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
조선 시대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효성으로 어버이를 잘 섬긴 자녀. 효자는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기는 자식을 일컫는다. 김천은 예로부터 충효의 고장으로 일컬어지며 많은 효자, 효부, 효녀를 배출했는데 이에 수반된 정려각, 효행비 등의 유적이 다수 남아 있으며 큰 효자를 배출하여 마을 지명이 효자동으로 개명된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김천 지역 효자, 효부, 효녀에 대한 기록은...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녕(金寧). 성균관대사성을 역임한 8대조 김지(金智)로부터 분파된 대사성파의 후손이다. 1429년(세종 11) 덕산마을로 낙향한 입향조 김풍(金豊)의 후예이며, 아버지는 김석용(金碩龍)이다. 김석용도 당대의 효자로 부모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를 하고도 눈이 오면 산소를 찾아 눈을 쓸었고, 아들 김재택도 9세 때부터 아버지를 따라 수시로 성묘를...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녕(金寧).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순절한 백촌 김문기(金文起)의 12세손이며, 아버지는 김상원(金尙元)이다. 부인은 연안 이씨 이춘방(李春芳)의 딸로 1660년 2월 2일 태어나 1724년 2월 3일 세상을 떠났다. 슬하에 김흥수(金興壽), 김흥추(金興錘) 형제를 두었다. 손자로 효행이 높은 김치범(金致範), 김치신(金致兟)이 있다....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준백(俊伯), 호는 눌암(訥菴). 이조판서 김불비(金不比)의 8세손이다. 김한영(金漢英)[1637~1712]은 지금의 김천시 양천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즐겨하였고 언행이 엄하고 무거워 어른들이 아이라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였으며, 효자로 이름이 났다. 아버지의 병이 위급할 때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아버...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수원(水原). 아버지는 김천의 대표적 효자라 불리는 백시형(白時珩)이고, 형으로 백봉주(白鳳周)가 있다. 아들로 백상정(白尙淨)을 두었다. 이 집안은 3대에 걸쳐 효(孝)를 행하였다. 백봉양(白鳳陽)[1700~1758]은 지금의 김천시 대신동에서 태어났다. 9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슬퍼 채소만 먹고 견뎌 몸이 극도로 허약해졌다. 어머...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수원(水原). 승선 백귀선의 9세손이다. 첫째 아들 백봉주(白鳳周)[1698~?]와 둘째 아들 백봉양(白鳳陽)[1700~1758], 손자인 백봉양의 아들 백상정(白尙淨)[1748~1817] 네 명이 3대에 걸쳐 효(孝)를 행하였다. 백시형(白時珩)[1664~1708]은 지금의 김천시 대신동에서 태어났다. 김산군의 군무를 맡아 보던 관...
-
조선 시대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에서 태어난 효자 3대를 통칭하는 상징어. 삼세효(三世孝)는 박수(朴壽), 박수의 손자 박상태(朴尙泰), 증손 박천일(朴天一) 등 삼세(三世)에 걸쳐 나온 효자를 일컫는다. 박수는 순천 박씨 수종의 후예로 지례현 출신이며 자는 수옥이요, 호는 용강(龍崗)이다. 그의 손자 박상태는 호가 무명재(無名齋)이다. 박수의 증손 박천일은 호가 천류정이다....
-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덕이(德以), 호는 남계(南溪), 이명은 서질. 고려 성종 때 거란의 침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동경유수 소손녕(蕭遜寧)과의 담판으로 거란군을 철수하게 하고 강동 6주를 회복하는 데 기여한 내사시랑(內史侍郞) 서희(徐熙)의 11세손이다. 원주판관을 역임한 서강(徐强)과 양천 허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절효(節孝)이다. 윤은보(尹殷保)는 지례현[현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구성면·부항면·대덕면·증산면 일대] 출신이다. 같은 현에 살던 서즐(徐騭)은 이천 서씨 신일의 9세손으로 자는 덕사이고, 호는 남계이다. 윤은보는 서질과 함께 아들이 없는 스승 장지도(張志道)를 친부모 모시듯 극진히 섬겼다. 지례현 출신의 장지도...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보(慶普), 호는 노포(老圃). 이수빈의 종질(從姪)이다. 동생으로 이광림(李桄林)이 있다. 이경구(李璟求)는 지금의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에서 태어났다. 벼슬이 부호군(副護軍)에 이르렀는데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병환이 들자 자신이 대신 아프길 기원하였다. 부친상을 당해서는 3년간 술과 고기를 입에...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강양(江陽). 자는 여앙. 연안군(延安君) 이숙기의 7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윤서이다. 아들 이영진(李榮鎭)도 김천 지역에서 효자로 이름이 났다. 이구(李坵)[1598~1664]는 1627년(인조5)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으며 천품이 총명하며 지기가 고결하고 고상하였다,...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하빈(河濱). 자는 공달, 호는 송재(松齋). 이선동의 후예로 아버지는 이광진이다. 동생으로 이득지, 이득봉이 있다. 이득지는 자는 여달로 효성이 높았으며 벼슬은 부호군으로 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이득봉은 자는 계달이고, 호는 매허로 역시 효행이 뛰어났다. 이득배(李得培)[1550~1635]는 지금의 김천시 구성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소헌(素軒). 이약동(李約東)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흥선이다. 동생으로 이상필(李尙苾)이 있으며, 형제가 모두 김천 지역에서 효행을 행하였다. 이상익(李尙益)은 지금의 김천시 구성면에서 태어났다. 동생 이상필과 함께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문하에서 경학과 예학을 수학하였다. 집...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자형이고, 호는 아헌(雅軒). 이약동(李約東)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흥선이다. 형으로 이상익(李尙益)이 있으며, 형제가 모두 김천 지역에서 효행을 행하였다. 이상필(李尙苾)은 형 이상익과 함께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문하에서 경학과 예학을 수학하였다. 집 밖에서 맛있는 음식이 생기...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성산(星山). 호는 영은(嶺隱). 경무공(景武公) 이제(李濟)의 후손이다. 아들로 효자인 이숙봉, 손자로 이용재·이용손을 두었다. 아들 이숙봉은 어머니가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베고 피를 입에 넣어 주어 어머니를 살렸으며, 어머니가 작고한 후 시묘할 때 호랑이가 보호해 주었다는 일화가 있다. 손자 이용재·이용손도 여름날 어머니 김씨의 종기 난 자리...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유학자이자 효자.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대임(大任)·남강(南岡), 호는 도원거사. 할아버지는 군자감정 겸 좌승지(軍資監正兼左承旨)에 추증된 이이함(李以馠)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에 추증된 이유항(李惟杭)이다. 어머니는 벽진(碧珍) 이부규(李父逵)의 딸이며, 부인은 안동 장씨(安東張氏)이다. 아들로 이봉거(李鳳擧), 이붕거(李鵬擧), 이학거(李鶴擧), 이...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수정, 호는 악계(樂溪). 할아버지는 이명원(李命元)이다. 이수빈(李璲彬)은 영조 때 사람으로 일찍부터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다. 언행이 정직하고 효성과 우애가 하늘로부터 타고난 듯하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효제(孝悌)가 뛰어났다. 부인 곽씨와 더불어 부모를 정성으로 섬겼는데, 아버지가 병들었을 때 의원이 병을 낫게...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화범(華範), 호는 송호(松湖). 이영보(李英普)[1768~1821]는 지금의 김천시 부항면 지좌리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질박하고 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였다. 10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슬퍼하고 예의를 갖추는 모습이 어른 못지않았다. 이 때문에 문상 온 사람들이 그를 더욱 갸륵하게 여겼다 한다. 그리고...
-
조선 시대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양(江陽). 자는 화중(華重), 호는 설곡(雪谷). 아버지는 이구(李坵)이다. 이영진(李榮鎭)(1629〜1698)은 지금의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탄동마을에서 태어났으며, 천성이 효성스러웠다. 아버지의 병들어 목숨이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입에 넣어 드려 병을 낫게 하였다. 아버지가 작고한 후에는 예제(禮制)에 소홀함이 없이...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호원(浩遠), 호는 초당(草堂). 증조할아버지는 이구령이다. 이장원(李長源)[1560~1649]은 지금의 김천시 구성면에서 태어났다. 7~8세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묘 옆의 여막(廬幕)에서 기거하는 3년간 흰죽만 먹으면서 시묘를 하였을 만큼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다. 또한 예절이 어른보다 나은 바가 있었다고 한다....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개령(開寧).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에 증직된 임기(林芑)이다 임우춘(林遇春)은 부친 임기가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피살된 후 원수를 갚기 위해 경상북도 상주군 갑장산에서 의병을 모아 기습을 준비하던 중 정유재란 때 적에게 발각되어 사로잡히고 말았다. 임우춘은 끌려가다가 부친의 산소가 가까워 오자, “나는 임기의 아들이다. 죽음은 두렵지...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충복(忠僕)이자 효자. 전순기(全順己)는 지금의 김천시 봉산면 신리 봉계마을에서 태어났다. 봉산면 조익의 노비로 천성이 효성스러웠다. 어려서 아버지가 돌아가신 탓에 장례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였으나 성장하여 3년간 추복(追服)을 하였다.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어머니의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짐작하고 약을 달여 드렸고, 어머니가 위독할 때에는 손가락을...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운거(雲擧), 호는 경지재(敬知齋). 아버지는 이조판서에 증직된 조유(曺逾)이며,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첫째 형은 조세호(曺世虎), 둘째 형은 조세룡(曺世龍), 셋째 형은 조세봉(曺世鳳)이다. 조세호는 자는 병여이고 숙종조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학행으로 참봉에 제수되고 수직으로 지중추부사에 올랐으며 학자로서만이 아니라 세인이...
-
조선 시대 김천 출신 효자. 조천민(曺天民)은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천성이 근엄하고 순수하였으며 효성스럽고 인자하였다. 임진왜란 때 나이 든 어머니[『김천군지(金泉郡誌)』와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서는 어머니로, 『속수금릉지』와 『금릉지(全)』에서는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음]가 적에게 잡혔을 때 절조를 지키면서 적의 무도함을 꾸짖으며 저항하자, 적이 그녀를 한 칼...
효녀·열녀
-
조선 시대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남편을 위하여 지극한 정성을 다한 부녀자. 열녀(烈女)는 위급함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거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한 부녀자를 일컫는 말이다. 이를 ‘열부(烈婦)’라고도 한다. 김천 지역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정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을 택한 열부가 많이 배출되었다. 이것은 김천이 역사적으로 교통의 요...
-
조선 후기 김천 출신 효녀. 득옥(得玉)은 지금의 김천시 감천면에서 태어났으며, 감천면 상기동 어느 집의 여종이었다. 득옥은 여든 살에 가까운 노모를 모시고 살았는데, 어느 해 큰 물난리가 나서 사람들이 풀뿌리로 연명해야 하였다. 이때 득옥은 양식을 구걸하여 어머니를 봉양하고, 자신은 풀뿌리로 목숨을 버텼다. 영양실조로 기진맥진해진 어느 날 멀리 나가 양식을 구걸해 오던...
-
조선 후기 김천 지역의 열녀. 성산 배씨 집안은 ‘삼강세가(三綱世家)’라 일컬을 만큼 열부, 충신을 여럿 배출하였다. 배인범(裵仁範)과 경주김씨(慶州金氏)는 아들로 효숙공(孝肅公) 배흥립(裵興立)과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 배의범(裵義範)을 두었다. 셋째 손자 배시량(裵時亮)은 1630년(인조 8) 무과에 장원 급제한 후 양주목사, 도총부부총관, 경상·충청·전라 삼도의 병...
-
조선 시대 김천 지역의 효부. 심기(沈箕) 처 정씨(鄭氏)는 지금의 김천시 개령면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정손(鄭遜)이고 처녀 시절부터 후덕한 덕을 갖추어 사람들에게 칭송을 받았으며, 개령에 살던 선비 심기와 혼인하였다. 정씨는 시부모를 친부모 섬기듯이 하였는데, 시어머니가 부창(浮脹)으로 수년간 몸져눕자, 하루도 그 곁을 떠나지 않고 병간호를 하였다. 어느 날 밤 정씨를...
-
일제 강점기 김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풍기(豊基). 아버지는 진희태(秦喜泰)이다. 남편은 연안 이씨 이기영(李丌永)이다. 이기영 처 진씨(秦氏)[1912~1934]는 18세에 연안 이씨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시부모님을 모시는 데 극진하였고, 동기간 우애가 깊어 온 집안의 복으로 여겨졌다. 남편이 병들자 하늘에 자기 목숨과 바꾸어 주기를 빌었으나, 차도가 없어 대구에...
-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효녀. 이약동 현손녀는 본관이 벽진(碧珍)으로 지금의 김천시 양천동 하로마을에서 태어났다. 식견이 놀랍도록 뛰어났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도 지극하여 집안에서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랐다. 어느 날 밤, 화적 떼가 그녀의 집을 쳐들어와 불을 지르고 재물을 약탈하였다. 도적에 맞아 항거하던 부모는 도적의 칼에 맞아 숨을 거두었고, 그녀는 마루 밑에 숨어서...
-
조선 시대 김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이회원(李會元)이다. 연안 이씨 이현식(李鉉湜)과 혼인하였다. 이현식 처 전주 이씨는 18세에 시집을 가자마자 집안이 갑자기 망하였다. 시어머니께 “제가 잘못 들어와 집안이 이렇게 되었사옵니다. 이 불효를 어찌하오리까?”라고 말하면서 가정의 불운을 자신의 부덕한 탓으로 돌렸다. 그녀는 남편의 뜻을 좇아 낮에는...
-
조선 전기 김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영일(迎日). 아버지는 찰방 이대유(李大有)이다. 정유한(鄭維翰) 처 이씨(李氏)[1570~1597]는 14세에 영일 정씨 집안의 정유한과 혼인하였다. 정숙하고 예모 있는 행동거지로 집안사람들이 귀하게 여겼다.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7년(선조 30) 음력 9월 18일, 왜적이 명나라 군사에게 쫓겨 충청북도 괴산에서 흑운산(黑雲山)[...
-
조선 전기 김천 지역의 열녀. 정임열(鄭任悅) 처 엄씨(嚴氏)는 엄신서의 질녀로, 지금의 김천시 개령면 탄동마을[현 김천시 감문면 관덕리 탄동]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 남편과 함께 충청도로 피난을 갔다가 왜적에게 쫓겨 급히 배를 타게 되었다. 그런데 엄씨는 배에 탔지만, 남편은 사람에 밀려 강둑에 남게 되었다. 엄씨가 뱃사공에게 한 사람만 더 태워 달라고 하였지만,...
-
조선 시대 김천 지역의 열녀. 이씨의 남편 정준혁(鄭俊赫)은 혼인 전부터 시름시름 앓아 몸이 약해 결혼식도 겨우 치를 정도였다. 결혼한 며칠 후 아직 친정에 있던 이씨는 남편의 부음 소식을 듣고 말았다. 이씨는 남편의 뒤를 따라가려 하였으나, 늙은 시부모의 봉양을 위해 차마 죽을 수 없었다. 아들을 잃고 절망에 빠진 시부모 앞에서 자신까지 죽는다면, 남편에게는 열녀이지만...
-
조선 전기 김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진주(晋州). 이조판서에 증직된 화순 최씨 최자강(崔自江)과 혼인하였다. 아들은 절의(節義)로 알려진 최선문(崔善門)이다. 진주강씨의 남편 최자강이 중부령(中部令)으로 있던 37세에 전라도 광양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이후 그녀는 남편을 뜻을 좇는 것은 자식을 훌륭히 키우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아이라고 손가락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