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825
한자 李胤積
영어음역 Yi Yunjeok
이칭/별칭 건백,숭례(崇禮)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1703년연표보기
몰년 1756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성격 학자
성별
본관 연안(延安)

[정의]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학자.

[가계]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건백, 호는 숭례(崇禮). 할아버지는 이돈(李墩)[1628~1703]으로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병자호란 이후 관료로 나아가지 않고 향리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여 숭정처사로 불렸다. 아들은 이의조(李宜朝)이다. 이의조는 조정에 천거될 때 ‘영남 우도의 큰 유학자’라고 하였는데, 2책의 『의요보유(義要補遺)』, 『경의수차(經義隨箚)』를 비롯하여 가학(家學)으로 물려받았던 『주자가례(朱子家禮)』의 학문적인 연구 성과와 도암 이재(李縡)[1680~1746]의 예학을 바탕으로 완성한 해설서 『가례증해(家禮增解)』를 저술하였다. 집안의 대표적 인물로는 연성부원군 이말정(李末丁)[1395~1461],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는 데 참여한 이숙기(李淑琦)[1428~1489] 등이 있다.

[학문과 저술]

이윤적(李胤積)[1703~1756]은 이재의 문하에서 예학을 배웠으며, 평생 동안 예학을 공부하였다. 『주자가례』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관혼상제에 맞는 『가례증해』를 편찬하려고 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유언에 따라 아들 이의조가 1792년(정조 16)에 완성하였다.

[상훈과 추모]

겸재 박성원(朴聖源)이 묘갈에서 숭례처사(崇禮處士)라고 추존하였다.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었으며, 경학으로 천거되어 사헌부집의에 증직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