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갈계정은 조선 후기 갈계(葛溪) 김도(金燾, 1602~1686)가 건립한 정자이다. 김도는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손자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자인(子仁), 호는 갈계이다. 갈라곡에 정자를 지어 스스로 즐겼으며, 시에 능하고 글씨에도 뛰어났다. 수직으로 부호군을 역임하였으며 당대의 명류인 학사(鶴沙)·표은(瓢隱)·야암...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서식하고 있는 갈매기과의 조류. 2005년 안동댐 중류 안동시 임하면 천전2리 호계섬 인근 약 661.16㎡의 흙섬 남쪽 백사장에서 바닷새인 제비갈매기의 알둥지 30여 개소가 발견되었다. 담수호에서 갈매기들은 태풍 등 기상이변 등이 원인이 돼 철새처럼 잠시 날아 왔다가 다시 바다로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처럼 호수를 번식지로 삼아 텃새로 살아...
-
금소의 역사에서 갈암(葛菴)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의 위상은 남다르다. 이현일은 1701년 금소로 이주하면서 주민들과 각별한 인연을 맺게 된다. 퇴계 이황의 제자인 김성일(金誠一)의 학문은 장흥효(張興孝)를 거쳐 이휘일(李徽逸)과 이현일 형제에게 전해졌는데, 장흥효와 이휘일은 일생을 처사로 지냈으나, 이현일은 이조판서까지 올랐다. 또한 이현일은 3...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금양강도의 터. 갈암 금양강도지(葛庵 錦陽講道址)는 갈암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이 만년에 금양정사(錦陽精舍)를 세워 후학들을 강학하던 곳이다. 이현일은 본관이 재령(載寧)이고,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이시명(李時明)의 아들이며, 영해 인량리에서 대대로 살았다. 퇴계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학행(學行)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었던 사립 대학교. 바람직한 인간성과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참된 지적 생활인, 기초 과학에 바탕을 둔 응용력과 창의력을 연마함으로써 탐구와 창조의 실천인, 고도 산업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이론과 기능을 습득함으로써 지역 사회와 국가 산업 발전에 봉사할 수 있는 기술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였다. 교훈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고곡리는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 이 골짜기가 깊고 길다고 하여 고일, 고곡(古谷), 고곡촌(古谷村)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동군 임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금소리 일부가 통합되어 고곡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안동군 임하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탕건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68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주민 김구익(남, 43)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동시사』에 수록하였다. 도연폭포 아래쪽에 가면 둘레가 열 아름이나 되는 바위가 하나 있다. 이전에 선비들은 과거를 보러 이곳을 지날 때 반드시 바위 앞에서 올해 과거에 급...
-
금소 주민들은 매년 정월 대보름 자시(子時)에 매미시골 입구에 있는 느티나무 곧 당나무를 찾아 동제를 지낸다. 예전에는 당골과 독골, 매미시골에 있는 제당에서도 동제를 지냈다고 하지만 지금은 매미시골에서만 지낸다. 금소리에서 태어나서 일생을 마친 임응성(林應聲, 1806~1866)이 쓴 문집에 상당, 중당, 동성황당 또는 신당(神堂), 진산(鎭山), 중당쑤(中...
-
유교문화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것이 임하면 금소리 1028-14번지에 있는 안동포타운이다. 국비 50%, 도비 15%, 시비 35%를 포함하여 총 31억의 예산이 소요된 안동포타운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안동포를 특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에 착공해서 2007년 8월에 준공하고, 2008년 7월에 개관하였다. 안동포타운의 시설 규모를 보면 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의성김씨 청계종가에서 행한 성년의례. 관례는 사례(四禮)의 하나로 청소년기를 지나 어른으로 진입하는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 의례이다. 2005년 3월 27일,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의성김씨 집성촌에 위치한 의성김씨 청계(靑溪) 종가에서 16대 종손 김창균의 장남 김관혁의 관례가 거행되었다. 당시 김관혁은 21세의 나이였으며 군입대를 앞두고 있는...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괴와 고택은 현재 소유자인 김시일의 8대 조부인 김점운(金漸運, 1782~1853)이 약 200년 전에 지은 집이라고 전한다. 김점운의 본관은 의성이며 호는 괴와로, 운암(雲巖) 선생의 8세손이다. 김점운은 어린 시절부터 총명했으며, 족조(族祖)인 우고(雨皐) 김도행(金道行)에게 학문을 배웠다.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순오(順五)이다. 1891년(고종 28)에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당시 도서면 오대동)에서 출생하여 1940년에 사망하였다. 권영직은 1919년 3월 21일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길안면 시위는 3월 21일 장날을 이용하여 임하면 오대동의 손영학(孫永學)·김정익(金正翼...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또 다른 이름은 권차철(權且喆)이다. 1894년(고종 31) 임서면 오대동(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 133번지에서 출생하였으며, 1971년 세상을 떠났다. 권우철은 1919년 3월 21일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길안면 시위는 3월 21일 장날을 이용하여 임하면 오대리의 손영학(孫永學)·김정익...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금곡재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509-73번지[금소4길 25]에 있다. 약산 기슭에 남동향으로 터를 잡았다. 1810년(순조 10) 예천임씨의 발의로 금수서당(錦水書堂)으로 건립되었다. 상량문에 의하면 1849년(헌종 15)에 중수하였으며, 이후 이름을 금수서숙(錦水書塾)으로 바꾸었다. 1928년 예천임씨 입향조인 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하던 편싸움 형식의 대동놀이. 금소동채싸움은 동서로 편을 갈라 동채에 탄 장수(대장)의 지휘 아래 수백 명의 장정이 상대편의 ‘동채’를 서로 밀어 붙여 상대의 동채를 먼저 땅에 닿게 하여 승패를 겨루는 놀이이다. 이때에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여 넓은 들판에서 놀이판을 벌이며, 승부가 쉽게 결정되지 않으면 밤늦게까지 계속하기도 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여성들만의 전통놀이. 금소동 지애밟기는 부녀자들만이 꼬깨를 만들어 싸움의 승패를 가려서 여성대장군의 위력을 과시하는 여성들의 용감무쌍한 정신과 자신감이 잘 나타나 있는 놀이이다. 지애란 기왓장의 옛말로서, 부녀자들이 상체를 구부려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 선 모습이 마치 기와처럼 보여 부르는 말이다. 또한 그 위를 밟고 지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의 안산(案山)인 비봉산(飛鳳山) 봉우리에서 마을을 내려다보면 마을 앞들에 흐르는 물길이 비단 폭을 펼쳐 놓은 듯하여 금수(錦水)·금양이라 하였다가, 비봉산 아래의 오동소(梧桐沼)에는 거문고가 있어야 부합된다는 전설에 따라 금소(琴韶)로 개칭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금소에서 만세 시위를 벌이자 일본인들이 마을의 이름을 금소라고 바꾸었다고도 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금소리 고인돌 떼는 모두 4곳에 나뉘어 있다. 금소리 고인돌 떼1은 금소평야에 위치한다. 현재 외형상으로 제대로 확인되는 고인돌은 1기뿐으로, 계단식 논의 둑에 위치하고 있다. 금소리 고인돌 떼2는 금소리 입구 당지골에 골짜기를 따라 4기가 분포되어 있다. 금소리 고인돌 떼3은 마을 뒷산(쇗골)에 있다. 또한 고인돌이 위치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연대 미상의 석탑. 금소리 석탑은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마을회관 뒤에 위치한다. 새마을공판장 옆으로 돌아가면 담장 안쪽으로 탑이 보인다. 현재 석탑은 금소리 560[금소3길 8-7] 임용재의 집 마당 남쪽 구석에 위치한다. 석탑의 북쪽에 석불이 놓여 있다. 금소리 석탑은 전체적으로 파손이 심하여, 현재는 흩어진 석탑재를 대강 맞추어 쌓아 올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예천임씨 동성 마을. 마을의 안산(案山)인 비봉산(飛鳳山) 봉우리에서 마을을 내려다보면 마을 앞들에 흐르는 물길이 비단 폭을 펼쳐 놓은 듯하여 금수(錦水)·금양이라 하였다가 비봉산 아래의 오동소(梧桐沼)에는 거문고가 있어야 부합된다는 전설에 따라 금소(琴韶)로 개칭하였다. 조선 중기에 임억숙(林億淑)이 정착함으로써 예천임씨 집성촌을 형성하게 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울진임씨 동성마을. 원래 금수 또는 금양이라 하였다가, 마을 안산인 비봉산에서 내려다보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냇물이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듯하여 금소(錦韶)라고 불렀다. 그 뒤 비봉산 아래에 있는 오동소(梧桐沼)에는 거문고가 있어야 제격이라는 전설에 따라 금소(琴韶)로 개칭하였다. 조선 중기 임강(林江)이 원래 살고 있던 영해에서 옮겨 와 금...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시대 암각서. 금양단은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이 강학하던 금양정사(錦陽精舍) 자리에 새긴 암각서이다. ‘금양’이란 금양정사를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이현일의 별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이곳에서 이현일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제자 657명의 이름을 기록한 『금양급문록(錦陽及門錄)』이 전한다. 이현일은 퇴계학통을 계승하여 당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기와밟기를 할 때에 불렀던 유희요의 하나. 기와밟기는 놋다리밟기의 일환으로 하는 놀이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은 놀이이다. 놋다리밟기는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 공민왕 몽진시 안동의 소야천에 다다랐을 때 부녀자들이 허리를 굽혀 왕후인 노국공주를 태워 강을 건너게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기와밟기 노래」는 기와밟기를 할 때에 여성들이 늠름한 남성을 맞이하면서 부...
-
금소에서는 길쌈할 때 부르는 노래로 「삼삼기 소리」와 「베틀 노래」가 전한다. 길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삼을 삼는 일이며 다음은 베를 짜는 일이다. 이런 이유로 길쌈 노래는 이 두 일과 관련되어 지어지고 전승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길쌈 노래는 여성들의 고난을 드러내고 있다. 길쌈이란 노동 자체도 힘들지만 여성으로서 겪어야 하는 시집살이의 문제가...
-
농사가 주업인 농촌 지역에서 농업용수의 확보는 생계와 직결될 만큼 중요한 문제이다. 농지가 아무리 넓어도 물의 공급이 적절치 못하면 한 해 농사의 결실을 맺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철 고루 비가 내린다면 별 문제 없겠지만 장마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한반도의 기후 특성상 매시기 물 걱정 없이 농사짓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인위적으로 저수지나 보, 관...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1880년(고종 17)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출생하여 1945년 사망하였다. 김규식은 1907년에 안동 진천에 설립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協東學校)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김동삼(金東三)·이상룡(李相龍) 등 안동 지역 인사들이 신민회(新民會)와 더불어 해외...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백순(伯純), 호는 약봉(藥峯). 아버지는 청계(靑溪) 김진(金璡), 어머니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김진의 다섯 아들 중 장자로 당시 동생 김수일(金守一), 김명일(金明一), 김성일(金誠一), 김복일(金復一)과 함께 ‘김씨오룡(金氏五龍)’으로 불렸다. 김극일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초명은 김진행(金晉行), 자는 퇴보(退甫)·간부(艮夫), 호는 구사당(九思堂). 아버지는 교리 김성탁(金聖鐸), 어머니는 무안박씨(務安朴氏)로 통덕랑 박진상(朴震相)의 딸이다. 본래 호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사후에 지인(知人)들이 ‘안자실약허(顏子實若虛)’의 뜻을 취하여 허암(虛庵)이라 불렀다가, 서재에서 ‘구사당(九思堂)’이란 도...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成), 자는 중언(中彦), 호는 비서(賁西)이다. 만주에 들어가 백두산 기슭에 산다는 뜻에서 백하(白下)라는 별호(別號)를 사용하기도 했다. 1845년(헌종 11)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우파(愚坡) 김진린(金鎭麟)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김대락은 1845년 안동에서 세가 좋았던 천전(川前: 내앞) 마을에서 태어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초명은 찬식(纘植), 또 다른 이름은 김동만(金東萬)이다. 1880년(고종 17)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출생하였다. 만주에서 활약한 일송(一松) 김동삼(金東三)의 동생이다. 김동만은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김대락(金大洛)·이상룡(李相龍) 등 안동 지역 인사들이 신민회와 더불어 해외 독립운동 기지 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본명은 긍식(肯植), 자는 한경(漢卿)이었는데, 만주로 망명해서는 이름을 동삼(東三), 자는 성지(省之), 호는 일송(一松)으로 고쳤다.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김계락(金繼洛)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유년 시절에는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문하인 김주병(金周秉)에게서 전통 교육을...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아버지는 경상도 도사(都事)를 지낸 김진린(金鎭麟, 1825~1895)이며, 만주 독립군 기지 개척의 지도자였던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큰오빠이다. 김락은 1862년(철종 13)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4남 3녀 중 막내딸로 태어났다. 김락은 1880년 만 18세의 나이로 안동시 도산면 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형일(亨一), 호는 근암(槿庵)이다. 할아버지는 경상도 도사(都事)를 지낸 김진린(金鎭麟, 1825~1895)이며, 만주 독립군 기지 개척의 지도자였던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큰아버지이다. 1866년(고종 3)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1리(내앞마을)에서 김효락(金孝洛)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김만...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언순(彥純), 호는 운암(雲巖). 아버지는 청계(靑溪) 김진(金璡), 어머니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김진의 다섯 아들 중 삼남으로 당시 형 김극일(金克一), 김수일(金守一), 동생 김성일(金誠一), 김복일(金復一)과 함께 ‘김씨오룡(金氏五龍)’으로 불렸다. 김명일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병문의 또 다른 이름은 김국명(金國明)이다. 1894년(고종 31)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나 1967년 사망하였다. 김병문은 1894년 의성김씨 동성마을인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0년 음력 8월 안동 풍산면에서 차경석(車京錫)이 교주로 있는 흠치교 교단에 가입하여, 겉으로 종교 활동을 표방하면서, 속으로는...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제경(濟卿), 호는 만원(晩畹)이다. 1856년(철종 7) 의성김씨 천전(내앞) 문중의 종손으로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1리에서 출생하여 1936년 사망하였다. 김병식은 1907년 내앞마을에 설립된 협동학교에서 교장으로 활동하였다. 협동학교는 안동의 혁신 유림인 김대락(金大洛)·이상룡(李相龍)·류인식(柳寅植)...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계순(季純), 호는 남악(南嶽). 아버지는 청계(靑溪) 김진(金璡), 어머니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김진의 다섯 아들 중 오남으로 당시 형 김극일(金克一), 김수일(金守一), 김명일(金明一), 김성일(金誠一)과 함께 ‘김씨오룡(金氏五龍)’으로 불렸다. 김복일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여자의 애달픈 삶을 노래한 비극적 서사민요. 「김선달네 맏딸아기」는 인물이 잘났다고 소문난 김선달의 맏딸이 시집을 가서 시어머니의 고된 시집살이를 견디지 못하고 친정어머니를 원망하며 집을 나간다는 줄거리를 지닌 부녀요이다. 노래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 「이선달네 맏딸애기」라고도 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문조(文祖)이다. 아버지는 김규식(金圭植)이며, 만주 독립군 기지 개척의 지도자였던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큰아버지이다. 1896년(고종 33)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1리에서 장남으로 출생하여 1936년 사망하였다. 묘는 만주에 있다. 김성로는 1907년 대한제국군인 부위(副尉)로 있을 당시...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맹옥(孟玉), 호는 일산(一山), 또 다른 이름은 김종훈(金宗勳)이다. 1890년(고종 27)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내앞마을에서 태어났다. 임하면 천전리에 묘가 있다. 김성로는 1907년 류인식(柳寅植)·김동삼(金東三) 등이 설립한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입학, 졸업하였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사순(士純), 호는 학봉(鶴峰). 할아버지는 김예범(金禮範)이고, 아버지는 김진(金璡), 어머니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동생은 김복일(金復一)이다. 김성일은 안동부 임하현 천전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19세에 글을 읽다가 ‘선비가 세상에 태어나서 과거 공부만 하고 진리를...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명우(鳴于), 호는 이호(伊湖). 아버지는 금옹(錦翁) 김학배(金學培), 어머니는 개성고씨(開城高氏)로 고이절(高爾節)의 딸이며, 처는 팔거도씨(八莒都氏)로 도이망(都爾望)의 딸이다. 김세용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김학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9세 때 내종형 고세헌(高世憲)에게 수업을 받았고 11세에는...
-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경순(景純), 호는 구봉(龜峯). 아버지는 청계(靑溪) 김진(金璡), 어머니는 여흥민씨(驪興閔氏)로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김진의 다섯 아들 중 차남으로 당시 형 김극일(金克一), 동생 김명일(金明一), 김성일(金誠一), 김복일(金復一)과 함께 ‘김씨오룡(金氏五龍)’으로 불렸다. 김수일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1878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김술병은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같은 해 3월 21일 길안면 만세시위에 주도자로 참가하였다.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는 임하면 오대리의 김정익(金正翼)을 비롯한 손영학(孫永學)·김정연(金正演) 등에 의해 준비되었...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이승(以承), 호는 표은(瓢隱)·도연(陶淵). 할아버지는 김수일(金守一), 아버지는 김철(金澈), 어머니는 풍산김씨(豊山金氏)로 고려삼사좌윤(高麗三司左尹) 김안정(金安鼎)의 후손이며 지평 김봉조(金奉祖)의 딸이다. 아버지 김철은 백부 김극일(金克一)의 후사가 되었다. 김시온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시태는 1896년 의성김씨 동성마을인 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1920년 음력 10월 김시태는 차경석(車京錫)이 교주로 있는 흠치교 교단(敎團)의 8인조에 가입하여, 표면적으로는 종교 활동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나라를 되찾는 데 헌신하기로 결심하였다. 더불어 경상북도 지역에서 흠치교의 신도를 모집하여 교세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김...
-
전통시대부터 우리나라 각 마을에서는 산신을 마을신으로 섬겼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산신이 곧 동신이고 산신제가 곧 동신제이게 마련이나 금소의 산신은 조상신·혈연신으로 알려져 있다. 마을의 유력 성씨인 예천임씨와 울진임씨 가문에서 제각기 자기 ‘조상할머니’를 산신으로 섬기는 것이다. 예천임씨들은 ‘무오생(戊午生) 김씨할매’를, 울진임씨들은 ‘무신생(戊申生) 이씨할매’를 조상할머니로...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영춘은 1924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다.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안동 출신의 한국광복군 대원들은 1944년 일제에 강제로 징병되어 중국 제9전구로 이동 도중 탈출하여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외에도 만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만주사변...
-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문신 운천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며 쓴 일기. 김용(金涌, 1557~1620)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웠고, 곧이어 선조(宣祖)가 피난한 의주로 가서 왕을 호종하여 교리(校理)에 임명되었다. 『운천호종일기(雲川扈從日記)』는 당시 의주로 피난한 선조를 호종(扈從)하면서 김용이 직접 쓴 일기로,...
-
조선 말기 안동 출신의 의병. 김우철이 활동하였던 박처사 의진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 300여 명을 거느리고 예안과 안동, 진보, 영양 등지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박처사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박처사는 의진을 결성한 후 대규모 항쟁보다는 소규모로 인원을 나누어 활동하였는데, 특히 부하인 이화서·김문호·권계홍 등은 의병 약...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문백(文伯)이다. 일송 김동삼(金東三)의 6촌 동생으로 1889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김장식은 1919년 3월 정인호(鄭寅琥) 등이 조직한 구국단(救國團)에서 활동하였으며, 만주로 망명한 이후에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서 활동하였다. 김장식이 참여한 서로군정서는 1919년 4월 이상룡(...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문중(文重)이다. 1888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김재락은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1919년 3월 21일 길안면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는 임하면 오대리의 김정익(金正翼)을 비롯한 손영학(孫永學), 김정연(金正演)...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일중(一中)이다. 만주에 독립군 기지를 개척한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큰아버지이다. 1888년 의성김씨 동성마을인 내앞마을(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1리)에서 김소락(金紹洛)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강점당하자 김정식의 큰아버지 김대락은 김동삼(金東三), 이상룡(李相龍)...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장언(長彦)이다. 1891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고향에서 한문을 익힌 김정연은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1919년 3월 21일 길안면 만세시위에 주도자로 참가하였다....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1891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묘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김정익은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동년 3월 21일 길안면 만세시위에 주도자로 참가하였다.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는 임하면 오대리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주로는 1920년 음력 7월 임하면 천전리에서 차경석(車京錫)이 교주로 있는 흠치교 교단(敎團)의 8인조에 가입하여, 종교 활동을 표방하면서 나라를 되찾는 데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경상북도 지역에서 흠치교 신도를 모집하여 교세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1924년 ‘갑자년(甲子年)이 되면 흠치교의 힘에 의해 조선이 독립할 것’이라고 선전하면서 자금 모...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김진우는 의성김씨(義城金氏)로 자는 계노(啓魯), 호는 소와(素窩)이다.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족조인 죽옹(竹翁) 김용섭(金龍燮)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4살 무렵 부친상을 당하였는데 슬퍼하고 상을 치르는 것이 성인같았다고 한다. 1822년 어머니의 뜻에 따라 중형이 있는 영양의 금대(琴臺)로 이사하였다. 1833년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징로는 본관이 의성(義城)으로 1894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성방(聖邦)이다. 1948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다. 1919년 고종의 죽음으로 전국으로 3·1운동의 물결이 퍼져 나간 가운데 안동 지역에서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천삼(天三), 호는 적암(適庵). 할아버지는 표은 김시온(金是榲)이고, 아버지는 김방형(金邦衡)이다. 둘째 아들로 태어난 김태중은 김시상(金是相)에게 입후(入後)한 숙부 김기(金炁)의 양자가 되었다.어머니는 순천김씨로 김광엽(金光燁)의 딸이며, 부인은 남양홍씨로 홍극(洪克)의 딸이다. 김태중(金台重, 1649~17...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필락은 본관이 의성(義城)으로 1873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성옥(聲玉), 호는 오은(梧隱)이다. 1919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 홍은사 바로 뒤에 있다. 일찍이 김대락(金大洛)·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활동하다가 1910년 이들이 만주로 망명하자, 나라를 떠나면 영원히 잃게 된다고...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천휴(天休), 호는 금옹(錦翁). 아버지는 김암(金黯),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로 직장 이의준(李義遵)의 딸이다. 김학배는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김시온(金是榲)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이휘일(李徽逸), 이현일(李玄逸)과 교유하였다. 1641년에 둘째 형 김학요(金學堯)와 더불어 군상(郡庠)에...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형만(亨萬), 호는 월오헌(月梧軒). 할아버지는 추촌(秋村) 김익한(金翼漢)이고, 아버지는 김시진(金始晋)이며, 어머니는 함안조씨(咸安趙氏)로 사인(士人) 조경발(趙景潑)의 딸이다. 김회운(金會運, 1764~1834)은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추월리에서 태어나 김도행(金道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2~13세에 경사를 통독...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후병은 1874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청계 김진(金璡)의 후손이다. 1954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방정산에 있다. 김후병은 1907년 안동의 혁신유림인 김대락(金大洛)·이상룡(李相龍)·류인식(柳寅植)·김동삼(金東三) 등이 참여하여 세운 안동 지역 최초의 근대식 중등 교육기관인 협동학교...
-
조선 후기 인물인 임만휘(1783~1834)가 남긴 『만문유고(萬聞遺稿)』 권지1(卷之一)에는 동채싸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 한시가 있다. 벼락치듯 빠른 놀림 이길 틈 엿보며 엎치락뒤치락 좋은 날 좋은 시비 나갈 때나 물러설 때 하해를 물꼬튼 듯 솟구쳐 오를 때는 새매가 나는 듯 한 마당 동채에 바람끝이 뒤따르고 겹겹의 사람숲엔 달빛이 비추이네 서북편이 이겼는가 개선소리 놀랍구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절터. 1983년 발간된 『안동향토지(安東鄕土誌)』에 “옛날 『영가지(永嘉誌)』 편찬 당시(1608)에는 이곳에 남연사(南淵寺)라는 사찰이 있었다. 그리고 그 아래에 깊은 물이 있었으나, 『안동향토지』를 발간할 때는 사찰이 없어지고 절터만이 남아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연사지(南淵寺址)는 임하면 금소리의 앞산인 비봉산 정상부 남쪽에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노산리는 마을이 노산(盧山) 아래에 위치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노산촌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동후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초현동·석동동·반시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노산리가 되었다. 193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월곡면에 편입되었다. 1971년부터 시작된 안동댐 건설로 노산리의 일부 지역이 수몰되었고...
-
금소리에 있는 안동포타운에는 관광객들이 안동포에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본관 맞은편에 위치한 체험관에서는 안동포 복주머니 만들기와 한지공예체험 등의 체험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안동포 복주머니 만들기 체험은 안동포를 이용해 복주머니를 만드는 것이다. 복주머니 만들기 체험장에는 6명의 체험 강사들이 교대로 상주하며 기초 작...
-
안동 지역은 예부터 무명과 명주, 삼베길쌈이 모두 성행하면서 길쌈의 고장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무명길쌈과 명주길쌈이 자취를 감추면서 최근에는 삼베길쌈만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976년 안동 지역의 면화 재배면적은 123.8㏊였으나 1980년 64.9㏊로 절반 정도 줄어들었다. 반면 삼의 재배면적은 1976년 3.3㏊였던 것이 1980년 7.7㏊로 증가하였다. 당...
-
동채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은 대장이다. 동채 위에 오른 대장은 각 부분의 동채꾼은 물론 자기 편 구경꾼들까지 총괄, 지휘하면서 동채꾼들이 효과적으로 움직여 상대편을 제압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대장의 진가는 무엇보다 동채끼리의 공중전에서 드러난다. 경험이 풍부한 대장의 능숙한 지휘는 동채를 민첩하게 움직여 승리로 이끌기 때문이다. 1940년대 금소마을 동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작업노동요의 하나. 「망깨 소리」는 토목공사를 하기 위해 큰 말뚝을 망깨로 박으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1,000근이나 나가는 가장 무거운 망깨는 쇳덩이를 공중으로 들어 올렸다가 갑자기 뚝 떨어뜨려 큰 나무를 땅에 박는 기구이다. 망깨를 들자면 일꾼이 아주 많이 필요하다. 망깨에 줄을 묶어 도르래에 걸고 한꺼번에 여럿이 망깨줄을 잡고 뒤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목암정은 조선 후기 목암(牧庵) 김정기(金鼎基, 1632~1708)가 건립한 정자이다. 김정기의 아호인 목암은 『주역(周易)』의 ‘지극히 겸손한 군자는 낮음으로써 자처한다(謙謙君子卑以自牧也)’에서 그 의미를 따왔다. 김정기의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의 현손이고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증손이며, 개...
-
안동포는 1.5~2m 가량 자란 어린 대마를 원료로 한다. 대마 껍질 중에서 속껍질만 가지고 짜는 ‘생냉이’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 삼베와 차이를 보인다. 생냉이로 만들어진 안동포는 삼베 결이 곱고 오래간다. 예부터 안동 지역에서는 삼베도포나 삼베수의만큼은 반드시 생냉이로 만들어 입는 전통이 있었다. 이 때문에 혼수로 시아버지의 도포를 지어갈 때나 죽어서 입는 수의와 같이 중요한 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관광농원. 백운관광농원은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체험과 편의 시설을 제공하고자 의성김씨 문중의 방풍림이 있는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에 건립되었다. 낚시터, 산림욕장, 캠프파이어장을 비롯하여 농산물 직판장, 흑염소 방목장, 표고버섯 재배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운동계곡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도 개설되어 있다. 백운관광농원은 반변천(半邊川)...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백운정은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이 지은 정자이다. 김수일은 본관이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의 둘째 아들이다. 과거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고향에 남아 자연과 더불어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977번지[경동로 185...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경상북도 안동에서 청송 방면의 국도를 따라 8㎞ 정도 가면 왼쪽에 안동대학교가 나오고, 계속 국도를 따라 6㎞ 가면 11번 시내버스 종점이 나타난다. 시내버스 종점을 지나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마을회관이 보이고 조금 더 가면 작은 다리가 나오는데, 좌측으로 난 도로를 따라 200m 정도 가면 백인재 고택을 찾을 수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백하구려(白下舊廬)는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1885년 4월 19일에 건립한 것으로 보이는 고가이다. 당호는 김대락의 호인 백하(白下)에서 따 온 것이다. 김대락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초에 국민 계몽과 독립 운동에 헌신하였다. 1977년 대통령표창,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愛族章)이 추서되었다....
-
안동포의 가치는 새로 결정된다. 1새는 80가닥의 올을 말하며, 같은 폭에 들어가는 올의 개수가 새를 결정한다. 즉 7새인 경우, 폭 36㎝ 안에 560올이 들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면적이 같은 곳에 1새를 더 넣으려면 그만큼 올이 곱고 가늘어야 한다. 따라서 새가 클수록 옷감은 더욱 부드럽고 고급스러워지게 마련이다. 당연히 새가 클수록 시장 가격이 높게 형성된다. 2009년...
-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는 “삶터를 잡는 데에는 지리와 생리, 인심이 좋아야 하고 아름다운 산과 물이 있어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만큼 삶터를 정하는 데 가려야 할 것이 많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산과 물이 주민들의 생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마을의 경관을 형성하는 데에도 한몫을 차지한다고 믿고 있다. 그런 맥락에서 마을 뒤로 산이 있고 마...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사빈서원은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과 그의 아들 5형제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1685년(숙종 11)에 사림과 후손들의 공의로 건립되었다. 1709년(숙종 35) 동구 밖 사수(泗水)가로 이건하여 ‘사빈서원’이라 하였다가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고, 1882년(고종 19) 사림과 후손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삼 삼기를 할 때에 부르는 길쌈노동요. 베를 짜는 데 필요한 섬유질은 삼의 껍질에서 나온다. 삼 삼기와 베짜기는 길쌈 작업의 대표적인 것이다. 삼 삼기는 입으로 가늘게 짼 삼실을 한 올 한 올 침을 발라 끝을 이어서 긴 삼실로 만드는 일이다. 삼 삼기는 고되기도 하지만 줄곧 앉아서 하는 일이어서 다른 일보다 훨씬 지루하기 때문에 지루함을 덜기 위해...
-
길쌈의 여러 과정 가운데 가장 많은 시간을 들이는 작업이 삼삼기이다. 생냉이 삼삼기는 혼자 하기엔 따분한 일이어서 긴 시간 혼자 작업을 하다 보면 좀처럼 일의 능률도 오르지 않았다. 이 때문에 금소에서는 예전부터 일의 지루함을 달래고 능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명의 여성들이 모여 ‘둘게삼’, 혹은 ‘삼둘게’를 조직해서 삼삼기를 했다. 삼둘게는 돌아가면서 하루에 한 사람씩...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 「상여 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출상 당일에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꾼(상두꾼)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상여나가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앞소리꾼이 사설로 앞소리를 메기면 상두꾼들이 뒷소리를 후렴으로 받는다. 안동 지역에서 「상여 소리」의 후렴은 “너호 너호 에이 넘차 너호”라고 하는 것...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손돌이는 1891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고종의 죽음으로 전국으로 3·1운동의 물결이 퍼져 나간 가운데 안동 지역에서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4회에서 걸쳐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이중 손돌이는 임하면 금소리와 신덕동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가하였다. 임...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극선(極善)이다. 1883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 있다. 1919년 고종의 죽음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손두원은 김필락(金珌洛)·손영학(孫永學)·김정연(金正演) 등과 함께 길안면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3월 21일 오후 3시 무렵...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오(省梧), 호는 자여(自餘)이다. 1895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다. 손영학은 1919년 고종의 죽음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김필락(金珌洛)·손두원(孫斗源)·김정연(金正演) 등과 함께 길안면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3월 21일 오후 3시 무렵 시위 군중은 대한 독립 만세를 부르면서 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신당(新塘)의 ‘신’자와 인덕(仁德)의 ‘덕’자에서 따서 신덕리(新德里)라 하였다. 신당이라는 지명은 마을 앞에 연못이 있던 데서 유래되었으며, 또한 옛날 추월(楸月)과 같이 동제를 지냈던 당나무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임서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당동·인덕동·평지동과 남선면의 이곡동 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고인돌의 하부 구조는 하부가 지하에 매몰되어 확실히는 알 수 없으나, 받침돌이 없는 형식으로 추정된다. 동네 주민들은 고인돌을 ‘칠성바위’라고 부른다. 신덕리 고인돌 떼는 임하면 신덕리 중덕(신이덕)마을의 남쪽, 구도로 변에 있는 야산의 경사지에 위치한다. 중덕마을은 안동시 송천동에서 포진교를 건너 길안 방향으로 가다가 나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는 의성김씨 동성마을. 마을 앞에 연못이 있다고 하여 신당(新塘), 또는 동제를 지냈던 당나무가 있는 곳이어서 신당(新堂)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당과 인덕에서 ‘신’자와 ‘덕’자를 각각 따서 신덕리(新德里)라 하였다. 입향조 김명일(金明一)은 청계 김진(金璡)의 3남으로 천전리에서 살다가 당시 신당마을에 살고 있던 영양남씨 남...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영월(寧越). 1883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다. 신필원은 일찍이 쓰러져 가는 나라를 걱정하다가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만세시위가 펼쳐지자, 이것을 기회로 나라를 되찾고자 하였다. 안동에서의 3·1만세시위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동유희요. 「실감기 노래」는 아이들이 실감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아동유희요이다. 마치 전라도 지역의 ‘강강술래’ 가운데 ‘청어엮기’ 할 때에 부르는 노래와 비슷하다. 실감기는 나선을 이루며 놀이를 이끄는 선두가 계속 원의 바깥쪽으로 돌고 제일 뒷사람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으므로 마치 꾸리에 씨실을 감는 것과 흡사하다. 예전에는 실감...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주로 아이들이 놀면서 부르는 아동유희요. 실감기가 끝나고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어 멈추면 「실풀기 노래」와 더불어 실풀기를 시작한다. 실꾸리에서 씨실을 풀어낼 때처럼, 이번에는 실꾸리의 한가운데 정점에 위치하고 있는 아이들이 에워싸고 있는 사람들의 팔 밑으로 뚫고 나오면 그 뒷사람들이 계속 따라 나와 실풀기를 하게 된다. 실감기할 때 후미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국탄댁은 김시정(金始精, 1737~1805)의 가옥이다. 김시정은 본관이 의성이고, 호가 국탄(菊灘)이다. 조선 숙종(肅宗, 1661~1720) 때 대사간을 지낸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후손으로, 학문에 정진하여 높은 성과를 이루고 인근의 선비와 덕으로 교류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832번지[임하길...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귀봉 종택은 의성김씨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의 종택이다. 1660년(현종 1)에 김수일의 현손부인 창녕조씨가 가묘와 함께 건립하였으며, 1888년(고종 25)에 김주병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고샅이 열린 골목 끝에 있는 대문채를 들어서면 ‘口’자형의 정침이 있는데, 대문채와 정침 사이에는 넓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백운정 숲과 개호송 숲. 백운정(白雲亭)은 귀봉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이 아버지 청계 김진(金璡)으로부터 땅을 받아 1568년(선조 1)에 세운 정자이다. 백운정 숲과 개호송 숲은 의성김씨 내앞[川前] 문중과 관련된 숲인데, 입향조 김만근(1446~1500)이 처음 심은 것으로 전한다. 이후 유실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김진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재사. 송석재사는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안동성을 지키는 데 큰 공을 세웠던 대박(大朴) 김철(金澈, 1569~1616)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한 집이다. 조선 중기 임하면 사의리에 세워졌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7년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정침을 중심으로 좌·우익사를 두고 앞면에는 5칸의 누각을 설치하여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오류헌 고택은 숙종 때 대사성을 지낸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셋째 아들로 좌승지에 증직된 목와(木窩) 김원중(金遠重, 1658~1724)이 경상북도 안동군 임동면 지례동 천곡으로 분가할 때 지은 가옥으로 13대째 내려 살았다. ‘오류헌(五柳軒)’이라는 당호는 현 소유자 김원택의 증조부인 김정환(金庭煥, 182...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의성김씨 종택은 의성김씨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의 종가이다. 김진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영중(瑩仲), 호는 청계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김만근(金萬謹)이고, 아버지는 교위 김예범(金禮範)이며, 어머니는 군수 신명창(申命昌)의 딸이다. 김진은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고 뜻...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기념관.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내앞마을에 있다. 내앞마을은 1907년 협동학교(協東學校)가 설립되어 애국 계몽 운동의 산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점되자 만주로 집단 망명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한 김대락(金大洛)·김동삼(金東三) 등을 배출하였다. 학계에서는 안동을 한국 독립운동의 성지로...
-
경상북도 안동에서 생산되는 삼베. 삼베는 세계의 거의 모든 인류에게 가장 오랫동안 가장 폭넓게 사용된 직물이다. 안동 지역에서는 신라 3대 유리왕 때부터 부녀자들이 삼 삼기 대회를 열었다. 인류가 가장 오래전부터 직조한 옷감은 대마이다. 옷감이 귀하던 시절 전국 어디서나 무명·모시·삼베로 옷감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나, 특히 궁중 진상품으로 지정되었던 안동포는 올이 가늘고 빛이 노란...
-
2008년 7월에 개관한 안동포타운은 영상실과 안동포판매장 등 관람객들을 위한 공간과 사무실과 소회의실 등 직원이나 관계자들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실은 크게 안동포의 역사-안동포 제작과정-안동포의 멋 등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안동포의 역사를 소개하는 코너에는 『삼국사기(三國史記)』·『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고려사(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6-1에 위치한다. 임하면 마을 앞의 논 가운데 둔덕에 서 있다. 이중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4.27m이다. 하층기단의 중석(中石)과 갑석(甲石)은 3매의 판석으로 되어있으며, 중석 면마다 우주와 1주의 탱주가 새겨져 있다. 거의 경사가 새겨져 있고, 경사가 없는 갑석 상면에는 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안동 임하동 십이지 삼층석탑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동 임하리 794번지 마을 논 가운데 있는 3기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소탑(小塔)이다. 안동 임하동 십이지 삼층석탑은 높이 2.74m이다. 2층 지붕돌[옥개석]까지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결실(缺失)되었다. 하층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의 마을 남쪽 야산 자락에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올렸는데,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다. 탑의 전체 높이는 520㎝ 정도로 안동 지역의 석탑으로서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기단부는 높이 168㎝이다. 하층 기단은 지대석과 하대중석, 하대갑석으로 이루어졌고, 별다른 장식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임하동 중앙삼층석탑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 뒤편에 조성된 논 가운데에 있다.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린 모습인데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다. 탑의 전제 높이는 500㎝ 정도이다. 기단부는 하층 기단만 남아 있고 상층 기단은 새로 만들어 올렸다. 지대석은 6매 내외의 판석으로 이루어졌는데, 일부는 새롭게 교...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 안동 제산 종택은 조선 후기 학자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 1684~1747)이 18세기 초에 지은 살림집이며, 우곡초당은 김성탁이 1718년(숙종 44)에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김성탁은 의성김씨로 1734년(영조 10)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와 이조판서 조현명(趙顯命)의 추천으로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천전리 추파 고택은 추파(楸坡) 김정락(金貞洛, 1830~1893)과 그의 아들 김병식(金秉植, 1856~1936)이 살던 집이다. 후에 김병식은 의성김씨 종손으로 들어갔다.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마을 뒤편 야산에 접하여 앉아 있는 안동 의성김씨 종택 앞 조금 떨어진 평지의 외벌대 기단 위에 남향으로 서 있다. 처음...
-
대마는 음력 2월 그믐이나 3월 초순에 파종해서 7월 초에 수확하는 작물이다. 금소에서는 보통 2월이 되면 논에 거름을 내고 경운기를 이용해서 논을 깊이 갈아엎은 다음 비료를 뿌린 뒤 파종을 한다. 7월 초순이 되면 대마는 보통 키가 170㎝ 정도로 자라는데, 이 정도가 되면 농가에서는 대마를 벨 낫을 날카롭게 갈아 둔다. 대마를 베면 상태에 따라 상·중·하로 구분해 한 단씩 쌓아...
-
안동포 생산의 역사는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1608년(선조 41)에 편찬된 경상도 안동부(현 안동시)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풍산현에 목화를 재배하기가 적합하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곧 조선 후기에 이미 이 지역에서 면화가 생산되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금소를 포함한 안동 지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강압적으로 육지면이 재배되어 면화 재배가 쇠퇴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시립 안동포 전시관. 안동포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경상북도 안동 지역은 기후와 토질이 대마 재배 조건에 가장 적합하여 고운 안동포가 지금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안동포전시관은 안동 지역의 대표적 특산품인 안동포의 전통을 계승하며 역사성과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야암정사는 김임(金恁, 1604~1667)이 만년에 건립한 정자로, 야암정사의 명칭은 김임의 아호인 야암(野庵)에서 따온 것이다. 김임이 자작한 「야암설(野庵說)」에 “내가 평생 하는 일은 실속 없는 겉치레를 버리는 데 힘쓰고 오직 속되고 야(野)함만을 숭상했다. 집은 야인이 사는 곳이요, 사람은 이 집의 주인이다”라고 나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 있는 산. 천지가 개벽할 때 온 세상이 물바다로 변했으나 한약 한 첩 크기의 면적만큼은 남아 있었다 하여 약산(藥山)이라고 하는 유래가 전해 오고 있다. 또 산에 만병통치의 귀한 한약재가 많이 나고 풍을 고칠 수 있는 약수가 있어서 약산영봉이라고도 한다. 약산 정상인 약산봉은 문필봉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552.8m이다. 소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신라~고려시대의 포곡식 산성. 양장성(羊腸城)의 초축 시기는 신라시대로 추정되며, 출토된 기와편의 성격에서 고려시대에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양을 길렀다 하여 ‘양장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북쪽을 방어하기 위한 성으로 공민왕 몽진 시 대감이 군사를 거느리고 지켰다는 전설이 전한다. 17세기 초에 편찬된 안동 지역 읍지인 『영가지(永嘉...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현대식으로 노랫말을 바꾸어 부른 가창유희요. 「엉터리 방아 타령」은 지난날 전해오는 「방아 타령」의 노랫말을 현대 사회에 맞게 개사하여 부른 유희요이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5년 12월 안동시 임하면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이봉남(여, 58)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주로 독창이나 선후창으로 부...
-
금소는 수리시설이 발달해 있고 금소천(일명 길안천)이 흘러 천렵을 하기에 제격이다. 천렵은 더위를 피하거나 여가시간을 즐기기 위해 뜻이 맞는 사람끼리 냇가에서 고기를 잡으며 노는 것으로, 봄이나 가을에도 하지만 주로 여름철에 많이 한다. 금소 주민들은 금소천에서 주로 천렵을 한단다. 금소천은 물이 깨끗할 뿐 아니라 얕은 곳에서 서식하는 골부리부터 온갖 종류의...
-
금소의 놋다리싸움은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놀이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놀이 중 대표적인 것이 보름 명절의 특정한 밤이라는 시간적 한정성과 텃논과 구무다리라는 공간적 한정성을 지닌 채 행해지는 ‘꼬깨싸움’과 이어서 벌어지는 ‘구무다리뺏기’이다. 이들 놀이는 남성들의 놀이인 동채싸움을 벌인 이튿날 밤에 행해지며, 나머지 지애밟기와 콩심기, 제배달기 등의 놀이는 명절 기간 아무...
-
금소리 여성들은 삼삼기를 할 때 자주 모이는데, 보통 10명 안팎의 여성들이 점심을 먹은 뒤 넓은 집에서 모여 삼삼기를 시작한다. 삼삼기를 하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일이 지루해지면 일손을 놓고 화투를 치기도 한다. 가끔씩 날을 잡아 외식도 한다고. 예전에는 봄에 참꽃이 필 때 화전놀이를 갔지만, 화전놀이가 없어지면서 요즘은 1년에 2차례 정도 노인회에서 관광을 간다. 20...
-
금소리의 경작지 대부분은 금소천(일명 길안천) 유역의 땅을 개간한 것으로, 보 등의 관개시설을 이용하여 벼농사에 적합한 논으로 변화시켰다. 1970년대 통일벼가 보급되기 이전까지 농촌사회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끼니를 해결하는 일이었다. 농사가 평년작이라도 되는 해에는 그나마 덜했지만 흉년일 때에는 현재의 고리대금이라 할 수 있는 ‘장리(長利)’를 얻어야만 생계를 꾸릴 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언덕이 져있으므로 어드기·오드기 또는 오도촌·오도리·어덕리라 불렀다. 이후 오동나무 숲이 우거져 있어 오동지기(梧桐枝棄)라 부르다가 ‘오동나무 숲의 터’라는 뜻에서 마을 이름을 오대(梧垈)로 정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임서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나천리·금소리·길안면의 산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대리가...
-
금소 지역의 경제적 기반은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남성들의 농사일과 길쌈을 중심으로 한 여성들의 삼베 생산으로 이루어졌다. 농사가 주업이었던 전통사회에서 겨울은 농한기였다. 특히 벼농사 위주로 생활했던 주민들은 겨울철이면 땔감으로 쓸 장작을 하거나 짚신 삼기와 같은 소일거리 외에 별다른 일이 없었다. 대신 시간만 나면 또래 혹은 마을 단위로 크고 작은 놀이판을 벌여 재충전...
-
2009년 현재 금소리 주민들이 주로 재배하는 작물은 벼, 대마, 수박, 참외, 호박, 고추 등이다. 그 가운데 수박과 참외, 호박은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다. 작물을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고 연중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금소에는 약 15가구에서 70여 동의 비닐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처음 비닐하우스를 도입한 것은 1990년대 초반이었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운곡서당은 조선 후기 학자인 금옹(錦翁) 김학배(金學培, 1628~1673)와 적암(適庵) 김태중(金台重, 1649~171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세운 서당이다. 김학배와 김태중이 학문을 가르쳤던 곳의 지명을 따서 운곡서당이라 이름 지었다. 김학배는 1663년(현종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불좌상. 원림사지 석불좌상(院林寺址 石佛坐象)은 임하1리 한작골못마을에서 북쪽으로 7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5m 거리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安東 臨河洞 五層石塔)이 있다. 높이는 100㎝, 어깨 너비는 52㎝이다. 견부(肩部) 이상과 오른쪽 팔목이 손실된 상태이다. 중판복...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의성김씨 청계 종가에서 제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마련한 토지. 조상들의 제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조성한 위토(位土)를 관리하는 조직을 소(所)라고 하는데, 대개 조상마다 별도의 위토가 있는 까닭에 이들 조직 역시 복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청계공파의 경우 현재 총 9개의 소를 보유하고 있다. 제위소(祭位所)는 김진(金...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의성김씨 운암 종택은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셋째 아들인 운암(雲岩) 김명일(金明一, 1534~1570)의 종택이다. 그의 일기에 의하면 23세 때인 1550년(명종 5)에 이미 신덕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안대청 상부의 상량문[건륭십구년갑술년칠월삼십일(乾隆十九年甲戌年七月三十日)]과 이 집의 구조 양식으로 보...
-
금소는 일제강점기에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임하면의 3·1운동은 임찬일(林贊逸)이 고종의 장례에 참가했다가 독립선언서를 가져오면서 모의되었다.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한 임찬일은 고종의 장례에 참가하기 위해 상경하여 봉도단(奉悼團)에 가입하였다. 귀향 후 그는 즉시 안동의 김원진(金源鎭)과 논의하고 독립선언서를 준 후 같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이우당 종택은 안동권씨 부정공파(副正公派) 임하(臨河) 지파의 종택이다. 이우당 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87-1번지에 있다. 안동에서 영양으로 가는 국도변 오른쪽 임하호에 근접하여 있는데, 마을의 모든 건물이 북향인 데 반해 이우당 종택만 북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을의 동남쪽에 위치한 해발 550m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예천(醴泉). 임석이(林石伊), 임병칠(林秉七) 등으로도 불렸다. 1890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574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안동의 3·1만세시위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4회에서 걸쳐 일어났다. 임돌이는 이 가운데 1919년 3월 21일 임하면 금소동과 신...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울진(蔚珍). 자는 맹여(孟余)이다. 임동숙은 1884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437번지[금소중앙길 26-1]에서 태어났고,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안동의 3·1만세시위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4회에서 걸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울진(蔚珍). 이명은 임동휴(林東烋)·임덕수(林德銖)·임덕련(林德鍊)이며, 자는 여일(汝一), 호는 경포(鵛浦)이다. 1896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다.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했다. 1919년 안동의 3·1만세시위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범섭(林汎燮)은 본관이 예천(醴泉)으로, 이명은 임범섭(林範燮)이고, 자는 우석(禹昔)이며, 호는 남당(南堂)이다. 1898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영양군으로 이주하였다. 1969년 향년 72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범섭은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임찬일·임...
-
1919년 안동 지역의 임하면(구 임서면)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 1910년 8월 29일 우리 주권을 강제로 빼앗은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일본육군대장을 조선총독으로 임명하여 일본군 2개 사단과 헌병경찰제를 기초로 입법·행정·사법 및 군사의 전권을 행사하며, 식민지 지배 정책을 강행하였다. 거족적인 민족 운동에 동참하여 일제의 강점을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찾고자 일으킨 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우민(林又民)은 본관이 예천(醴泉)이고, 자는 여일(茹一)이며, 호는 만문(晩聞)이다. 1900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고곡리에서 태어났으며, 1975년 향년 76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우민은 1919년 3월 21일 임하면 금소리 만세 시위에 참가하여 시위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임하면소재지인 신덕리까지 몰려갔다. 300여 명의 군중과...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윤익(林潤益)은 본관이 울진이고, 이명(異名)은 임종열(林宗烈)이며, 자는 주현(周顯)이다. 1885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68년 향년 84세로 세상을 떠났다. 묘소는 임하면 오대리 냉천곡(어대골)마을에 있다. 임윤익은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임찬일·임범...
-
임정한(林鼎漢, 1825~1884) 의 호는 금포(錦圃)로, 아버지는 임응희이다. 평소 독서를 좋아해 그의 방에서는 글 읽는 소리가 그치지 않았다고 하는데, “무릇 인간이 학문을 하는 데 어찌 반드시 다른 사람으로부터 그것을 구하고자 할 것이 있겠는가? 마땅히 익숙할 때까지 거듭 읽고 깊이 생각하여 잠시라도 쉬지 않고 나아간다면 스스로 그 오묘한 이치를 얻을 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지열(林志烈)은 본관이 울진(蔚珍)이다. 1900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19년 향년 20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임지열은 1919년 3월 21일 임하면 금소리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가하여 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 군중들과 함께 금소리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시위를 시작하여 임하면소재지인 신덕리까지 몰려갔...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찬일(林灒逸)은 본관이 울진(蔚珍)이고, 이명(異名)은 임상열(林尙烈)이다. 자는 국삼(國三)이며, 호는 송원(松園)이다. 1895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72년 향년 78세로 세상을 떠났다. 묘소는 안동시 임하면 오대2리 뒷산 나천곡에 있다. 임찬일은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하였...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춘섭(林春燮)은 본관이 울진(蔚珍)이고, 자는 군현(君顯)이며, 호는 명열(明烈)이다. 1886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56년 향년 71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춘섭은 1919년 3월 21일 임하면 시위에 참가하여, 저녁 무렵 마을 사람들과 함께 금소리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임하면소재지인 신덕리까지 시위 행진을 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다리. 임하교는 길이 210m에 2차선, 다리 폭은 10.5m이다. 설계하중은 DB-24톤이며, 통과하중은 43.2톤으로 1등교이다. 임하교는 임하댐이 준공되면서 생긴 임하댐 역조정지 댐을 가로질러 임하댐 본 댐과의 교통을 위해 건설되었다. 1984년 12월 31일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1985년 12월 10일에 완공하였다. 시행청은 건설부 산업...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와 임하리를 연결하는 다리. 반변천을 가로지르는 임하교는 군도 23호선 상에 위치한다. 국도 34호선을 따라가다가 임하면 천전리(내앞마을)에서 갈라져 들어가면 임하댐을 만나게 된다. 임하대교는 임하댐 가는 길과 임하호 역조정지 댐을 건너 만나는 임하리를 연결한다. 지역 이름인 임하면에서 차용하여 다리 이름을 지었다. 길이 240m, 다리 폭은 6.5m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다목적 댐. 임하댐은 낙동강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하류 지역의 홍수 피해를 줄이고 수질을 개선하며, 낙동강 중류와 하류의 도시 및 농공지에 생활용수·공업용수·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에너지를 개발하고자 계획되었다.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1984년 12월 29일 착공하여 1985년 임하댐 건설사무소를 개소하고 임하댐 건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반변천(半邊川)이 흐르는 강가에 있어 임하(臨河)라 하였다. 임하현의 관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현내(縣內)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 말에 안동군 임현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추월리(秋月里) 일부가 병합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안동군 임하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임하리 고분군은 행정구역상 안동시 임하면 임하2리에 위치한다. 이곳은 반변천과 길안천 사이에 위치하며, 남동에서 북서로 뻗어가는 능선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임하리 고분군의 범위는 북쪽 경계가 임하보조댐 남단이고, 남쪽 경계는 임하1리와 임하2리를 연결하는 시도이며, 동쪽 경계는 반변천, 서쪽 경계는 임하2리 추월마을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석등의 대석. 임하리 석등대석(臨河里 石燈臺石)은 임하1리 549번지[기르마제길 19] 민가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한작골못마을의 북쪽에 인접한 곳으로, 지금은 폐교된 임하동부초등학교에서 남동쪽으로 450m 정도 떨어져 있다. 원래 임하1리 동쪽 산속에 있었는데, 1960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 놓았다. 팔각기둥 모양이며 중판연화문(重瓣蓮花文)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안동권씨 동성마을. 낙동강 반변천 기슭에 있다 하여 임하(臨河)라고 하였다. 와룡면 이상리에서 출생한 권환(權寏)이 당시 임하현 천전리에 세거하던 의성김씨 집안의 사위가 되어 임하리로 옮겨 오면서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이후 권환은 천전리에 세거하던 김진의 외손녀인 전주류씨를 셋째 부인으로 맞았다. 즉 김진의 셋째 딸이 수곡리에 살던 류란(柳...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법정면. 강과 붙어 있다고 하여 임하(臨河)라고 하였다. 고구려 때 굴화군(屈火郡)이었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곡성군(曲城郡)이 되었다. 고려 초에 임하현(臨河縣)이 되었고, 조선 숙종 때 임하현이 분할되면서 안동군(安東郡)에 편입되었다. 1906년(광무 10) 임하현을 폐하여 안동군에 편입하고 임현내면·임남면·임동면·임북면·임서면으로 개편하였다. 19...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의성김씨 동성마을. 마을 앞으로 반변천이 흘러 천전(川前, 일명 내앞)이라고 하였다. 입향조 김만근(金萬謹)이 당시 임하현의 대지주인 해주오씨 오계동(吳季童)의 사위가 되어 임하현에 정착한 뒤로 김예범(金禮範)이 천전리에 정착함으로써 의성김씨 집성촌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신덕·임하·망천·추월·지례·국란·내급 등 임하현 일대에 의성...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노력하는 어린이, 예절 바르고 서로 돕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1년 2월 15일 임하면 임하2리 110번지에서 임하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9년 4월 1일 임하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호일(林浩逸)은 본관이 울진(蔚珍)이고, 이명(異名)은 임무열(林武烈)이다. 자는 국윤(國允)이며, 호는 소은(昭隱)이다. 1890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19년 향년 30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임호일은 1919년 3월 21일 임하면 금소리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하여 시위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성흠(鄭成欽)은 본관이 청주(淸州)이다. 1878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으며, 1952년 향년 75세로 세상을 떠났다. 정성흠은 1919년 3월 서울에서 고종의 인산에 참가하고 돌아와 동향 출신인 손영학(孫永學)·김정익(金正翼)·김정연(金正演) 등과 함께 길안면 시위를 계획하고 주도하였다. 3월 21일 길안면 천지장터에서 군중...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유복(鄭有福)은 본관이 청주(淸州)이고, 자는 복여(復汝)이다. 1898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서 태어났으며, 1973년 향년 76세로 세상을 떠났다. 임하면 오대리에서 목수일을 하고 있던 정유복은 1919년 3월 21일 천지장터에서 일어난 길안면 시위에 참가하였다. 손영학(孫永學)·김정연(金正演) 등이 이끄는 시위 군중과 함께 독립만...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한모(鄭漢模)는 본관이 동래(東萊)이고, 정섭모(鄭燮模)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자는 운서(雲瑞)이며, 호는 청암(聽菴)이다. 1903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현하리에서 태어났으며, 1997년 향년 95세로 세상을 떠났다. 정한모는 1920년 음력 9월 태을교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태을교는 차경석을 교주로 하여 표면적...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복선(趙卜先)은 본관이 함안(咸安)이고, 조복선(趙福先)·조상선(趙相善)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1894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61년 향년 68세로 세상을 떠났다. 조복선은 1919년 3월 21일 임하면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마을 사람들과 함께 금소리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 행진을 하면서 임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지례동 양동댁은 조선 숙종 때 대사간과 대사성을 지낸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 1623~1695)의 중형 김방형(金邦衡, 1618~1699)이 살던 집이다. ‘수산재(秀山齋)’라고도 부른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253-1번지[기르마제길 38-8]에 있다. 1663년(현종 4)에 처음 지었고, 후대에 와서 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서사민요. 서사민요는 일반적인 민요와 달리 이야기가 길게 이어지는 노래를 말한다. 「진주낭군」은 과거를 보러간 남편이 첩을 데리고 돌아와 생기는 갈등을 긴 노래로 불렀으므로 비극적 서사민요에 해당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5년 12월 안동시 임하면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이점행(...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으로 반변천(半邊川)이 흐르고 있어 내앞 또는 천전(川前)이라 하였다. 내앞이라는 지명은 주로 천전1리를 지칭한다. 조선시대에 안동군 임현내면(臨縣內面)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지금의 천전2리 지역인 반시동(盤市洞) 일부를 병합하여 천전리(川前里)가 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안동군 임하면(臨河面)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최도준(崔道俊)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자는 상준(相俊)이며, 호는 임정(臨庭)이다. 1887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서 태어났으며, 1942년 향년 56세로 세상을 떠났다. 최도준은 1919년 3월 21일 임동면 중평리 편항시장(鞭巷市場)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임동면 시위는 독자적으로 준비되었지만, 3월 17일 일어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가래나무가 많아 가래나뭇골·원추목(元楸木)·추목곡(楸木谷)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동군 임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점리(店里)·평지리(坪地里) 일부가 통합되어 추목리가 되었다. 1931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안동군 임하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가 되었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치헌은 국탄(菊灘) 김시정(金始精)의 셋째 아들인 치헌(耻軒) 김영운(金永運, 1765~1841)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집을 짓는 데 쓴 재목은 인근의 맏집인 국탄댁(菊灘宅)을 짓고 남은 것으로 충당하였다 한다. 집의 이름은 김영운의 호를 따라 치헌이라 부르게 되었다. 원래 치헌이 자리 잡고 있던 마을의 이름은 국탄...
-
금소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농사를 짓는 데는 농경지 확보가 필수적으로, 금소는 넓은 들을 갖고 있어 농사짓기에 유리한 지역이다. 1608년(선조 41)에 편찬된 경상도 안동부(현 안동시) 읍지 『영가지(永嘉誌)』 관개조(灌漑條)에 금소보와 버리들보가 나오는데, 이를 통해 금소가 다른 지역에 비해 물을 이용한 벼농사를 일찍부터 시작했다는 사...
-
“동부야~ 서부야~” “좌로 돌아라~ 우로 돌아라~ 전지하라~” “와~ 이겼다~ 만세~” 금소리에서는 이렇게 정월 대보름이 되면 동네 한가운데 꽁꽁 얼어붙은 논에서 주민들의 뜨거운 함성이 사방으로 울려 퍼졌다. 이날 주민들이 동부와 서부로 편을 나누어 동채싸움을 벌였기 때문이다. 동채싸움은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동채머리끼리만 누른다’는 간단한 규칙이 있지만, 막상...
-
금소리는 2004년 정보화마을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그 해 10월 20일 컴퓨터 등을 지원 받고 정보이용센터를 열어서 전자상거래와 다양한 콘텐츠를 내용으로 하는 홈페이지를 구축, 주민 300여 명을 지역 대학에 보내 정보화교육을 받도록 하여 정보이용 환경을 구축하였다. 원래 정보화마을 교육장은 마을회관 옆에 위치했다. 이곳에 컴퓨터 11대와 스캐너, 레이저프린터, 디지털...
-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여성들에게는 교육 받을 기회가 제대로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10세 남짓만 되면 집안일을 거들어야 했으며, 농촌마을의 경우 이 시기에 처음으로 친정어머니에게 길쌈을 배우는 게 큰일 중 하나였다. 길쌈을 잘하는 여성은 시집가서도 늘 칭찬을 받는 반면 길쌈을 못하는 여성은 시댁 식구들로부터 구박을 받기 일쑤였기에, 친정어머니 입장에서는 어떻게...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호계서원은 조선 중기 지방 유림들의 공론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위패를 봉안하고 후학들에게 학문을 강론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이후 1620년(광해군 12)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과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였다. 현재 이황은 도산서...
-
안동 지역에서 전통시대부터 삼베를 많이 생산하던 지역은 서후면과 남후면, 임하면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전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예전에는 안동포를 생산하면 생산자→소매상→소비자 또는 생산자→도매상→중간도매상→소매상→소비자의 경로로 매매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안동 지역에서 이 안동포의 유통을 담당하는 중간상인으로는 첫째, 오랫동안 중요한 역할을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