기로 손꼽...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에 있는 법정리. 고일 아래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랫고일·하고곡·하고동이라고도 한다. 고일은 고상동(古上洞)과 고하동(古下洞)을 아우르는 이름으로, 골짜기가 ‘날 일자[日]’처럼 생겨서 붙여졌다. 자연마을인 갈골[葛谷]은 칡이 많이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새터는 조선 선조 때 선비 권익상(權益相)이 피난 와서 새로 터를 잡고 마을을 이루었다 하여...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서 부르는 뒷소리에 ‘아리랑’이 따라 붙는 가창유희요. 「아리랑」은 전국에 널리 퍼져 있는 우리 민족 공유의 통속민요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지역적 특성을 지닌다.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서 부르는 「아리랑」은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밀양아리랑」처럼 특별한 지역적 성격을 지니고 있지 않다. 어느 지역에서나 널리 불리는 아리랑 가락으로...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요원(遙原)·아몽(阿蒙), 호는 몽재(蒙齋).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아버지는 군기시첨정을 지낸 이준(李寯), 어머니는 봉화금씨(奉化琴氏)로 훈도 금재(琴梓)의 딸이다. 아내는 안동권씨이다. 동생은 이영도(李詠道)이다. 이안도가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아내인 권씨 부인이 시동생 이영도의 아들 이억(李嶷)을 양...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 안상학의 네 번째 시집. 『아배 생각』은 한국작가회의 안동지부 사무국장으로 활동하며 꾸준하게 작품 활동을 해오고 있는 안상학의 네 번째 시집이다. 2008년 애지에서 간행되었다. 전체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서에 이어 시의 주제를 정리한 홍용희의 「질박한 서정」으로라는 글이 들어 있다. 제1부는 청년기의 상처와 방황이 아버지와의 대화를...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시중(時仲), 호는 아산(鵝山). 아버지는 권재우(權載祐), 어머니는 의성김씨(義城金氏)로 김희발(金熙發)의 딸이다. 권재성(權載成)에게 입양되었다. 권행하는 류치명(柳致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평생을 문수산(文殊山) 아래에 띠집을 짓고 저술과 독서만 했으며 과거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특히 예(禮)에 밝아 『상변집요(常變...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아이들이 입어 온 옷. 안동에서 아이들은 어른과 마찬가지로 저고리와 바지 혹은 치마를 입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민가에서는 6~7세가 되도록 저고리만 입혀 키웠다. 돌복과 같은 의례복은 집안마다 풍습이 달랐으며, 돌이지만 특별한 옷을 입히지 않는 집도 있었다. 1. 출생복 안동에서는 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처음으로 ‘이란저고리’라는 배냇저고리를 입힌...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 채의 건물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이루어진 공동주택. 우리나라에 아파트 주거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서울 서대문에 풍전아파트가 건립되면서부터이다. 광복 후에는 종암아파트(1959)를 시초로 하여 1960년대부터 아파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2년 주택난 해결을 위해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면서 아파트 건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 채의 건물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이루어진 공동주택. 우리나라에 아파트 주거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서울 서대문에 풍전아파트가 건립되면서부터이다. 광복 후에는 종암아파트(1959)를 시초로 하여 1960년대부터 아파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2년 주택난 해결을 위해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면서 아파트 건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 채의 건물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이루어진 공동주택. 우리나라에 아파트 주거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서울 서대문에 풍전아파트가 건립되면서부터이다. 광복 후에는 종암아파트(1959)를 시초로 하여 1960년대부터 아파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2년 주택난 해결을 위해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면서 아파트 건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아헌(啞軒). 할아버지는 장례원사의(掌隷院司議) 김농중(金農中)이고, 아버지는 산음현감 김대현(金大賢)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수의부위(守義副尉) 이찬금(李纘金)의 딸이다. 김응조(金應祖)는 1587년 안동(현 영주시)에서 태어났다. 17세 때 류성룡(柳成龍)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에 있는 시대 미상의 절터. 『경북마을지』와 『안동의 지명유래』에 “대밭골에서 서북쪽 골짜기에 악심사(嶽深寺·岳心寺)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에 그 마을은 악심(岳心·嶽深), 고개는 악심고개[嶽深峴]라 불렀다고 한다. 악심의 북쪽에 있는 마을은 악대(嶽垈)라 하여 악심사의 옛터이며, 이 터에 화강석으로 된 삼층석탑이 있는데 신라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와 풍천면 하회마을 일대에 있는 평야. 풍산평야는 풍산읍 일대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 듯 하다.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안동은 경상북도 북부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영양·청송,...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안교리의 자연마을 중 역마 또는 역촌(驛村)은 1530년 경 홍씨(洪氏)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1800년 경 소산동(素山洞)에 있던 역을 이곳으로 옮겨와 지어진 이름이다. 어란(魚卵) 또는 우안(愚安)은 마을 앞에 갈대늪이 있어서 고기가 모여 알을 낳고 부화하였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새역마 또는 신역(新驛)은 1800년 후반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두 기의 선돌. 선돌은 선사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세운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 수가 적은 편이지만,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대부분 단독으로 마을 어귀 평지나 낮은 구릉 위 또는 비탈에 세워졌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고인돌과 함께 세워진 경우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두 기의 선돌. 선돌은 선사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세운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 수가 적은 편이지만,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대부분 단독으로 마을 어귀 평지나 낮은 구릉 위 또는 비탈에 세워졌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고인돌과 함께 세워진 경우도...
-
조선시대 안동 지역에 설치된 교통 및 통신 기관. 역(驛)은 신라 487년(소지왕 9)에 처음 시작되었다고 하며, 고려 성종 때 더욱 구체화되었는데, 이때 전국 22도(道)에 525개소의 역이 구성되었다. 고려 1390년(공양왕 20) 중앙의 외방지역 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중앙관을 파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역승제(驛丞制)를 조준(趙浚) 등 개국공신들의 건의에 따라 시행하...
-
고려와 조선시대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역 관리 체계. 역은 중앙과 지방간에 왕명과 공문서를 전달하고, 진상(進上)·공부(貢賦) 등의 공공 물자를 운송하며, 사신 왕래에 따른 영송(迎送) 지대(支待)와 숙박 편의를 제공하고 통행인을 검문, 규찰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역은 통신·숙박 기능 및 역마 제공, 운송의 기능과 지역 방어를 수행함으로써 중앙집권적 통치기구...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안기동(安奇洞)은 조선시대에 안기역(安奇驛)이 있었다고 하여 ‘안기역마’ 또는 ‘안기골’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안기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인 안기동과 이천동은 조선시대에 안동부(安東府) 부내면(府內面)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안기동의 경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기동이 되었고, 1947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일부를 갈라서 운안...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함안조씨 동성마을. 조선시대에 안기역(安奇驛)이 있었으므로 안기동이라고 하였다. 조선 세조 때 참지공 조욱(趙昱)이 안동향교에 교수로 부임한 뒤 후손들이 안기동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이 이루어졌다. 현재 안기동에 세거하고 있는 함안조씨는 대부분 참지공파에 속한다. 마을 뒤쪽에 학(鶴)이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가학산(駕鶴山)이 있고, 가학산에는 골짜...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함안조씨 동성마을. 조선시대에 안기역(安奇驛)이 있었으므로 안기동이라고 하였다. 조선 세조 때 참지공 조욱(趙昱)이 안동향교에 교수로 부임한 뒤 후손들이 안기동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이 이루어졌다. 현재 안기동에 세거하고 있는 함안조씨는 대부분 참지공파에 속한다. 마을 뒤쪽에 학(鶴)이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가학산(駕鶴山)이 있고, 가학산에는 골짜...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상가형 시장. 안기시장이 언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안기동에서 오랜 동안 거주하면서 통장 일을 맡고 있는 주민 조상웅의 말에 따르면 안기시장은 20여 년 전 안기동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상가를 지어 분양하면서 한동안 시장으로서 기능하였다고 한다. 2009년 현재 안기시장은 도로가 좁아 차량 통행이 불편한 데다...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함안조씨 동성마을. 조선시대에 안기역(安奇驛)이 있었으므로 안기동이라고 하였다. 조선 세조 때 참지공 조욱(趙昱)이 안동향교에 교수로 부임한 뒤 후손들이 안기동에 정착하면서 집성촌이 이루어졌다. 현재 안기동에 세거하고 있는 함안조씨는 대부분 참지공파에 속한다. 마을 뒤쪽에 학(鶴)이 앉아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가학산(駕鶴山)이 있고, 가학산에는 골짜...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원우(院宇). 안동 관왕묘는 태화동 서악사(西岳寺) 옆 북동쪽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산등성이가 완만하게 낮아지면서 평지와 만나는 해발고도 115m 지점이다. 앞쪽에는 경덕중학교가 있다. 1598(선조 31) 명나라 장수 진정영도사(眞定營都事) 설호신(薛虎臣)이 세웠다. 당시에는 안동 성내동 목성산(木城山)에 있는 향교 맞은편에 있었는...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도요지. 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는 사기편이 산적된 상태의 분청사기 요지이다. 분포 면적은 남북 길이 약 30m, 폭 20m, 높이 약 4m이다.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북쪽 100여㎞ 지점 야산 기슭에 있다. 안동 광음동 분청사기요지는 야산 기슭의 완만한 남쪽 사면에 점점이 있는 듯하며, 당시 사용되었던 백토 원료들과 구워진 흙덩이들...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광흥사에 있는 조선 전기 사경. 사경(寫經)이란 공덕 수행을 위한 신앙의 차원에서 정성들여 경문을 쓰고 불경을 요약한 변상(變相)을 그려 장엄하게 꾸민 것을 총칭한다. 『안동 광흥사장 금자사경』은 광흥사 응진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5호) 내에 있는 나한상 복장물(服藏物)로 추정된다. 개인적 발원에 의해 쓰였으나 연기를 기록하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에 있는 측백나무 숲. 측백나무는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고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잎은 비늘같이 생기고 마주나며 좌우의 잎과 가운데 달린 잎의 크기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세 잎이 W자 모양을 이룬다. 꽃은 4월에 피고 일가화(一家花)이다. 수꽃은 지난해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는데, 10개의 비늘조각과 2~4개의 꽃밥이 들어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시에서 예천군으로 가는 국도 중간에 위치한다. 풍천면 좌측의 안동 하회마을 진입로에 약간 못 미친 지점에서 우측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야산을 등지고 자리 잡고 있다. 안동 권성백 고택은 현 소유자인 권영대의 부친이 매입한 것으로 구체적인 유래는 알 수 없다. 건축 양식으로 보아 1800년대 후반에 지어진 것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귀봉 종택은 의성김씨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의 종택이다. 1660년(현종 1)에 김수일의 현손부인 창녕조씨가 가묘와 함께 건립하였으며, 1888년(고종 25)에 김주병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고샅이 열린 골목 끝에 있는 대문채를 들어서면 ‘口’자형의 정침이 있는데, 대문채와 정침 사이에는 넓은...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에 있는 수령 500년의 굴참나무. 굴참나무는 흔히 도토리나무 또는 참나무로 불리며, 옛날부터 가장 좋은 숯의 재료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줄기에 코르크가 잘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향의 건조한 곳이나 돌이 많은 땅에서도 잘 자라며, 특히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많이 분포한다. 굴참나무의 껍질은 코르크로 이용되고...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모전석탑.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의 이름 없는 절터에서 발견된 탑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이다. 대사1리 입구의 낙동강 지류를 건너면 고갯길이 나오는데, 이 강을 건너 고갯길을 넘으면 대사리가 보인다. 탑은 고개 동쪽에 돌출한 해발 380m의 천지갑산(天地甲山) 중턱 자연석 위에 있다. 자연석인 바닥돌 위에 기단...
-
경상북도 안동시 대원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탱화. 「안동 대원사 소장 탱화」는 대원사 내에 소장된 3폭의 탱화로, 신중탱화(神衆幀畵)·후불탱화(後佛幀畵)·지장탱화(地藏幀畵) 3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중탱화는 정방형에 가까운 화면에 상하 2단 구도로, 상단에는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을 위시한 천부(天部)와 주악 선신이 배열되어 있고, 하단에는 위태천을 위시한 천룡팔부중(天龍八...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전탑.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의 현재 높이는 8.85m이다. 그러나 『영가지』에 칠층전탑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본래는 이보다 훨씬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중수 때 규모도 작아지고 형태도 많이 변한 것으로 보인다. 기단은 따로 없으며 장대석을 계단식으로 3단 쌓고 그 위에 바로 벽돌의 탑신을 올렸다. 초층 남면에는 작은...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마령동 기와까치구멍집은 남평문씨(南平文氏) 종택이었다. 원래는 안동시 임동면 마령리 이식골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이식골은 대곡천을 사이에 두고 동향한 마을을 양지마(양지마을)라 하고 서향한 마을을 음지마(음지마을)라 하였는데, 안동 마령동 기와까치구멍집은 양지마의 평지 부분에 있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막곡동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1.72m이다. 이중기단을 갖추었으며 기단부에 다소 교란(攪亂)이 있지만 3층 몸체[옥신]까지는 큰 파손 없이 잘 유지되고 있다. 산의 상하(上下)에는 지금 정자가 있지만 원래는 성산사(城山寺)라는 절터로 전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 산106...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만대헌은 옥봉(玉峰) 권위(權暐, 1552~1630)가 1587년(선조 20)에 강학(講學)과 후학을 육성하기 위해 건립한 가옥이다. 권위는 1601년(선조 34) 과거에 급제하여 예조좌랑 등을 역임했다. 효성이 지극하고 인품이 뛰어나 주위의 칭송을 받았다. 안동 만대헌은 현재 권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도계서원(道...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 모운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탱화. 「안동 모운사 지장탱화·제석탱화」는 안동 모운사 백화전(白華殿)에 봉안되어 있는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한 그림이다. 모운사는 창건 연대나 내력에 대하여 전하는 바가 없으나 의상조사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1842년(헌종 8)에 백화전을 중수하였다는 사실이 「모운사중수기(暮雲寺重修記)」의 기록에 나오며, 『한국사찰전서...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열린 안동 출향작가 초청 문학 행사. 경상북도 안동시가 주관하는 출향작가 초청 행사는 안동 지역과의 소중한 인연을 가진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고향과 문학을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행사이다. 2008년 6월 14, 15일 양일간 안동시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안동지부의 주관으로 삼태사 잔디마당에서 행사를 개최하였다. 전국 어디에서 활동하더라도 안동 출신, 안동 거주...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석탑리에 있는 석회암 동굴. 안동 미림동굴은 북후면 학가산(882.0m) 동쪽 기슭인 석탑리[개랄마을] 미림골에 위치한 입구와 통로가 매우 협소한 동굴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36호이다. 1982년 1월 20일 오소리 사냥을 나섰던 주민에 의해 발견된 후 공개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석탑리 미림골에 위치하여 안동 미림동굴이라 한다. 총 길이는 350m 정도이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백운정 숲과 개호송 숲. 백운정(白雲亭)은 귀봉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이 아버지 청계 김진(金璡)으로부터 땅을 받아 1568년(선조 1)에 세운 정자이다. 백운정 숲과 개호송 숲은 의성김씨 내앞[川前] 문중과 관련된 숲인데, 입향조 김만근(1446~1500)이 처음 심은 것으로 전한다. 이후 유실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김진의...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보광사에 있는 고려 후기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보광사는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산중턱에 있다. 자세한 창건 시기나 연혁은 알 수 없으며,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1977년 지금의 위치 아래쪽에서 옮겨 세웠다.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모신 관음전을 본전으로 하고, 천불전·삼성각·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寶光寺 木造觀音菩薩坐像)은 높...
-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에 있는 고려 후기 목조 불상. 안동 봉정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은 봉정사 화엄강당(華嚴講堂)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이다. 봉정사의 부속 암자인 지조암에 있던 것을 봉정사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협시불로 모셔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로서는 관음보살상만이 전해지고 있어 알 수 없다. 머리에는 화관(花冠)을 쓰고 있으며, 머리카락 일부가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상체는...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는 수령 6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자라서 대체로 둥근 형태를 보인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를 맺으며 10월에 익는다. 줄...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사월동 초가토담집은 원래 안동시 월곡면 사월리에 있었는데 안동댐 건설로 1976년 6월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 안동 사월동 초가토담집은 안동 지방의 농가로서 기둥을 세우지 않고 판축 방식으로 다진 토담이 주 구조체가 되고, 목재는 도리, 서까래, 문틀 등에만 사용되었다. 원래는 앞으로 튀어나온 외양간이 정지 옆으로 이어져...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안동 삼산정은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2~1761)이 1750년(영조 26)경에 지어 학문을 연마하고 후학을 가르치던 정자이다. 류정원은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홍문관수찬, 사간원교리 등을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영조의 총애와 채제공의 추천으로 장헌세자에게 강의하기도 하였다. 한편 지방관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고가 안동 상여집은 상여와 장례에 쓰이는 용구들을 보관하는 곳이다. 이를 ‘곳집’이라고도 한다. 안동 상여집은 초상이 났을 때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조하여 공동으로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조직한 상여계에서 관리한다.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속칭 안망실) 안골에 접어드는 마을 어귀인 747번지[망호한길 76]에 있다. 150년 전인 19...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서부동 송곡 고택은 도산면 지역에 세거하는 평산신씨 송곡파의 종택이다. 19세기 중엽에 예안면에 건립되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5년 현재 위치로 옮겼다. 산자락의 완경사지에 남서향으로 정침이 앉아 있고, 그 오른쪽에는 행랑채가, 뒤편 왼쪽 높은 곳에는 별당이 배치되어 있다. 별당 앞에는 연못이 하나 있다. 정...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낭당. 안동 서지리 성황당은 마을의 수호신을 모셔 놓은 곳으로, 마을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공동체신이 있는 성스러운 곳으로 여기고 있다. 이를 ‘서낭당’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돌무더기와 나무로 되어 있다. 안동 서지리 성황당은 마을의 나지막한 야산 솔숲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거대한 자연석을 쌓아 놓은 삼첩석(三疊石), 2...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석빙고. 석빙고는 조선시대에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돌로 만든 창고이다. 특히 안동 석빙고는 낙동강에서 많이 잡히는 은어를 국왕에게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1737년(영조 13)에 지어졌다. 『예안읍지(禮安邑誌)』에 현감 이매신(李梅臣)이 돌로 얼음 창고를 축조하여 매년 지붕을 잇는 수고를 덜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매신이 예...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동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 석조 사자.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한때 안동향교(安東鄕校)에 있었고, 현재는 안동대학교박물관에 있다. 안동 석사자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 쌍의 석조 사자상이다. 용도는 알 수 없으며, 길이가 약 1m이고 모두 앞다리와 뒷다리가 잘려나가고 없다. 몸을 길게 뻗은 자세의 사자 조각은 법주사 쌍사자석...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수령 400년의 향나무.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지방 이남 및 울릉도를 비롯하여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상나무,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향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목재를 가공하여 제사 때 피우는 향으로도 이용한다.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안동 석수암 향나무는 높이 12m, 가슴높이 둘레 4m이다.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향나무의 일종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석탑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석탑의 형태는 평면이 정사각형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계단식으로 축소되는 5층의 다층 탑형을 취하고 있다. 석재는 주변에서 채취 가능한 편마암의 크고 작은 파편을 사용하였다. 각 층마다 비교적 크고 반듯한 판돌 4장으로 면을 이루게 한 뒤, 그 안을 막돌로 채워 넣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석탑의 축조 시기는 고려나 조선 전기로 추정되나...
-
경상북도 안동시 석탑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안동 석탑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은 석탑사의 원통전(圓通殿)에 봉안되어 있으며, 2005년 11월 7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안동 석탑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은 총 높이 42㎝, 어깨 너비 20㎝, 무릎 너비 26.7㎝의 소형 불상이다. 불상의 형태는 큰 얼굴과 평평한 신체, 짧은 목 등 조선 후기의 모습을 잘 보여...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안동 세덕사는 행정(杏亭) 탁순창(卓順昌, 1495~1593)의 6대조 경렴정 탁광무(卓光茂)와 5대조 탁신(卓愼)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1699년(숙종 25)에 세운 사당이다. 탁순창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임진왜란 때 훈련대장을 역임하였다. 건물은 정문을 비롯하여 강당인 추원당(追遠堂)과 사당인 세덕사 등 모두 3동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소산동 동야 고택은 안동김씨 19세손인 김중안(金重安, 1639~1705)이 지었다고 하나 건축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동야(東埜)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이 집에서 태어나 수학하였다. 김양근의 본관은 안동으로,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만녕전별검(萬寧殿別檢), 전적(典籍), 병조낭관(兵曹郎官) 등을 지냈...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안동 소호헌은 조선 전기 문신 함재(涵齋) 서해(徐嶰, 1537~1559)가 서재로 쓰기 위해 지은 별당이다. 서해의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정지(挺之), 호는 함재(涵齋)이다. 장차 학문을 크게 이룰 것으로 사우(師友)와 향당(鄕黨)의 촉망을 받았으나, 1559년(명종 14) 2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영의정에 증직되었...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는 수령 68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암수딴그루이며, 봄에 피는 꽃은 3㎜ 내외로 관찰하기는 힘들다. 중국에서는 압각수(鴨脚樹)라고 하는데, 잎이 오리발과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학명 가운데 종명 biloba는 ‘두 갈래로 갈라진 잎’을 뜻한다. 은행나무의 수꽃가루는 유일하게 편모를 달고 있어서 스스로 몸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 있는 수령 400년의 소태나무. 소태나무는 산지에서 주로 자라며, 높이 12m에 이른다. 가지에 털이 없고 나무껍질은 누런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꽃은 6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이며 녹색이 도는 적색으로 익는다. 쓴맛을 표현할 때 소태같이 쓰다는 말은 이 소태나무에서 비롯된 것이다.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는 높이...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이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송소 종택은 송소(松巢) 권우(權宇, 1552~1590)의 집이라 전하지만, “숭정기원후사갑자신이월이십이일개기삼월초칠일입주동일상량조성(崇禎紀元後四甲子新二月二十二日開基三月初七日立柱同日上樑造成)”이라 기록되어 있는 안대청 서쪽 대들보의 상량기명에 의거하면, 1824년(순조 24) 개기되었으므로 권우의 종손 종택으로 보는...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안동 송은정은 송은(松隱) 송형구(宋亨久)가 관직에서 은퇴한 1664년(현종 5)에 학문 연마와 향촌 사림과의 교유를 목적으로 건립한 정자이다. 처음에는 이송천변(二松川邊)에 있었으나 송형구의 후손 송인명(宋仁命)이 조상을 추모하고 유업을 계승하고자 1733년 태장리로 다시 옮겨 건립하였다. 정자는 정면 2칸, 측면 1칸 반의...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수령 300년의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는 낙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서 자라며, 중국·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여름에 노란 꽃이 피고, 콩알보다 약간 큰 열매는 둥글고 검으며 윤기가 난다. 열매로 염주를 만들기 때문에 염주나무 또는 보리수라고도 한다. 안동 송천동의 모감주나무는 높이 15m, 가슴높이의 지름은 37cm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바위그림. 바위그림은 동굴 벽이나 자연 암벽에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무늬 또는 동물상 등을 그리거나 새겨 놓은 그림을 말한다. 암각화(岩刻畵), 암화(岩畵), 암채화(岩彩畵)라고도 한다. 바위그림은 구석기시대부터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석기시대를 지나 청동기시대에 전성기를 맞아 활발히 제작되었다. 바위그림에는 선사시대의 생...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바위그림. 바위그림은 동굴 벽이나 자연 암벽에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무늬 또는 동물상 등을 그리거나 새겨 놓은 그림을 말한다. 암각화(岩刻畵), 암화(岩畵), 암채화(岩彩畵)라고도 한다. 바위그림은 구석기시대부터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석기시대를 지나 청동기시대에 전성기를 맞아 활발히 제작되었다. 바위그림에는 선사시대의 생...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안동 수운정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매헌(梅軒) 금보(琴輔, 1521~1585)가 60세에 지은 정자이다. 지금의 건물은 1933년 문중에서 금보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중수한 것이다. ‘수운정’이란 이름은 매헌(梅軒) 금보가 자연 속에서 물과 구름을 벗하며 사우(士友)들과 학문을 논하고 후학을 양성하고자 하는 뜻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사. 안동 숭실재는 풍산부원군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의 묘제를 위해 지어졌다. 류중영은 서애 류성룡(柳成龍)의 부친이며, 중종 때 문신으로 경연관으로서 활약하였다. 안동 숭실재가 위치한 서후면 성곡리 능동의 골짜기는 남향으로 좁직하고 길게 열려 있다. 골짜기의 남쪽 끝은 서후면 소재지와 저전삼거리로 이어지는 2차선의 굽...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사. 안동 숭실재는 풍산부원군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의 묘제를 위해 지어졌다. 류중영은 서애 류성룡(柳成龍)의 부친이며, 중종 때 문신으로 경연관으로서 활약하였다. 안동 숭실재가 위치한 서후면 성곡리 능동의 골짜기는 남향으로 좁직하고 길게 열려 있다. 골짜기의 남쪽 끝은 서후면 소재지와 저전삼거리로 이어지는 2차선의 굽...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안동 시민을 위해 만든 노래. 1963년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안동 시민의 노래」가 작곡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곡가는 유재덕, 작사가는 김학섭이다. 「안동 시민의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낙동강 푸른 줄기 감도는 터에/ 태백산 정기받아 빼어난 인재는/ 겨레의 앞장이다 역사의 주인/ 긍지와 희망으로 오늘을 산다/ 우리는 명예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시습재는 조선 전기 문신인 화산(花山) 권주(權柱, 1457~1505)가 살던 옛 집이었다고 한다. 권주는 1480년(성종 11) 문과에 급제하고 승정원주서를 거쳐 1489년(성종 20)에는 공조정랑으로 요동을 오갔으며, 도승지,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권주가 세상...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전탑.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높이 17m로 국내 최대 규모의 통일신라시대 전탑(塼塔)이다. 전탑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되나, 탑 주위로 민가와 철도가 들어서 있어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명칭에는 신세동에 있는 것으로 되...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 144-2 주택가에 위치한다. 이곳은 조선시대 안기역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서북쪽으로 20m 정도 떨어진 곳에 안동 안기동 석불좌상(보물 제58호)이 있는데, 현재는 좁은 골목을 사이에 두고 다른 집에 있지만 본래는 이 탑과 같은 사찰에 있었을 것이다. 안동 안기동 삼층석탑은 1층 기단 위에 3층의 탑...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안동 안기동 석불좌상은 발견 당시 머리 없이 몸통과 대좌만 있었으며, 불상의 머리는 후대에 시멘트로 새로 복원한 것이다. 『영가지(永嘉誌)』에 따르면 마을 뒤편에 운안사(雲安寺)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 절에 있던 석불로 추정된다. 현재 약사전에 봉안하고 있다. 불상의 높이는 53㎝로, 몸체는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는데, 어깨...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양진당은 160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의 종택이다. 류운룡은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입암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의 장자로서,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진보현감, 사복시첨정, 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겸암집(謙菴集)』...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재사(齋舍)란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서 마련한 살림집으로 현재 영남 지방에 많이 남아 있다. 안동 영양남씨 재사는 문신 남창년(南昌年, 1463~?)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합각마루와 추녀마루의 망와 명문 기록으로 보아 1826년(순조 26)경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창년은 조선 영조 때 문과에...
-
경상북도 안동시 영천이씨 간재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 전적 및 고문서. 안동 영천이씨 간재공파 종중 소장 문적은 영천이씨 간재공파 종중에서 소장해 오던 것으로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 1541~1596)과 그의 아들 이시(李蒔)·이점(李蒧) 및 손자 이영구(李榮久)와 관련된 필사본과 고문서 등이다. 이덕홍의 자는 굉중(宏仲)이며, 본관은 영천이다. 퇴계 문하에 출...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 마을 산자락에 뒷산을 등지고 안채와 사랑채가 좌우로 나란히 앉아 있다. 안동 예안 동간재 고택은 1844년(헌종 10)에 건립한 가옥이다. 처음 평산신씨가 지어 살았는데, 1940년대에 이직호(李直鎬)가 매입하여 부친의 아호를 따 동간재(東澗齋)라 이름 붙였다고 한다. 1975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 안동 옥동 삼층석탑은 2층 기단의 삼층석탑으로 높이 5.79m이다. 탑 주위는 민가가 밀집되어 있어 절터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14로 지정되었다. 2011년 현재 국가 소유로, 관리는 안동시에서 맡고 있다. 하층 기단은 지대석, 하대 중석, 하대 갑석을 모두 다른 돌로 만들었다. 하대 중석에는...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는 수령 7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암수딴그루이며, 봄에 피는 꽃은 3㎜ 내외로 관찰하기는 힘들다. 중국에서는 압각수(鴨脚樹)라고 하는데, 잎이 오리발과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학명 가운데 종명 biloba는 ‘두 갈래로 갈라진 잎’을 뜻한다. 은행나무의 수꽃가루는 유일하게 편모를 달고 있어서 스스로 몸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용수사에 있는 시대 미상의 비석. 안동 용수사 금호비는 용수사 경내에 있으나 본래 용수사 뒷산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용수사는 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동과 예안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사찰이다. 고려 무신 정권 때에 당시 실력자인 최선(崔詵)이 지은 「용수사중창기(龍壽寺重創記)」가 있었으나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으며 탁본만 남아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용수사에 있는 고려 전기 동고. 안동 용수사 대정삼년명 금동고는 1163년(의종 17)에 제작되었다고 하는 용수사(龍壽寺)의 동고(銅鼓)이다. 용수사는 1146년(의종 1) 개창되어 1165년(의종 19)에 용수사라는 사액이 내려졌다. 1165년에 본당과 요사채를 완성하고 목조 도금 불상을 감실에 모셨다. 1178년(명종 8)에 13층 청석탑을 완성...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 『영가지(永嘉誌)』의 고적조(古蹟條)에는 남문 밖의 당간지주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길이는 30여 척이고 굵기는 한 아름 정도이다. 재료는 수철(水鐵)을 사용했고 형태는 대나무와 같은데, 마디가 17개가 있다. 표면은 놋쇠로 처리되었고 꼭대기는 황금으로 모란형을 만들었다. 안동부의 형국이 배가 가는 모양이라 돛대 모양의 기둥을...
-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안동 원촌동 치암 고택은 1910년 나라가 일제에 의해 병탄되자 비분강개하다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난 치암(恥巖) 이만현(李晩鉉)의 옛 집이다. 이만현은 퇴계 이황(李滉)의 후손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를 거쳐 언양현감을 지냈다. 19세기 후반 건립된 안동 원촌동 치암 고택은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기에 이르러 1976년 4월...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위리에 있는 지질시대 나무화석. 안동 위리는 규화목(硅化木, petrified wood) 화석지대이다. 규화목이란 천연나무의 세포 내부나 외부의 공동(空洞)에 주로 실리카(이산화규소)나 방해석(方解石, 탄산칼슘) 같은 광물질이 침투하여 형성된 화석의 일종이다. 안동 위리의 나무화석은 2004년 12월 6일에 경상북도 기념물 제150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의성김씨 종택은 의성김씨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의 종가이다. 김진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영중(瑩仲), 호는 청계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김만근(金萬謹)이고, 아버지는 교위 김예범(金禮範)이며, 어머니는 군수 신명창(申命昌)의 딸이다. 김진은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전통 가옥. 일반적인 농가는 외양간·부엌·안방·윗방으로 ‘一’자형을 이루는 것과 달리, 안동 의촌동 초가도토마리집은 윗방이 중방으로 부엌 한쪽에 붙어 있다. 마치 베틀의 도토마리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도토마리집이라 불리고 있다. 도토마리집은 까치구멍집·봉당집 등과 함께 안동 지방 민가의 독특한 형태이다. 안동 의촌동 초가도토마리집은 본래 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精舍). 안동 이로당(安東 怡老堂)은 호봉(壺峰) 이돈(李燉, 1568~1624)이 학문과 마을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이돈은 자는 광중(光仲)이고, 호는 호봉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601년(선조 34) 명경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사헌부지평, 예조정랑 등을 거쳤다. 1612년...
-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 산2에 위치한다. 보물 제115호 안동 이천동 석불상(일명 제비원석불) 뒤편의 산위 암벽 위에 있는 단층기단의 일반형 삼층석탑이다. 안동 이천동 삼층석탑의 높이는 3.5m이다. 원래 석불상 뒤에 흩어져 있던 탑재를 모아서 복원하였다고 하는데, 기단부와 탑신부(塔身部)의 구성 비례가 맞지 않고 부조화스러워, 각 부...
-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안동 이천동 석불상은 속칭 ‘제비원 석불’이라 불리는 마애불의 일종이다. 서쪽을 향한 높은 암벽에 불신을 얕게 새기고 암벽의 위에 불두를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았는데, 머리 뒷부분은 수직으로 잘려나갔다. 얼굴 위의 머리 부분은 소발(素髮) 위로 육계(肉髻)가 크게 솟아나게 만들었는데 얼굴 부분과 또 다른 돌로 만들어 얹었다. 1963년...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과 누정. 안동 임청각은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29)의 여섯째 아들 이증(李增, 1419~1480)이 건축한 조선 중기의 종택 건물과 이증의 셋째 아들 이명(李洺)이 중종 때 세운 별당형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해 임시 정부의 초대 국무령(國務領)을 지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6-1에 위치한다. 임하면 마을 앞의 논 가운데 둔덕에 서 있다. 이중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4.27m이다. 하층기단의 중석(中石)과 갑석(甲石)은 3매의 판석으로 되어있으며, 중석 면마다 우주와 1주의 탱주가 새겨져 있다. 거의 경사가 새겨져 있고, 경사가 없는 갑석 상면에는 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안동 임하동 십이지 삼층석탑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동 임하리 794번지 마을 논 가운데 있는 3기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소탑(小塔)이다. 안동 임하동 십이지 삼층석탑은 높이 2.74m이다. 2층 지붕돌[옥개석]까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결실(缺失)되었다. 하층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의 마을 남쪽 야산 자락에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올렸는데,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다. 탑의 전체 높이는 520㎝ 정도로 안동 지역의 석탑으로서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기단부는 높이 168㎝이다. 하층 기단은 지대석과 하대중석, 하대갑석으로 이루어졌고, 별다른 장식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임하동 중앙삼층석탑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 뒤편에 조성된 논 가운데에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린 모습인데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다. 탑의 전제 높이는 500㎝ 정도이다. 기단부는 하층 기단만 남아 있고 상층 기단은 새로 만들어 올렸다. 지대석은 6매 내외의 판석으로 이루어졌는데, 일부는 새롭게 교...
-
한국작가회의 안동지부에서 2003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기관지. 1998년 안동의 문학동인 단체인 글밭문학회, 참꽃문학회, 안동주부문학회가 연합문학회로 안동민족문학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2000년 『민족문학』이라는 연합 동인지를 출간하였다. 왕성한 활동을 하던 안동민족문학회는 사단법인 한국작가회의 지부로 승인을 받으면서 발전적으로 해체하여, 2003년 처음으로 기관지 『안동작가』를...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 장태사공 성곡재사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지대한 공을 세운 삼태사의 한 사람인 안동장씨(安東張氏) 장정필(張貞弼)의 제단을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한 집이다. 또 다른 삼태사로는 김선평(金宣平)과 권행(權幸)이 있다. 태조는 김선평을 대광(大匡)으로, 권행과 장정필을 각각 대상(大相)으로 임명하고 고창군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한국의 전통 농업노동요. 「안동 저전동 농요」는 저전동 농민들이 벌모를 심고, 호미로 논을 매던 시기에 노동의 피로를 덜고 신명을 북돋우기 위해 불렀던 이 지방 특유의 노동요이다. 「모찌기 소리」, 「모심기 소리」, 「애벌 논매기 소리」, 「두불 논매기 소리」, 「타작 소리」, 「치야 칭칭」 등으로 이루어진다. 초대 예능보유자 조차기...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전주류씨 삼산종택은 1750년(영조 26)경에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2~1761)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가옥이다. 류정원은 본관이 전주이고, 류석구(柳錫龜)의 아들이다. 1729년(영조 5) 생원시를 거쳐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성균관전적, 자인현감, 통천군수, 부교리, 동부승...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 안동 제산 종택은 조선 후기 학자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 1684~1747)이 18세기 초에 지은 살림집이며, 우곡초당은 김성탁이 1718년(숙종 44)에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김성탁은 의성김씨로 1734년(영조 10)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와 이조판서 조현명(趙顯命)의 추천으로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전탑.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은 높이가 8.65m이다. 탑은 현재 화강석의 석축을 가진 방형 토축 기단 위에 서 있으나 처음부터 이런 형태의 기단이 있었던 것은 아니며, 일제강점기 이후 조사 당시에는 주변보다 약간 높은 나지막한 언덕 위에 탑이 서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처음에는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과 마찬가지로 기단부 없이 지대석을...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은 진성이씨 주촌파(周村派) 종택이며, 불천위로 모셔진 이정(李禎)의 종택이다. 이정은 이황(李滉)의 증조부로, 세종 때 영변판관(寧邊判官)으로서 여진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영변진(寧邊鎭)을 쌓았으며, 선산도호부사를 지냈다. 진성이씨가 안동 풍산 마애(磨厓)에서 이곳 주하, 즉 주촌(周村)으로 옮겨...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수령 500년의 뚝향나무. 뚝향나무는 향나무와 비슷하지만 똑바로 자라지 않고 줄기와 가지가 비스듬히 자라다가 전체가 수평으로 자라는 점이 다르다. 그래서 앉은향나무라고도 한다. 잎에는 바늘잎과 비늘잎이 있으나 바늘잎이 대부분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4월에 피는데, 수꽃이삭은 타원 모양이고 암꽃이삭은 둥글며 지난해의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에 위치한다. 풍산읍이라고는 하지만 읍의 북쪽 한계인 마을의 뒷산 외진 산중에 위치한다.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의 높이는 2.98m이다. 이중기단의 탑으로 하대저석(下臺底石)과 지대석(地臺石)은 매몰되었다. 하대중석(下臺...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행해졌던 편싸움 형식의 대동놀이. 안동차전놀이는 동서로 편을 갈라 수백 명의 장정이 서로 ‘동채’를 밀어 붙여 상대방을 땅에 닿게 하여 승패를 겨루는 놀이이다. 동채싸움, 동태싸움 등이라고도 한다. 동채싸움이라는 이름은 나무로 만든 놀이기구가 동채(동태)인 데서 연유한다. 안동읍(현 안동시내)뿐만 아니라 임하면 금소리(금소동채싸움)와 북후면 옹...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천전리 추파 고택은 추파(楸坡) 김정락(金貞洛, 1830~1893)과 그의 아들 김병식(金秉植, 1856~1936)이 살던 집이다. 후에 김병식은 의성김씨 종손으로 들어갔다.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마을 뒤편 야산에 접하여 앉아 있는 안동 의성김씨 종택 앞 조금 떨어진 평지의 외벌대 기단 위에 남향으로 서 있다. 처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칩와당 고택은 칩와당(蟄窩堂) 이장형(李長亨, 1597~1671)의 가옥으로,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북쪽에 위치하여 서향으로 앉아 넓은 들을 마주하고 있다.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1칸의 일자형 문간채와 정면 5칸, 측면 2칸의 ‘ㄷ’자형 안채가 어우러진 튼 ‘ㅁ’자형 와가이다. 안채 가운데에 마루를 두었고 좌우에...
-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에 있는 조선 중기 사묘. 안동 태사묘는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삼태사, 즉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정필(張貞弼)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건립 당시에는 삼공신 묘(三功臣廟)라 하였는데, 1613년(광해군 5) 중건과 더불어 이름을 태사묘(太師廟)라 개칭하였다. 930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고려 태조와 후백제의 견훤이...
-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안동 태사묘에 있는 고려시대 삼공신 관련 유물.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은 후삼국 통일에 큰 공을 세운 삼태사(三太師)를 모신 사당인 태사묘(太師廟) 혹은 삼공신 묘(三功臣廟)에 보존되어 온 고려시대의 일괄 유물이다. 삼태사는 안동김씨의 시조 김선평(金宣平),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權幸), 안동장씨의 시조 장정필(張貞弼)을 가리키는데, 개별 유물이 삼공신 중...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토계동 계남 고택은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8세손 이귀용이 마을에 터를 잡고 지은 종가로, 건축 연대는 미상이나 양식으로 보아 1800년대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이 하계(下溪)의 남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계남댁(溪南宅)’이라고도 부른다. 본디 사랑 마당 끝에‘ㄱ’자형의 행랑채가 몸채를 감싸듯...
-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향산 고택은 순국의사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옛 집이다. 이만도는 1866년(고종 3)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교리(校理)·응교(應敎)·야산군수 등을 지냈다. 1907년 자헌대부(資憲大夫)의 직첩이 내렸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10년 나라가 일제에 의해 병탄되자 유서를 써 놓고 24일간 단식하다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을 처음 건립한 김상목(金相穆)은 조선 후기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을 지냈으며, 후에 증축한 학남(鶴南) 김중우(金重佑, 1780~1849)는 조선 후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이라는 명칭은 김중우의 아들인 낙애(洛厓) 김두흠(金斗欽, 1804~1877)이 동부승지(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풍산김씨 종택은 안동 풍산김씨의 대종가(大宗家)로, 집의 이름은 유경당(幽敬堂)이다. 안동 풍산김씨 종택을 창건한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 1553~1602)은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사마시에 합격한 후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 산음현감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에는 고향에서 향병을 모아 안집사(按集使) 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고려시대 모전석탑. 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207-1 민가의 돌담 안 자연암반 위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사지(寺址)였을 가능성이 있으나, 표면상으로 절터의 다른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의 기단면석은 자연암석을 이용했기 때문에 암반인 지반과 함께 정제되지 못한 형식이다. 높이는 3.25...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의 속칭 하재골로 불리는 밭 가운데에 있다.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은 1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렸다. 하층 기단이 없어진 것인지 본래 단층 기단으로 세워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으며, 탑 전체 높이는 580㎝ 정도이다. 상대갑석까지 노출되어 있었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마을. 안동 하회마을은 조선 전기 이후의 전통적인 가옥군, 영남의 명기(名基)라는 풍수적 경관, 오랜 역사적 배경, 별신굿 같은 민간전승 등이 잘 보존된 민속마을이다. 풍산류씨 동성마을이며, 그 터전은 낙동강의 넓은 강류가 마을 전체를 동쪽과 남쪽, 서쪽 세 방향으로 감싸 도는 빼어난 터이다. 지형은 풍수학적으로 태극형(太極形)·연화부수형(蓮花...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북쪽에 있는 소나무 숲. 조선 선조 때 문경공 류운룡(柳雲龍)이 마을 맞은편 부용대의 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1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이다. 1만 그루를 심었다 하여 ‘만송정(萬松亭)’이라 한다.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은 홍수 피해와 세찬 북서풍을 막는 방풍 기능 및 모래를 막아 주는 방사 기능과 더불어 마을 사람들의 휴식 공간이다.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학암 고택을 건립한 학암(鶴巖) 김중휴(金重休, 1797~1863)는 조선 중종 때 이조참판을 거쳐 삼도방백(三道方伯)을 지낸 청백리 김양진(金楊震, 1467~1535)의 12세손이다. 후일 김중휴가 제릉참봉(齊陵參奉)을 지내 참봉택이라 부르게 되었다. 안동 학암 고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248번지[구수...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금에 절인 고등어. 교통이 여의치 않던 시절 영해·영덕 지역에서 잡은 고등어를 내륙 지방인 안동으로 들여와 판매하려면 영덕에서는 육로로 황장재를, 영해에서는 창수재로, 울진 쪽에서는 백암을 거처 구주령을 넘어 진보를 지나 꼬박 하루가 걸려야 임동면 채거리 장터에서 물건을 넘길 수 있었다. 이때 고등어는 뜨거운 날씨를 견디면서 뱃속의 창자가 상하게...
-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지혜로운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봉사하는 어린이, 특기를 가진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2003년 1월 20일 안동강남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2월 26일 학교 건물을 준공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 초대 김순환 교장 취임과 더불어 12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같은 해 3월 10일...
-
경상북도 안동의 양반가에서 여름철에 손님 접대에 많이 올리는 향토 음식. 종가집의 종부들도 만들기 어렵다고 하는 음식으로, 칼국수와 흡사하다. 국수를 삶아 찬물에 씻어 건진 상태에서 육수를 붓고 고명을 얹어 양념장으로 간을 맞추어 먹는 귀한 음식이다. 건진국수 만드는 법은 국수 빚기와 장국 만들기, 고명 준비로 나누어진다. 국수는 밀가루와 생콩가루를 섞어 반죽한 뒤 홍두깨로 밀어서...
-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에 있는 치안 행정 기관. 안동경찰서는 안동 지역의 치안을 유지하고 시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창설과 동시에 안동경찰서가 개서되었다. 1955년 구청사는 6·25전쟁 당시 폭격으로 전소하고 국고 보조로 안동시 동부동에 2층 청사를 신축·준공하였다. 1963년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면서 1개 시·15개 면...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민주시민의 자질을 가진 사람, 교육과정 운영을 충실히 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사람, 기초 과학 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가진 사람,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여 미래 사회의 적응력을 가진 사람, 쾌적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한 심신을 가진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근면,...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안동고등학교 축구부. 안동고등학교 축구부는 축구를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게 지역에서 축구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4월 25일 이치형(교장) 단장, 박명서 감독, 장세인 코치와 함께 안동고등학교 2학년 1명과 1학년 14명으로 구성된 안동고등학교 축구부가 발족하였다. 축구부 학생들의 훈련과 전국축구대회 출전을 주요...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생산되는 단맛이 있고 매운 맛이 강한 고추. 고추는 가지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 키가 80㎝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는데, 잎 끝과 잎 밑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다. 꽃은 통꽃으로 하얀색이며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밑을 향해 피는데,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져 접시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끝만 얕게...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사립 공업 고등학교.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품위 있는 민주시민, 개성을 존중하여 탐구하는 노력인, 실업 교육을 강화하여 꿈을 키우는 과학 기술인, 선진 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자기주도적인 생활인, 체육 교육을 통하여 균형 있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62년 5월 2일 안동재건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64년 9월 26일 6학급 안동재건고...
-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에 있는 공예품 전시·판매 시설. 안동공예문화전시관은 안동시가 공예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21세기 문화산업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2005년 8월 11일 개관하였다. 2007년 10월 23일 안동공예문화전시관 별관을 개관하였다. 전체 면적 2,796㎡에 건축 면적 527.98㎡, 연면적 974.16㎡, 전시 면적 400㎡ 규모의 건물로 지상 2층의 본관과...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교. 지역의 울타리를 벗어나 전국 유수의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아울러 21세기에 살아남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의 획득을 위해 전문성은 물론 올바른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어 지역의 산업 발전과 문화 창조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 봉사도 참여하는 대학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67년 3월 3일 안동간호고등기술학...
-
1950년 8월 1일 6·25전쟁 중 북한군의 낙동강 도강을 지연시키기 위해 안동 인도교와 철교를 폭파한 사건.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을 도발한 북한군은 한 달이 갓 지난 7월 31일 안동 북부 지역을 지나 시내로 향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군과 국제연합군을 지휘하던 주한 미8군사령부는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낙동강 방어선을 기획하고, 8월 1일 새벽까지 한국군...
-
1979년 오원춘 사건을 계기로 안동교구 사제단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농민운동. 1970년대 중반부터 정부는 농업 생산을 늘리기 위해 신품종 강제 경작을 추진하였다. 이에 적극적으로 농민운동을 전개해 온 가톨릭농민회는 쌀 생산비 보장 운동과 농협 민주화 운동을 중심으로 정부의 획일적인 영농 행정에 대응해 왔다. 안동교구 가톨릭농민회 사건은 이러한 가톨릭농민회 활동과 정부 및 농협...
-
1965년 3월 1일~1978년 2월 27일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에 있던 교육대학. 안동교육대학은 안동사범학교가 처음 설립되어 현 국립 안동대학교로 개편·변화되는 과정에서 일정기간 초등학교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 기능을 담당했던 교육대학으로 교훈은 진리·성실·창조였다. 1947년 7월 21일 안동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62년 3월 9일에는 도립 안동농업초급대학으로, 1965년 3...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법무부 산하 교정 기관. 교도소는 징역형·금고형·노역장유치·구류형 등을 받은 수형자를 격리하여 교정교화하며 건전한 국민사상과 근로정신을 함양하고 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에 복귀하게 하기 위한 국가의 수용 시설이다. 안동교도소는 형기 중에 있는 범죄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수용함과 더불어 이들이 교육과 교화 및 직업훈련 등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사회...
-
1965년 3월 1일~1978년 2월 27일 경상북도 안동시 명륜동에 있던 교육대학. 안동교육대학은 안동사범학교가 처음 설립되어 현 국립 안동대학교로 개편·변화되는 과정에서 일정기간 초등학교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 기능을 담당했던 교육대학으로 교훈은 진리·성실·창조였다. 1947년 7월 21일 안동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62년 3월 9일에는 도립 안동농업초급대학으로, 1965년 3...
-
경상북도 안동시 화성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안동교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 경안노회의 중심교회이며, 안동의 3·1 만세운동을 주도한 100년의 역사를 가진 교회이다. 2009년 현재 ‘일어나 새 일을 행하는 교회’라는 표어 아래 3,000명 전도하는 교회, 2,500명이 출석하는 교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안동교회는 기독교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1908년 8월...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는 전통 예술 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한국의 술과 떡과 잔치, 영주인삼축제, 봉화송이축제, 청도소싸움축제 등과 함께 경상북도 5대 축제 가운데 하나로, 전통문화의 전승과 재현을 통해 문화 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1997년부터 개최하였다. 국내외 탈춤 단체들이 서로의 신명을 함께 느끼며 문화적 교류를 꾀하는 탈춤인의 진정한 축제의...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는 전통 예술 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한국의 술과 떡과 잔치, 영주인삼축제, 봉화송이축제, 청도소싸움축제 등과 함께 경상북도 5대 축제 가운데 하나로, 전통문화의 전승과 재현을 통해 문화 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1997년부터 개최하였다. 국내외 탈춤 단체들이 서로의 신명을 함께 느끼며 문화적 교류를 꾀하는 탈춤인의 진정한 축제의...
-
1895년부터 1995년까지 안동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기관. 1894년 7월부터 갑오개혁이 시작되어 재래의 문물제도를 근대식으로 고치는 등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이 이루어졌다. 이때 지방 행정에 대한 개혁도 이루어져 1895년 종래의 전국 8도가 23부 337군으로 개편되어 안동 지역에 안동부 안동군이 설치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 12....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 설립된 농업수탈기구.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농민의 농업 생산 과정을 감독하고 통제할 통치 체제를 확립할 목적으로 각 지역에 농회를 설립하였다. 1920년 총독부는 제1차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하면서 농사단체를 통합하여 농사개량사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각종 산업단체를 도농회(道農會)와 군(郡)·도(島)농회로 통합 정리해 나갔다. 경상북도는 다...
-
광복 직후 안동 지역에 조직된 민중 자치 기구. 안동군 인민위원회는 과도적 비상시국에 혼란을 막고, 민중들의 생존권을 확보하면서 공백 상태에 있는 행정을 장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말 전국 145개의 치안유지회가 결성됨과 더불어 안동 지역에서도 인사들을 중심으로 안동읍사무소에서 군민대회를 열고 15인의 전형위원을 뽑고 안동군 치안유지회를 조직하였다. 치안유지회 위원...
-
경상북도 안동시 남부동에 있는 학술단체. 안동권발전연구소는 지역 발전의 비전과 장기 과제 등에 대한 이론과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대표적 연구기관으로 대학교수, 공무원, 시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안동권발전연구소는 경상북도 북부의 낙후 지역 개발 촉진 및 생활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조사, 자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10월 설립 준비를 시작하여 1989년 1...
-
권행을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 안동권씨는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여 천년 이상 안동에 세거해온 안동의 대표적인 성씨이다.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은 대대로 안동에 살던 토족으로 본래 성은 김씨(金氏)이다.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고려 태조를 도와 후백제군을 격퇴한 공로로 권씨(權氏) 성을 하사받고 삼한벽상공신삼중대광태사아보(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亞父)에...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안동권씨 가문의 재사.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서후면사무소에서 북으로 뻗은 길과 안동과 옹천 사이의 길에서 봉정사 쪽을 향해 뻗은 길이 만나는 지점에서 봉정사 쪽으로 조금 더 나아가면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가 있는 골짜기가 나타난다. 골짜기는 깊게 사선으로 찢어져 올라간다. 골짜기의 초입에는 커다란 규모의 비각이 있고, 재사는 그 위쪽...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재사. 안동권씨 말산재사는 안동권씨 도촌파 문중의 선조인 가립(可立) 권심행(權審行, 1517~1565)의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한 건물이다. 안동권씨 말산재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 649번지[하양지길 25]에 있다. 야산 동쪽 산자락 끝에 남향하여 권심행의 묘가 있는 건너편 말산을 바라보고 있다. 안동권씨 말산재사...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 안동권씨 소등재사는 안동권씨 권태사(權太師)의 18세손인 권곤(權琨, 1427~1502)의 묘를 수호하고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사로, 일명 ‘추원재(追遠齋)’라고도 부른다. 권곤은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안동 안동권씨 소등재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 303번지[서동골길 94-26] 권...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권씨 송파재사는 안동권씨 복야공(僕射公) 권수홍(權守洪)의 묘단(墓壇)과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의 인물인 송파(松坡) 권인(權靷)의 묘소를 수호하고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권인은 고려 후기에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냈고,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경상북도 안동 지역으로 내려와 절의를 지켰다고 한다....
-
경상북도 안동시 운안동에 있는 대구지방기상청 소속 기상대. 안동기상대는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 정보를 지원하여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기상 재해 예방과 지역 산업 지원 및 지역 주민의 생활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대구측후소 안동분실로 설립되었으나 1978년 4월 폐쇄되었다. 이후 1982년 4월 안동측후소가 설립되었으며, 1985년 7월 의성·영주 기상관측소를 편입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김씨 북애공 종택은 조선 중기에 지은 것으로 전해오는 북애(北涯) 김후(金后, 1596~1641)의 가옥이다. 원래 노씨(盧氏) 문중의 종택으로 지었으나 노씨 문중에 후손이 없어 외손인 황씨(黃氏)가 들어와 살았다. 그러나 황씨 역시 대를 이을 아들이 없자 황씨의 외손 김후가 400년 전에 인수하여 대를 이으며 살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김씨 북애공 종택은 조선 중기에 지은 것으로 전해오는 북애(北涯) 김후(金后, 1596~1641)의 가옥이다. 원래 노씨(盧氏) 문중의 종택으로 지었으나 노씨 문중에 후손이 없어 외손인 황씨(黃氏)가 들어와 살았다. 그러나 황씨 역시 대를 이을 아들이 없자 황씨의 외손 김후가 400년 전에 인수하여 대를 이으며 살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안동김씨 종택을 지은 양소당(養素堂) 김영수(金永銖, 1446~1502)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적옹(積翁)이다. 아버지는 한성판관 김계권(金係權)이다. 음보로 의금부도사·사헌부감찰·상주판관이 되었다. 영덕현령·선공감첨정(繕工監僉正)·사헌부장령·통례원봉례(通禮院奉禮)를 거쳐 영천군수·금교도찰방에...
-
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안동김씨 종회소는 본래 삼태사(三太師)의 한 사람인 김선평(金宣平)을 모시기 위한 사당으로 건립되었다. 김선평은 고려 전기의 공신으로 본관은 안동이다. 930년(태조 13) 태조가 견훤(甄萱)과 싸울 때, 경상북도 안동에서 권행(權幸)·장길(張吉)과 더불어 태조를 도운 공으로 대광(大匡)에 임명되었다. 뒤에 벼슬이 삼한벽상공신삼중대광...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안동김씨 가문의 재사. 안동김씨 태장재사는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묘단을 지키고 제사를 받들기 위해 1750년(영조 26)에 건립되었다. 1653년(효종 4)에 처음 지어진 안동권씨 능동재사에 비해서는 1세기 정도 늦은 셈이다. 이 100년의 시차는 조선왕조의 가문 의식이 틀을 잡아가던 시기에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다른 경우보다 의미...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매년 3월경에 열리는 전국마라톤대회. 안동시에서는 2005년도 10대 역점 시책 중의 하나인 청정스포츠도시 정착을 위하여 2005년 4월 17일 전국의 마라톤 마니아들이 참여한 가운데 낙동강변의 청정마라톤코스를 달리는 제1회 안동전국마라톤대회를 개최하여 지금까지 매년 열리고 있다. 안동낙동강변마라톤대회는 풀코스 외에도 21㎞를 달리는 하프코스와 10㎞ 코스 그리...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내방가사 전승·보존 단체. 안동내방가사전승보존회는 현대 사회에서 내방가사를 전승 보존할 수 있는 기관단체가 전무하여 이선자 회장이 중심이 되어 오늘날 여성 문화와 조화로운 전통의 숨결을 찾아가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가가호호 방문을 하여 안방 깊숙이 간직되어 있는 내방가사를 찾아내어 수집하고 있으며, 실제로 내방가사를 부르는 할머니를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서부동 (주)이우텍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역 포털 사이트. (주)이우텍은 디지털 콘텐츠를 준비하고, 선도하기 위하여 설립된 디지털 콘텐츠 전문업체이다. 안동넷은 (주)이우텍에서 제공하는 지역 포털 사이트로 안동시의 지역 정보, 도산서원과 하회마을 등의 관광 안내, 안동의 특산물 등을 소개하고 있다. 1998년 12월 도메인 andongnet.com으로 서비스를 실시하...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 있었던 노동운동 단체. 안동노우회는 노동 계급의 의식적 단결과 상호 부조를 통하여 당면의 이익과 생활 향상은 물론 노동 해방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0년 9월 23일 결성된 조선노동공제회 안동지회가 1925년 해소되면서 안동노우회로 발전하였으며, 10월 13일 김남수와 김진윤, 노동자 120여 명의 발기로 안동청년회관에서 창립되었다. 창립 직후 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해마다 정월 대보름날 밤에 행하는 여성의 집단 놀이. 놋다리밟기는 ‘지애밟기’, ‘기와밟기’, ‘논따리밟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놋다리 밟기라는 대표 명칭 속에는 다양한 놀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꼬개싸움은 아주 격렬한 편싸움이었다. 놋다리를 놋쇠처럼 굳은 다리 또는 동교(銅橋) 등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안동에서는 정월 한 달 동안 일을 하...
-
일제강점기 안동농림학교 학생들이 일으킨 항일 운동.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학교가 점차 군사교육기관으로 변하였다. 학생들에게 소년비행대·전차대 지원을 강요하고, 군사 훈련과 도강(渡江) 훈련을 시키기도 하였다. 또 학생들은 일제의 침략전쟁에 필요한 군수물자를 지원하기 위한 근로봉사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게다가 전황이 점점 불리해지자, 일제는 학도병 지원을 강요하고 나섰다...
-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에 있는 농업협동조합.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계와 향약 두레와 같이 공동체 정신을 강조하는 삶의 형태를 고수해 왔으나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는 해체되었다. 그러나 공동체 정신을 고수하기 위한 노력들은 현대에도 계속되어 협동조합의 형태가 생겨나게 되었으며 농업협동조합이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1973년 8월 2일 안동-용상이동조합의 합병...
-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동과 옥동을 연결하는 다리. 안동시의 명칭을 차용하여 안동대교라고 하였다. 안동대교는 길이 480m와 6차선, 다리 폭 22.5m, 다리 높이 12m의 다리이다. 상부구조는 PSC I형이고, 하부구조는 SGP형이다. 설계하중은 DB-24톤이며, 통과하중은 43.2톤이다. 안동 지역과 대구 지역 간의 원활한 교통 소통과 시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1997년 12월...
-
1204년 안동 지역에 설치된 지방 통치 행정 기관. 1018년(현종 9) 경상북도 경주에 설치하여 사(使: 정3품)·부사(정4품)·판관(判官: 정6품) 등을 두었고 1030년 경주가 동경(東京)으로 승격된 이후 대도호부를 안동으로 옮겼다. 충렬왕 때는 복주목(福州牧)으로 격하되었으나 1361년(공민왕 10) 공민왕이 홍건적(紅巾賊)을 피하여 이곳에 머물렀을 때 관민이 왕을 잘 모...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생산되는 콩. 대두(大豆), 즉 콩은 장미목 콩과의 쌍떡잎식물로 한해살이이다.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식용 작물로서 널리 재배되며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있다. 줄기 높이는 60~100㎝이고,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은 잎이 나오는데 달걀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국립 대학교. 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고 성실하며 창조적인 인재 양성을 추구하며,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광범하고 정치한 응용 방법을 연구·개선함과 동시에 사회 각 전문 분야에 필요한 지도자적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국가 사회와 인류 발전에 적극적으로 공헌함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진리, 성실, 창조’이다. 1947년 7년 21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댁은 조선 후기 안동대도호부사를 지낸 류지영(柳芝榮, 1828~1896)이 건립하였다. 안동대도호부사를 지냈다 하여 당호를 안동댁이라 부른다. 류지영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중옹(仲翁), 호는 지산(芝山)이다. 1857년(철종 8)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3년(고종 20) 우승지에 대사간을 겸임하고 병조참의를...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다목적 댐. 1960년대 날로 성장하는 사회·경제적 여건 변동에 따라 종합적인 토지 및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자 1966년부터 광범위한 안동댐 기본조사 및 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안동댐은 하류 지역의 연례적인 홍수 피해를 줄이고 농업용수·공업용수·생활용수를 확보하며 수력 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할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안동댐 기본조사 및...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기념관.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내앞마을에 있다. 내앞마을은 1907년 협동학교(協東學校)가 설립되어 애국 계몽 운동의 산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점되자 만주로 집단 망명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한 김대락(金大洛)·김동삼(金東三) 등을 배출하였다. 학계에서는 안동을 한국 독립운동의 성지로...
-
경상북도 안동시 신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이웃을 사랑하는 어린이, 자기 일을 스스로 해결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예의와 질서를 잘 지키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게, 바르게, 굳세게’이다. 1945년 11월 7일 안동공립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46년 7월 19일 안동동부국민학교로 교명을...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생산되는 땅콩. 땅콩은 길이 2.5~5㎝ 정도이며, 한 꼬투리 안에 2~3개의 알이 들어 있다. 꼬투리는 대략 끝이 둥그런 원통 모양이고, 씨와 씨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으며, 껍질은 얇고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으면서 해면처럼 울퉁불퉁하다. 씨는 긴 타원 모양에서 거의 둥그런 모양까지 다양하며 씨껍질은 흰색에서 진한 자주색까지 여러 가지 색을 띠나 마호가니...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쓰이는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안동방언은 공통어나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의 특유한 단어나 특징적인 언어 체계를 말한다. 이를 ‘안동사투리’, ‘안동말’이라고도 한다. 방언이란 한 언어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를 하는 동안 분열의 과정을 겪은 결과로서 생성된다. 방언은 한 개별 언어의 하위 형식으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언어 형식으로서 일정...
-
1919년 안동 지역의 안동면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 1910년 8월 29일 우리 주권을 강제로 빼앗은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일본육군대장을 조선총독으로 임명하여 일본군 2개 사단과 헌병경찰제를 기초로 입법·행정·사법 및 군사의 전권을 행사하며, 식민지 지배 정책을 강행하였다. 거족적인 민족 운동에 동참하여 일제의 강점을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찾고자 일으킨 운동이다. 안동...
-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에서 1972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기관지. 한국문인협회가 지방 문단을 활성화할 방안으로 1971년 3월 전국 순회 문학강연을 개최하였는데, 안동에서 강연을 열면서 한국문인협회 지부 결성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되었다. 이에 당시 안동교육대학 이동희·예종숙 교수를 회원으로 초대하면서 같은 해 9월 기관지 『안동문학』을 창간하게 되었다. 『안동문학』에는 시·시조·소설·...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문화방송의 안동 지역 방송국. 안동문화방송은 경상북도 안동을 비롯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 즉 안동시·영주시·문경시·상주시와 예천군·의성군·영양군·청송군·봉화군에 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22일 안동방송주식회사로 설립 등기를 하고, 같은 해 9월 12일 AM방송을 시작으로 개국하였다. 라디오 송신소 부지로...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문화방송의 안동 지역 방송국. 안동문화방송은 경상북도 안동을 비롯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 즉 안동시·영주시·문경시·상주시와 예천군·의성군·영양군·청송군·봉화군에 방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 7월 22일 안동방송주식회사로 설립 등기를 하고, 같은 해 9월 12일 AM방송을 시작으로 개국하였다. 라디오 송신소 부지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술 단체. 안동문화연구회는 안동 지역 전통문화에 대한 조사 연구 활동을 통하여 올바른 향토사를 정립하고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지역에 흩어져있는 문화유산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안동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지역민들의 문화 의식을 높여 보자는데 인식을 같이한 당시 안동문화회관 이진구 관장과 안동대학교 사학과 임세권 교수가...
-
경상북도 안동시 동부동에 있는 지역 문화 사업과 향토 문화 연구를 위해 설립된 문화 예술 단체. 안동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거하여 안동 지역의 문화 진흥을 위한 문화 사업을 수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0년 8월 사설 문화원으로 설립되었으며 김진동 원장이 취임하여 농촌계몽활동을 전개하였다. 1966년 12월 3일 「지방문화사업조성법」에 의하여 사단법인 안동문화원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문화재 보호 시민단체. 안동문화지킴이는 안동시민이 자발적으로 문화유산을 가꿈으로써 지역 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건전한 여가문화를 정착하며, 이와 함께 문명의 발달로 안동 지역의 귀중한 문화재가 황폐되고 가족 문화가 붕괴는 현상에 맞서 가족이 함께 모여 우리의 문화를 소중하게 여기는 풍토를 조성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
-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물 문화관. 안동물문화관 건립은 공공사업자가 공공사업으로 인해 불편을 감수한 시민들을 위해 수익의 일부를 환원한 선진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조성하고 시민들을 위한 환경 친화적 휴식 공간 제공과 더불어 지역 관광과 경제 활성화에도 일정 정도 기여하였다. 안동물문화관은 수자원의 개발, 이용, 관리에...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시립 민속 박물관.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안동문화권의 민속 문화에 대한 조사, 연구, 보존, 전시를 통하여 사회 교육의 장과 시민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지방 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동댐 건설에 따른 수몰 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민속경관지가 조성된 후, 1978년 11월 최규하 국무총리가 안동댐을 순회할 때 민속경관지 내에 민속박물관 건립...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매년 10월 개최하는 종합 민속 축제. 안동민속축제는 안동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열린 축제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잔치이다. 근대화를 겪으면서 인구 이동이 심해지자 마을에서 전승되던 축제와 놀이가 연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안동문화원은 전통이 사라져 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86년부터 보다 큰 규모인 안동민속축제로 발전시켰다. 안동민속축제는...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쓰이는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안동방언은 공통어나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의 특유한 단어나 특징적인 언어 체계를 말한다. 이를 ‘안동사투리’, ‘안동말’이라고도 한다. 방언이란 한 언어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를 하는 동안 분열의 과정을 겪은 결과로서 생성된다. 방언은 한 개별 언어의 하위 형식으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언어 형식으로서 일정...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안동시외버스터미널은 안동시민과 안동을 오가는 사람들에게 편리한 교통 시설을 제공하고자 건립되었다. 1969년 중소기업은행 안동지점 자리에서 운흥동으로 이전한 뒤, 장기간 사용으로 시설이 낙후되어 2000년부터 이전 계획이 논의되어 왔다. 이에 안동시는 외곽 지역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2008년 7월과 8월 안동시외버스터미널 이전 기반...
-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에 있는 대구지방법원 관할의 하급 법원.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원은 특정 관할 지역의 민사 및 형사 소송을 처리하는 제1심 법원으로서, 사법 정의를 실현하고 민사 및 형사 사건을 심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9년 통감부령에 의해 안동구재판소로 설립되었다. 1914년 총독부령 제25호에 의해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으로, 1947년 군정법령에 의해 대구지방법원 안동...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생냉이를 가지고 삼베를 짜는 과정. 안동포는 안동 지역에서 제작된 대마포(大麻布)로서 생냉이[生布]로 짠 삼베이다. 안동은 기후와 토질이 삼베 재배에 적합하고 베 짜는 기술이 우수하여 조선시대에는 궁중 진상품으로 명성을 날렸다. 현재 안동포짜기는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와 고곡리, 서후면 저전리 등지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금소리는 안동포...
-
경상북도 안동시 수상동에 있는 종합병원. 안동병원은 훌륭한 의료 인프라를 구축하여 시민의 질병 치료, 건강 및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2년 5월 20일 안동시 용상동에서 134병상 12진료과로 종합병원 개설 인가를 받았으며 1983년에는 전공의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었다. 2001년 안동여성병원을 개원했으며 심장혈관센터도 개설하였다. 2005년 경북권역 응급의료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