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천아리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30094
한자 「金泉아리랑」
영어공식명칭 「Gimcheon Arira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민경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형성 시기/일시 일제 강점기 - 1993년 『언문 조선구전민요집』에서 소개
가창권역 「김천아리랑」 - 경싱북도 김천시
성격 토속 민요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탄생한 토속 민요.

[개설]

「김천아리랑」은 일제 강점기 민중의 애환을 노래한 토속 음악이다.

[채록/수집 상황]

「김천아리랑」의 존재를 맨 처음 소개한 문헌은 『언문 조선구전민요집』[김소운 편저, 제일서방, 동경, 1933]이다. 그 후 해방 후 본격적으로 처음 낸 민요집 『조선민요집성』[김사엽·최상수·방종현 공편, 정음사, 1948], 김연갑 아리랑 전문가가 지은 『아리랑』[현대문예사, 1986]에서도 「김천아리랑」의 존재를 소개하고 있다. 아리랑 전공학자 김시업 성균관대 교수 외의 공저 『근대의 노래와 아리랑』[소명출판사, 2009]에도 「김천아리랑」 이 가사는 생략된 채 소개되고 있다.

[구성 및 형식]

「김천아리랑」은 번성했던 시장권 및 유흥가 등을 중심으로 가창된 것으로 추정되며 후렴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내용]

오라버님 장가는 명년에 가고/농우소 팔아서 날 치워주소/우리 댁 서방님은 일본을 가고/분질같은 이내 모양 다 늙는다/우리 댁 서방님은 콩밭골 타고/남의 댁 서방님은 자동차 탄다

[의의와 평가]

「김천아리랑」은 일제 강점기에 민중의 생활상과 역사적 정서가 잘 반영되어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