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446
한자 古代
영어음역 Godae
영어의미역 Ancient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고대/고대
집필자 김봉숙

[정의]

초기 국가 시대부터 남북국 시대까지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역사.

[개설]

김천 지역은 삼한 시대에 감문국주조마국 등의 소국을 형성하였으나 신라로 편입되었다.

[변천]

청동기 시대부터 한반도에는 많은 소규모 부족 국가가 발생하였다. 중국 사서인 『후한서(後漢書)』의 「동이전」에는 마한 54국, 진한 12국, 변한 12국으로 모두 78국이 한반도 남부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중 김천 지역에도 감문국주조마국 등 몇몇 부족 국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감문국의 읍성은 개령면 동부리에 있는 감문산성으로 추정된다. 감문국 궁궐의 초석으로 전해져 내려온 돌이 양천리 유동산 북쪽 밑에 있는 민가에 1969년까지 있었다. 또한 감문국의 고분으로는 삼성리 오성마을의 전김효왕릉과 서부리에서 신룡리로 넘어가는 길옆에 있는 폐탑 석편[현재 김천 서부리 삼층석탑은 복원되었음] 근처의 전장부인릉이 있어 감문국이 이곳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삼국지(三國志)』에 진한, 변한의 국가 규모를 “큰 나라는 4~5천이고, 작은 나라는 6~7백 집인데 모두 4~5만 호[大國四五千 小國六七百家 聰四五萬戶]"라고 기록하고 있다.감문국의 규모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으나 변한 내의 국가수로 보아 지금의 군 정도로 추정된다. 『동사』에 아포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군병 30명을 동원한 것으로 보아도 감문국은 6~7백 가구의 작은 나라였음으로 짐작할 수 있다.

감문국은 213년(조분이사금 2) 신라의 영토로 병합되었는데, 이때 공을 세운 신라 대장군 석우로의 이야기는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석우로 열전」에 잘 남아 있다.

418년(눌지왕 2) 아도(阿道)직지사를 창건하여 불교문화의 중심지로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현재 김천 지방에는 직지사를 비롯하여 당시 건립된 절의 이름과 절터가 20여 곳 남아 있다. 직지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아도화상이 선산 도리사(桃李寺)를 창건하고 황악산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쪽에 큰 절이 설 자리’라고 하여 직지사로 불렸다는 설이 있다.

557년(진흥왕 18) 감문주(甘文州)를 두어 상주(上州)의 치소가 되었다. 이 주치(州治)의 설치는 백제와의 전쟁에 대비한 군사적 필요성에 따른 조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김천시의 고성산성, 감문면속문산성, 소산성과 개령면구산성, 부항면의 이름 없는 성, 대덕면의 대덕성, 구성면덕대산성 등을 통해서 이 일대의 중요성을 잘 알 수 있다. 562년(진흥왕 23) 대가야를 정벌할 때 주조마국도 함께 신라에 병합되었다.

614년(진평왕 36) 상주의 주치가 일선주(一善州)로 옮겨진 뒤, 군현 체제가 성립되면서 금물현(今勿縣)[현 김천]·김산현(金山縣)[현 김천]·지품천현(知品川縣)[현 지례면]·무산현(茂山縣)[현 전라북도 무주군] 등을 거느리게 되었다.

647년(진덕여왕 1) 백제의 대군이 무산(茂山)·감물(甘勿)·동잠(桐岑) 등 세 성을 침공하였을 때 김유신(金庾信)이 군사 1만 명을 거느리고 이를 방어하였으나 불리하게 되자 부하인 비령자에게 전세를 호전시킬 임무를 주었다. 이에 아들 거진(擧眞), 노복 합절(合節)과 함께 적진에 뛰어들어 분전하다가 모두 전사하였다. 이를 목격한 신라 병사는 용기를 내어 백제군을 일거에 무찌르고 이 지역을 지켰다는 이야기가 『삼국사기』에 전해지고 있다.

757년(경덕왕 16) 한화 정책에 의해 전국의 군현 명칭이 한자식으로 개편될 때 감문군개령군(開寧郡), 금물현어모현(禦侮縣), 지품천현지례현(知禮縣), 무산현은 무풍현으로 각각 개명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7.19 2011년 한자 최종 검토 작업 변한의 국가 규모를 “大國四五千小國六七白家聰四五萬戶”라고 기록하고 있다. ->변한의 국가 규모를 “큰 나라는 4~5천이고, 작은 나라는 6~7백 집인데 모두 4~5만 호(大國四五千 小國六七百家 聰四五萬戶)”라고 기록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