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0999 |
---|---|
한자 | 李汯神道碑 |
영어음역 | Yigoeng Sindobi |
영어의미역 | Monument for Yi Goe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조규복 |
성격 | 비|신도비 |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전기 |
관련인물 | 이굉(李浤, 1440~1516) |
재질 | 석재 |
높이 | 177㎝ |
너비 | 38㎝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
![]()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전기 신도비.
비석(碑石)은 고인의 사적(事蹟)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문장을 새겨 넣은 돌을 말한다. 비석의 종류에는 신도비(神道碑)가 포함되는데, 조선시대에는 종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만 세울 수 있게 제도화하였다.
이굉(李浤, 1440~1516)은 자는 심원(深源)이고, 호는 낙포(洛浦)·연생당(戀生堂)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다. 1480년(성종 11)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정자(正字)가 되었고, 1493년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500년(연산 6) 사헌부집의를 거쳐 개성부유수가 되었다가,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에 김굉필(金宏弼)의 일당으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다시 기용되었으나, 벼슬을 사양하고 안동에 내려가 귀래정(歸來亭)에서 풍류를 즐겼으며 시문(詩文)에 능했다. 『국역 영가지·선성지합본』「총묘(塚墓)」에 “유수(留守) 이굉(李浤)의 묘는 부의 남쪽인 순천사(順天寺) 골에 있다. 참판 황효헌이 갈문을 지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굉 신도비(李汯 神道碑)는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호 귀래정(歸來亭) 남쪽 대문 밖에 인접하여 있다. 영가대교를 건너 나오는 사거리에서 바로 왼쪽 모퉁이에 자리한다.
1998년 택지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인근 지역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크기는 높이 177㎝, 너비 38㎝, 두께 68㎝ 정도이다. 지붕돌[옥개석(屋蓋石)], 비신(碑身), 귀부형(龜趺形)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액(題額)은 ‘가선대부개성유수낙포이공신도비(嘉善大夫開城留守洛浦李公神道碑)’라고 쓰여 있다.
신도비의 북쪽에는 귀래정(歸來亭)이 위치하며, 정면 1칸과 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