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892
한자 直指寺浮屠群
영어음역 Jikjisa Budogun
영어의미역 Memorial Stupas in Jikji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조선 시대
현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216 지도보기
성격 부도군
양식 부도군1[팔각원당형, 종형]|부도군 2[종형]|부도군 3[2호:석종형, 3호: 석종형, 4호: 종형, 5호 종형]|부도군 4[석종형, 팔각원당형]
크기(높이) 부도군 1[팔각원당형 부도: 203㎝·208㎝, 종형 부도: 150㎝]|부도군2[1호: 184㎝, 2호: 136㎝, 3호: 122㎝, 4호: 58.5㎝]|부도군 3[1호: 78㎝, 2호: 113.5㎝, 3호: 93㎝, 4호: 117㎝, 5호: 143㎝]|부도군 4[석종형 부도: 152㎝, 팔각원당형 기단부: 90㎝, 탑신부: 66㎝, 상륜부: 86㎝]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에 있는 조선 시대 부도군.

[위치]

직지사에는 크게 네 군데에 부도군이 있었다. 직지사 부도군 1은 극락전 뒤편 부도 밭에 위치하였으며 13기의 부도와 비좌(碑座)가 있었다. 직지사 부도군 2는 직지사 입구 북암마을 안 솔밭에 4기가 있었다. 직지사 부도군 3은 산내 암자인 백련암 가는 산로 입구인 네은암골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계곡 남쪽에 터를 닦고 2기의 부도와 3기의 부도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있었다. 직지사 부도군 4는 극락전 남서쪽에 있는 임시 주차장인 ‘서전뒤에’ 골짜기 북쪽 산기슭에 2기가 있었다. 2010년 직지사 극락전 뒤편 제2주차장 부지에 5,000㎡ 규모로 조성된 부도전으로 이전되었다.

[형태]

직지사 부도군 1의 부도 중 두 기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며 나머지는 전형적인 종형(鐘形)이다. 부도의 대좌(臺座)가 마련되어 있고 팔각원당형의 높이는 203㎝, 208㎝이며 종형 부도는 평균 150㎝ 전후이다.

직지사 부도군 2 중 1호는 종형 부도로서 ‘추담당탑(秋潭堂塔)’이라는 부도명이 있고, 총 높이는 184㎝이며 하부에 앙련(仰蓮)이 장식되어 있고 상부에 보주(寶珠)가 있다. 2호도 종형 부도로 총 높이는 136㎝이다. 3호도 종형 부도로, 총 높이 122㎝이다. 4호는 상부 보주가 결실된 종형 부도로 총 높이는 58.5㎝이다.

직지사 부도군 3의 1호는 ‘능파당탑(陵波堂塔)’이란 부도명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는 앙련이 장식되어 있고, 상부에는 옥개(屋蓋)를 얹혀 놓았으며, 총 높이는 78㎝이다. 2호는 석종형 부도로 총 높이 113.5㎝이며, 3호 역시 석종형 부도로 총 높이 93㎝이다. 4호는 앙연의 44㎝의 대좌를 가진 종형 부도로, 총 높이는 117㎝이며, 5호는 종형 부도로 총 높이 143㎝이다.

직지사 부도군 4의 1기는 석종형 부도로 27㎝의 팔각 대좌를 가지고 있으며 부도신(浮屠身) 받침은 원형의 연화(蓮花)가 양각되어 있다. 부도의 총 높이는 152㎝이며 상부에 보주가 장식되어 있다. 또 다른 1기는 팔각원당형으로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를 모두 갖추고 있다. 기단부 높이는 90㎝이며, 탑신부는 좌우보다 상하가 짧은 구형(球形)으로 직경 98㎝, 높이 66㎝이며, 옥개의 상륜부는 높이 86㎝이며 보주가 장식되어 있다.

[금석문]

직지사의 부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으로는 『김산직지사중기(金山直指寺重記)』[1776]와 『황악산직지사사적(黃岳山直指寺事蹟)』[1836]이 있다. 『김산직지사중기』에는 부도 위치가 설명되어 있다. 이 사적기에 의하면, 극락전 뒤편에 12기, 부도암에 2기, 능여암에 4기, 태봉에 2기, 묘직암에 1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부도 당호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한편 『황악산직지사사적』의 ‘영자대사당명’이라는 부분에서 부도의 당호를 일일이 나열하고 있는데, 능여조사부도, 벽련당 계환대사 부도, 지원당 명례화상 부도, 모운당 진언대사 부도가 있었다고 한다. 그중 현존하는 부도는 지원당, 모운당 부도밖에 없다.

직지사 부도군 1의 부도 중 부도명을 알 수 있는 것은, ‘운암당(雲巖堂)’, ‘사명당(泗溟堂)’, ‘모운당대사탑(慕雲堂大師塔)’, ‘지원대사탑(智圓大師塔)’ 등 4기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마모가 심하거나 부도명이 없다. 직지사 부도군 2 중에 2호는 전면에 자액(字額)을 마련하고 부도명을 새겼으나 마모가 심하여 판독할 수 없다. 3호는 ‘막□당선사탑(漠□堂禪師塔)’이라는 부도명이 있다.

[현황]

2010년 부도전으로 부도를 옮기는 과정에서 각종 유물들이 부도 안에서 출토되었다. 극락전 뒤편에 있는 종형 형태의 부도에서 항아리[壺]와 사발[碗]이 출토되었다. 항아리 안에 유골이 담겨 있었으며, 항아리 밑에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극락전 뒤편에 있는 팔각형 형태 부도에서는 유제 그릇이 출토되었으며, 현재 보존 처리를 하여 보관 중이다. 또한 극락전 뒤편에 있는 부도에서 사리함이 출토되었는데, 사리함 안에 유골이 담겨져 있었다. 지원대사 부도에서도 사리함이 발견되었으며 그 안에 유골이 있었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김천시(김천시·대구대학교박물관, 2003)
  • 현장 조사(직지사 성보박물관 내 유물 안내문, 2010. 11. 6)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8.05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3) 모운당대사탑(慕雲堂大士塔) ->모운당대사탑(慕雲堂大師塔)
2011.08.04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1) 황악산직지사사적(慶尙道金山郡黃岳山直指寺事蹟)』[1836]이 있다 ->황악산직지사사적(黃岳山直指寺事蹟)』[1836]이 있다 2) ‘모운당대사탑(募雲堂大士塔)’, ‘지원대사탑(智圓大師塔)’ 등 4기에 ->‘모운당대사탑(慕雲堂大士塔)’, ‘지원대사탑(智圓大師塔)’ 등 4기에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