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2543 |
---|---|
한자 | 李陸史白日場 |
영어의미역 | Yi Yuksa Literary Contest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손병희 |
시작연도/일시 | 1973년![]() |
---|---|
행사장소 |
안동민속박물관 경내![]() |
주관처 |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안동MBC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이육사의 문학정신을 기리고자 열리는 행사.
이육사백일장의 모태는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가 개최한 이육사추모한글백일장(1973~1976)이다. 안동 지역 문인들은 1971년 자신들의 문학적 열정을 구체화하고자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를 결성하고 1972년 기관지 『안동문학』을 창간하였다. 이어 지역 문학을 개척하고 지역 사회의 문화 잠재력을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이육사추모한글백일장을 개최했다.
이육사백일장 참가 자격은 전국의 초등학생, 중학생부터 일반인까지 열려 있다. 참가 부문은 운문부(시, 시조), 산문부(수필)로 나뉘고 시상은 부분별로 장원, 차상, 차하, 참방으로 구분된다. 각 부문별로 지도교사상, 문협지부장상, 안동MBC사장상 등이 수여된다. 이육사백일장은 문학에 대한 지역 사회와 전국적인 관심을 지속시키면서 문학 후속 세대와 일반 시민의 문학적 열정을 일깨우고 잠재된 표현욕을 북돋우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의 주관으로 1981년부터는 이육사추모한글백일장이 개최되었으며, 1993년 이육사백일장으로 개칭한 이래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1년부터는 한국문인협회 안동지부와 안동문화방송국이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2011년에 제32회 이육사백일장을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