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783
한자 李淑瑊
영어음역 Yi Sukham
이칭/별칭 이숙감(李淑瑊),차공(次公),몽암(夢庵),양원(楊原),문장(文莊)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1429년연표보기
활동 1454년연표보기
활동 1454년연표보기
활동 1457년연표보기
활동 1484년연표보기
활동 1488년연표보기
활동 1489년연표보기
활동 1490년연표보기
활동 1495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미평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발랑리
사당|배향지 함경남도 함흥시 문회서원
사당|배향지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연안(延安)
대표 관직 이조참의

[정의]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차공(次公), 호는 몽암(夢庵)·양원(楊原), 이명(異名)은 이숙감(李淑瑊). 할아버지는 이백겸(李伯謙)이고, 아버지는 연성부원군 이말정(李末丁)이다.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으로 이숙황(李淑璜), 이숙형(李淑珩), 이숙규(李淑珪), 이숙기(李淑琦)가 있다. 외할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한옹(韓雍)이다.

[활동 사항]

이숙함(李淑瑊)[1429~?]은 지례현 지품에서 태어났으며, 총명하고 문장에 비상한 재능이 있었다. 1454년(단종 2) 식년시 을과에 2위로 급제하여 문명을 얻고 경창부승이 되었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면서 좌익 원종공신으로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57년(세조 3) 사간원좌정언이 되었으며, 이해 중시(重試)에 정과로 급제하여 촉망받는 인재로 인정받았으며, 사가독서(賜暇讀書)의 은전을 얻어 독서와 학문에 전념하였다. 그 결과 1466년(세조 12) 발영시(拔英試) 이등(二等)으로 뽑히자 삼중이라 일컬으면서 형 이숙기와 함께 문풍으로 위명을 날렸다.

이후 겸예 문신에 뽑혔으며 전라도경차관이 되어 민정을 살피기도 하였다. 응교, 사섬시첨정, 군기시정을 거쳐 1484년(성종 15) 홍문관부제학이 되었다. 이때 하위지(河緯地) 등과 교분이 두터워 학문적 교류가 있었고, 1485년(성종 16) 서거정(徐居正)과 함께 『동국통감(東國通鑑)』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88년(성종 19)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이듬해 수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90년(성종 21)부터 성균관대사성으로 오랫동안 성균관 유생들을 교육하였다. 이후 병조참의를 거쳐 1495년(연산군 1) 충청도관찰사가 되어 지방의 문풍을 진작시켰다. 그러나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났을 때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요사한 꿈에 가탁하여 선왕을 훼방하였으니 대역부도이므로 극형에 처할 것을 주청해 오점을 남겼다. 이후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말년의 생애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학문과 저술]

저서에는 『신편동국통감(新編東國通鑑)』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발랑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제학에 증직되고, 문장(文莊)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함흥 문회서원(文會書院)과 구성면 상좌원리 도동서원(道洞書院)에 향사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