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가류동 박씨 고가는 안동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던 까치구멍집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까치구멍집은 실내 공기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붕 용마루의 양쪽에 구멍을 낸 집을 이르는 것으로 이것이 까치둥지와 비슷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웬만한 일은 실내에서 할 수 있도록 평면이 구성되어 있다. 원래 안동시 월곡면 가류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새못골에 있는 조선 중기 사당. 경덕사(敬德祠)는 예안이씨 문중 이필간(李弼幹, ?~1514)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이필간은 본관이 예안(禮安)이고, 자는 충문(忠文)이다. 음보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냈으며, 1498년에 일어난 무오사화로 신진 사류들이 화를 입고 세상이 혼탁해짐을 한탄하였다. 이필간이 세상을 떠난 후, 아들 이영(李英)을 포함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지방 종합 행정 기관. 경상북도 북부청사는 경상북도 북부 지역 주민들이 여러 곳을 방문하여 민원을 해결하던 번거로움을 덜고 북부 지역의 도시 기반시설 확충과 주민 보건·위생 환경 증진 및 축산농가 소득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1년 12월 경상북도 북부청사 건물을 착공하여 2003년 9월 완공하였다. 2003년 10월 29일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와평리·상계곡리·회곡리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계곡의 ‘계(桂)’자와 와평의 ‘평(平)’자를 따서 ‘계평’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동군 서선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평리·상계곡리·회곡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계평리가 되었다. 낙동강을 따라 형성된 넓은 들에 자리 잡고 있다. 벼농사를 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곡강정은 조선 후기에 건립한 정자로, 명칭은 이호(李瑚)의 호인 곡강(曲江)에서 따온 것이다. 이호의 할아버지는 예안이씨 안동 입향조인 이전(李荃)이고, 아버지는 이유인(李惟仁)이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예천 방면으로 국도 34호선을 따라 안동시 풍산읍 쪽으로 가면 풍산초등학교가 나오는데, 풍산초등학교 앞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느티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마을 뒤 산비탈에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있다. 고려시대에 풍산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정에 따라 안동군 풍북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발산동·수박동·신사동·매곡동·오미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괴정리가 되었고, 193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매곡리에 있는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국립종자원 경북지원.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은 우리 농산물의 품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고품질 우량종자 생산·보급 확대와 종자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4년 11월 국립종자공급소가 발족되었으며, 이후 1977년 6월 국립종자공급소 안동지소가 설치되었다. 1994년 12월에는 농촌진흥청 종자공급소로 소속이 변경되었...
-
1910년 8월 22일에 맺어진 경술국치로 온 국민은 충격에 빠졌다. 당시 이에 항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졌다. 첫째는 일제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둘째는 일제의 감시를 피해 보다 적극적인 투쟁활동을 벌였다. 후자의 경우 만주 지역으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는가 하면, 만주 지역에서 펼쳐지고 있는 독립군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 마련...
-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립(士立), 호는 용만(龍巒). 할아버지는 권미수(權眉壽), 아버지는 권몽두(權夢斗),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충순위(忠順尉) 남한립(南漢粒)의 딸, 처는 진주하씨(晋州河氏)로 하연(河漣)의 딸이다. 권기(權紀)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서 태어났다. 열 살 무렵 광흥사(廣興寺)에 가서 강학을 하였고, 17...
-
1917년 무렵 오미리에도 근대교육의 물결이 밀려들었는데, 그 출발은 오릉학술강습소이다. 오릉학술강습소는 김헌섭(金憲燮)의 발기로 창설되었으며, 초대교장은 김병택(金秉澤)이었다. 설립 당시에는 지금의 죽암서실에 교사를 마련하였다가 이후 도림강당으로 옮겼으며, 그런 다음 현재의 화수당(오릉학술강습소)으로 이건하였다. 오릉학술강습소에서는 보통과정(지금의 초등과정)을 가르쳤던...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행(士行), 호는 죽봉(竹峯). 아버지는 김필신(金弼臣), 어머니는 예안이씨(禮安李氏)로 통덕랑 이천표(李天標)의 딸이다. 김간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태어났으며,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701년 김장생(金長生)을 문묘(文廟)에 배향하는...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천행(天行), 호는 미촌(美村). 아버지는 김려신(金礪臣),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고조부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은 여덟 아들이 모두 소과(小科)에 합격하고 그 중 다섯 아들은 문과에 급제하여 인조가 ‘팔련오계지미(八蓮五桂之美)’라고 칭찬하고 이들이 살던 마을에 ‘오미동(五美洞)’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취사(取斯), 호는 보백당(寶白堂). 김득우(金得雨)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김혁(金革),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삼근(金三近),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김전(金腆)의 딸이다. 김계행은 안동부 풍산현 불정촌(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배움에 재질을 보였다. 5세 때부터 글공부를 시작하여...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 풍산(豐山), 자는 회일(會一)이다. 1894년(고종 31)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김씨 동성마을인 오미리에서 출생하였다. 김만수는 1913년 만주로 망명하여 길남장(吉南庄)의 군사가 되었다. 길남장은 1918년 봄 안동 출신으로 만주 지역 최고 지도자인 이상룡(李相龍)이 화전현에 설치한 병영이다. 그 후 김만수는 1919년 4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상헌의 유허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 속칭 ‘빗집바우’ 위에 있다. 빗집바우는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이 제자들을 모아 놓고 강론하던 서간사(西磵祠) 뒤쪽에 위치한다. 빗집바위 위에 세워진 단칸 팔작지붕 안에 유허비가 있다. 높이 171㎝, 너비 72㎝, 두께 21㎝ 정도이다. 앞면에는 ‘청음선생목석거유허비(淸陰先生木石居...
-
조선 말기 안동 출신의 의병이자 순국자.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치화(穉華), 호는 죽포(竹圃)이다. 오미마을 허백당 김양진의 14세손으로, 1840년 풍산면 수동(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서 태어났다. 김순흠은 일찍부터 문명이 인근에 널리 알려져, 1894년 당시 경상감사 조병호(趙秉鎬)가 여러 차례 벼슬을 하도록 권유하였으나 거절하였다. 1895년 말 전국적으로 을...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화(潤和), 호는 하구(何求)·학우(鶴友)이다. 1883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서 태어났다. 김시현은 1899년 서울에 올라가 중교의숙(中橋義塾)에서 수학하였으며, 1908년 이후 교남교육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11년 일본으로 건너가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학과에서 공부하였다. 1917년 졸업 후...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영지(英之), 호는 삼당(三塘). 할아버지는 김계권(金係權)이고, 아버지는 사헌부장령을 지낸 김영수(金永銖)이다. 어머니는 강릉김씨로 김박(金博)의 딸이다. 김영(金瑛, 1475~1528)은 어려서부터 신동이란 말을 들었는데, 종조할아버지 보당 김계행(金係行)에게서 글을 배웠다. 21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506년(중...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이정(而靜), 호는 동리(東籬). 할아버지는 효행으로 천거되어 사헌부감찰을 지낸 김자순(金自順), 아버지는 건공장군(建功將軍)에 추증된 김박(金博),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딸이다. 김윤안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태어났다. 11살 무렵에 소고(嘯臯) 박승...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풍산(豊山). 이명은 김응범(金應範)이고, 자는 경장(景章), 호는 동전(東田)이다. 1878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서 태어났다.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의 일가이다. 김응섭은 1908년 재경 영남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교남교육회의 본회 임원으로 참가하여 교육구국운동에 앞장서서 활동하였다. 1911년 1월...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주서(周瑞), 호는 근전(槿田)이다. 1891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서 태어났다. 공산주의 운동을 통해 조국의 독립을 실현하고자 했던 인물이다. 김재봉은 1908년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한 후 1909년 경성공업전습소에 입학하여 염직과를 3년간 수학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후 1917년 풍산 오미동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문. 김정근 효자문(金正根 孝子門)은 성균진사를 지낸 김정근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김정근 정려문이라고도 한다. 김정근은 1738년(영조 14)에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대직(大直), 호(號)는 낙북(洛北)이다. 김희맹(金希孟)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김옥경(金沃慶)이다. 1773년(영조 49) 증광...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정현은 본관이 안동(安東)으로 1903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서 태어났다. 의열 투쟁을 전개한 김시현(金始顯, 1883~1966)의 동생이다. 1919년 휘문고등보통학교(徽文高等普通學校) 재학 중 3·1운동에 참가하였다. 1922년 학업을 중단하고 서울 작은아버지 집에 머물면서 형 김시현의 심부름으로 권총 1정과 실탄 3발을 류병하(...
-
조선 말기 안동 출신의 의병. 김주봉은 1905년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침탈되어 식민지나 다름없는 지경에 이르자 나라가 위기에 처했음을 절감하고 국권 회복 운동을 전개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으나 여의치 않았다.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하고 군대 해산으로 해산 군인들이 대거 의병 대열에 참여하여 의병 항쟁이 전국으로 확대되자 1908년 의병 항쟁에 뛰어들었다. 같은 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중한은 본관이 안동(安東)으로 1897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국현(國賢), 호는 춘산(春山)이다. 1952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의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김중한은 1910년 일제가 강제로 국권을 빼앗자 만주로 망명할 것을 결심하여, 1919년 2월 안동 애국지사들...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지섭은 본관이 풍산(豐山)으로 1884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서 김병규(金秉奎)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위경(衛卿), 호는 추강(秋岡)이다. 1928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의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족숙인 운재(雲齋) 김병황(金秉璜)에게 한학을 배웠고, 1905년 상주보통학교(尙州...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칙(正則), 호는 부훤당(負暄堂). 고조할아버지는 김시좌(金時佐)이고, 아버지는 김광호(金光灝)이다. 어머니는 청주정씨로 정신(鄭伸)의 딸이며, 부인은 연안이씨로 이한미(李漢美)의 딸이다. 김해(金楷, 1633~1716)는 용모가 단아하고 기질이 명수(明粹)하며, 경사(經史)를 널리 연구하여 문장에 능하였다. 28세인 16...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후성은 1896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고종의 죽음과 민족자결의 국제정세로 3·1운동의 물결이 전국에 퍼져 나간 가운데 안동 지역에서는 3월 1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4회에서 걸쳐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이중 김후성은 풍산면 만세 시위에 참가하였다. 만세 시위는...
-
김순흠(金舜欽)은 1840년 김경조(金慶祖)의 8세손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 6세 때에 조부에게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8세에는 스스로 시문(詩文)을 지을 정도였다. 12세에는 소학을 공부하여 충효야말로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 도리임을 깨달았다. 그래서인지 김순흠은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외출을 했을 때에는 비록 늦은 밤이더라도 동구 밖까지 나가서...
-
오미리의 지명유래는 마을 진입로에 서 있는 오미마을표지석에 자세히 적혀 있다. 즉 원래는 다섯 가닥의 산줄기가 뻗어 있다고 해서 오릉동(五陵洞)이라 불렀으나, 허백당 김양진의 아들 김의정이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와서 오릉동을 오무동(五畝洞)으로 고쳤다고 한다. ‘능(陵)’이란 글자가 언덕을 일컫기도 하지만 임금의 무덤을 뜻하기도 해서 ‘이랑무(畝)’ 자를 넣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노리는 모운사(暮雲寺)라는 절이 있어 ‘모노골’, ‘모놋골’, ‘노곡’이라 부르다가 노리로 정착되었다. 또 홍건적이 침입하였을 때 공민왕이 안동 지역으로 몽진하여 마을에 머물게 되었는데, 왕비인 노국공주가 하룻밤을 지냈다고 하여 모로곡(慕魯谷)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서선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동...
-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는 풍산김씨들이 세거하고 있는 동족촌락이다. 풍산김씨 조상들의 묘소는 인근 예천군 호명면 직산리의 대지산에 있는데, 산자락 아래에는 제례도구를 보관해 두거나 제물장만 등을 하는 대지재사가 자리하고 있다. 풍산김씨 문중에서는 대지산 묘역 수호를 위한 규칙을 제정해 두고 있다. 이른바 「대지곡묘산수호입의(大枝谷墓山守護立議)」라는 묘지 수호 결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에 있는 조선시대 암각서. ‘도소호계(陶笑虎溪)’는 호계삼소(虎溪三笑)라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 진나라 혜원법사(惠遠法師)가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 살면서 호계(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맹세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혜원법사는 도연명(陶淵明)과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호계를 건넜다. 어디선가 들려오는...
-
저수시설이 발달하지 않았던 예전에는 가뭄이 이어지면 기우제를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지금이야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오미리 역시 이런 전통을 갖고 있었다. 마을 뒷산에 자리한 죽암정 근처에 가서 축문을 읽으면서 엄숙하게 제사를 지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식의 기우제는 마을 남성들이 주도해 온 것으로, 오미리에서는 여성들만의 기우제 전통이 따로 있었다. 여성들의 경우, 동장...
-
오미리의 동제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자정에 지낸다. 서낭당이 세 곳이기 때문에 제관 역시 세 명을 선출하는데, 이를 ‘삼제관’이라고 한다. 기혼 남성 가운데 상주가 아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제관이 될 수 있다. 특별한 절차가 있는 것은 아니고, 마을 어른들이 상의하여 결정하는 편이다. 신분의 구별이 뚜렷했던 시절에는 주로 아랫사람들이 제관을 맡았으며, 풍산김씨들이 제관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의 모습이 중국의 망천(輞川)을 닮아서 망천이라 하다가, 바위에 부처의 모습을 새긴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磨崖石造毘盧舍那佛坐像)이 있어서 마애(磨崖)라 하였다. 마래, 마라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풍산현에 속하였던 지역인데,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 풍산내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하리 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 마애리 구석기 유적은 풍산읍 풍산평야의 서남쪽 끝에 있는 마애마을 동남쪽의 낙동강변에 위치한다. 유적 앞으로 흐르는 낙동강은 ‘S’자 모양으로 굽이치는데, 이로 인해 유적이 있는 일대는 오랜 기간 비옥한 토양이 퇴적되어 하안단구 지층을 형성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왔다. 2007년 시굴 당시 구석기시대로 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진성이씨 동성마을. 마을의 형상이 중국의 망천(輞川)과 비슷하다고 하여 망천이라고 하였다가, 절벽의 바위에 쪼아 만든 부처가 있어 마애(麻厓)라고 불렀다. 진성이씨는 본동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청송군에서 살고 있던 진성이씨의 시조 이석(李碩)의 아들인 이자수(李子脩)가 터를 잡았으나, 만년에 와룡면 주촌으로 옮겨가 살았다. 그 후 고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풍산읍 마애리의 망천사지(輞川寺址)라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다. 1972년 12월 29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목과 신체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으나 얼굴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나발(螺髮)을 조각한 머리 위에는...
-
오미리의 동제에는 마을굿의 전통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우선 동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정월 열흘 무렵이 되면 집집마다 풍물을 치면서 걸립을 하러 다녔다. 이를 오미리에서는 ‘굿 친다’ 혹은 ‘굿 두드린다’고 했는데, 그 무리를 굿패라고 불렀다. 굿패가 커다란 자루를 어깨에 걸치고 마당으로 들어서면 집주인이 쌀 한 되박을 자루에 부어 주고는 식구들이 함께 흥을 즐기곤 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청성산이 낙동강과 합류되는 곳에서, 청성산이 남쪽을 막고 있어 막실·두곡·막곡촌이라 하였다. 또한 후삼국시대에 후백제의 견훤과 고려의 왕건이 안동의 합전교(현 안동시 송현동) 부근에서 진을 치고 전투할 때 지역의 호족들이 의병을 일으켜 마을에 진을 쳤는데, 이때 커다란 군막을 쳐서 주둔하였으므로 막곡이라 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안동군 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막곡리 고분군은 세 곳으로 나누어진다. 막곡리 고분군1은 속칭 방갓골 뒤쪽 능선에 30여기의 고분이 반달 모양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곳은 방갓골 내에 있는 의성김씨 율리 종택(義城金氏栗里宗宅, 중요민속문화재 제181호)에서 서쪽으로 400m 정도 떨어져 있다. 이곳은 송야천과 그 좌우 경작지들이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다. 막곡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안동권씨 동성마을. 견훤의 군사와 왕건의 군사가 합전다리(현 안동시 송현동) 부근에서 전투를 할 때 지역 의병들이 마을 골짜기에서 진(陳)을 치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때 막(幕)을 치고 주둔했다고 한다. 이때부터 막을 쳤던 골짜기라는 뜻에서 막곡(幕谷)으로 불렀다. 안동권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곳은 웃막실마을이며, 마을 위쪽에 자리하고 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1608년에 지은 안동부의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만운촌은 일명 두답(斗畓)이라고도 한다. 풍산현의 북쪽 5리에 위치하며 선비 송여원(宋汝源)이 마을의 이름을 만오(晩悟)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마을의 형태가 말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말논, 마논, 또는 두답이라 하였다고 한다. 한편, 마을이 높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에 있는 안동권씨 동성마을. 조선 중기 송여원(宋汝源)이라는 사람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보고 천옥(天獄)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이 천옥에서 벗어나려면 거침없이 떠돌아다니는 구름이 되어야 한다는 뜻에서 만운(晩雲)으로 이름 지었다. 안동권씨는 방담(方潭)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데, 방담 권강(權杠)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에 있는 저수지. 만운저수지는 풍산읍 만운리 지역에 농업용수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1952년 1월 1일 착공하여 1959년 1월 1일 준공하였다. 유역 면적 23.75㎢, 만수 면적 0.43㎢, 수혜 면적 4.16㎢이다. 만운저수지의 길이는 148m, 높이는 12.3m, 부피는 3,339㎥이며, 총 저수량은 2,203,000㎥, 유효 저수량은 2,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절터. 망천사지(望天寺址)가 위치한 마을은 원래 중국에 있는 망천(輞川)과 같이 아름다운 경치를 지녔다고 하여 망천이라 하였다. 그 후 낙동강 변에 바위를 쪼아 만든 부처가 있어 마애로 바꾸어 불렀다. 망천사지는 풍산읍 마애리 마애마을에 있다. 이곳은 마애들의 동남쪽 끝자락에 해당하며 낙동강 변에 위치한다. 현재 망천사지 주변은 마애들이 들어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기암절벽. 마애는 마을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경치를 지닌 중국의 망천(輞川)을 빼어 닮았다고 해서 망천이라 불렸다. 이러한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어 자연스레 망천절벽이 되었으며 이후 낙동강가에 바위를 쪼아 만든 부처상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磨崖石造毘盧舍那佛坐像)이 있어서 마을 이름은 마애(磨崖)라 변경되어 불리게 됐다. 망천절벽은 마애마을 앞 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매남리(梅南里)·우안동(愚安洞)·번곡(蕃谷)을 병합하여 매남리의 ‘매(梅)’자와 번곡의 ‘곡(谷)’자를 따서 매곡리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고,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 풍북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매남리·우안동·번곡이 병합되어 매곡리가 되었다. 1934년 행정구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와 예천군 보문면 수계리 경계의 보문산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매곡리는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 풍북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매남리·우안동·번곡을 병합하고 매남리의 ‘매’자와 번곡의 ‘곡’자를 따서 매곡이라 하였으며, 매곡천은 이 매곡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보...
-
1891년 김경조의 12세손으로 태어난 김재봉(金在鳳)은 어린 시절 한학을 배우다가 1908년 대구계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909년 경성공업전습소에 입학하였다. 1912년 학업을 마치자 곧바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김경조는 이후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국권회복을 위해 노력하다 1920년 『만주일보』 경성지사 기자로 입사하였다. 그러나 조선독립단의 문서를 전달했다는 이유로 입사한 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암각서. 목석거는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7세손인 김학순(金學淳, 1767~1845)이 안동부사로 있으면서 새긴 암각서이다. 김상헌은 병자호란 후 현재의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로 물러나 청원루(淸遠樓)에서 생활하다가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로 거처를 옮기고 초가집을 지어 ‘목석거 만석산방(木石居萬石山房)’이라 이름하고 은거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묵재 고택 관련 인물인 김종윤(金宗胤)은 자가 찬선(纘先)이고 호가 묵재(默齋)이며, 본관은 안동이다.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의 사손(嗣孫)이다. 사마시에 합격하여 벼슬은 봉사(奉事)를 지냈으며, 문학과 행실이 뛰어났다. 대제학 김학진(金鶴鎭)이 묘명을 지었다. 묵재 고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21번...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기석은 1899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서 태어났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원인 이현수(李賢壽)는 국내에 들어와 항일 인쇄물을 제작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국내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락을 맡고 있었다. 이에 박기석은 이현수의 활동에 동참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안동군 교통사무특파원으로 임명되...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배승환은 1885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만주로 망명하여 6월경부터 지린성[吉林省] 유하현(柳河縣)에서 항일 투쟁을 전개하는 한편, 독립군을 모집하기 위해 경상북도 지역에 들어와 활동하고 있던 최재화(崔載華)로부터 무관학교 생도를 모집하라는 명령을 받고 권원하(權元河)·이재영(李縡榮)·조태연(趙台衍)·권재수(權在...
-
오미리의 동제당은 원당과 중당, 하당으로 3당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들 삼당 가운데 원당은 남편에 해당하는 서낭신이고, 중당과 하당은 본처와 소실에 해당한다. 상사나무 둑에 자리하고 있는 원당은 서낭당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래 3백 년 이상 되는 소나무를 모시고 있었으나 30년 전 태풍으로 쓰러지는 바람에 추원사(追遠祠) 경내에 있던 은행나무를 옮겨다가 심어 두었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서 개국공신 맹사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은 조선 전기의 재상으로 자는 자명(自明), 호는 고불(古佛)이다. 세종(世宗, 1397~1450) 때 우의정·좌의정을 지냈으며, 황희(黃喜, 1363~1452)와 함께 조선 전기의 문화 창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성품이 청백하고 검소하였으며, 『태종실록(太宗實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사익당은 조선 후기 이유장(李惟樟, 1625~1701)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된 정자이다. 이유장은 평소 칼·거문고·책·그림 등 네 가지를 즐겨 하던 학자였기 때문에 네 가지 유익한 것이라 하여 정자 이름을 사익당이라 하였다고 한다. 이유장의 자는 하경(厦卿), 호는 고산(孤山)이다. 166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학행으로 천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산수정은 조선 선조와 광해군 연간에 관직을 역임한 호봉(壺峰) 이돈(李燉, 1568~1624)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마애마을로 돌아와 학문 정진과 후배 양성에 전념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처음에는 명칭을 ‘통승려’라고 하였다가 얼마 후 산수정으로 고쳤다. 동야(東埜)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쓴 상량문으로 보아 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삼구정은 안동김씨 소산마을 입향조인 김삼근(金三近)의 손자 김영전(金永銓, 1439~1522)이 지례현감으로 있던 1495년(연산군 1)에 지은 것이다. 당시 김영전은 88세의 노모 예천권씨를 즐겁게 하려는 효심에서 아우 김영추(金永錘), 김영수(金永銖)와 함께 삼구정을 건립하였다. 삼구정이란 정자 앞뜰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삼소재는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일명 상락김씨(上洛金氏) 중시조 김방경(金方慶)의 17세손 김용추(金用秋, 1651~1711)가 지은 집이다. 김용추는 선안동김씨 소산 입향조인 김언준(金彦濬)의 7대 종손으로서, 갈암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당호는 김용추의 5세손인 김영락(金英洛, 1796~1875)의 호를 딴 것...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풍산읍 위쪽에 있다 하여 웃마 또는 상리(上里)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고,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 풍산내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부리 일부와 서선면 하리, 서후면 대두서리 일부가 병합되어 상리리가 되었다. 193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풍산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풍산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예안이씨 동성마을. 풍산읍의 위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상리리(上里里)라고 하였다. 조선 중기 조광조와 깊은 친분이 있던 이영(李英)·이전(李荃)·이훈(李薰) 삼형제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여러 선비들이 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 벼슬을 버리고 진외증조부인 조안도의 별서(別墅)가 있던 풍산읍 하리리에 정착하였다. 그 뒤 이훈이 상리리로 옮겨 와 후손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상사 소리」는 모를 심고 보름 정도 지나서 논매기를 시작할 때에 불렀던 농업노동요이다. 처음 하는 아시논매기를 하고 난 후 다시 보름 정도가 지나 두불(두벌)논매기를 해주고, 다시 보름 정도가 지나면 시불(세벌)논매기를 해준다. 지역에 따라서 논매기를 세 차례 하는 동안 제각기 다른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같은...
-
김응섭(金應燮)은 1878년에 김경조의 11세손으로 태어났다. 청소년 시절에는 한학을 배우고 1907년 한성법관양성소를 졸업한 후 함흥재판소 검사를 역임했으며, 1909년부터는 영변구재판소 판사로 재임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면서 이듬해 평양지방법원 검사로 강제 임명되었으나 두 달 만에 사직하고, 같은 해 7월 평양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했다가 대구로 사무소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병자호란 뒤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낙향하여 은거할 때, 백이숙제(伯夷叔齊)가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치려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고 살았던 것과 자신의 처지가 같다고 하여 고사리 ‘미(薇)’자를 써서 서미(西薇)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다. 『영가지(永嘉誌)』에는 “서미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가꾸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미래의 꿈을 키워가는 어린이,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62년 4월 10일 풍산초등학교 서선분교장으로 인가를 받고, 같은 해 5월 10일 개교하였다. 1967년 8월 2일에는 서선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985년 3월 1일 병설유치원을 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 있는 고속국도 입체 교차로. 서안동IC 도로의 전체 길이는 1.1㎞이며, 왕복 2차선이다. 서안동IC는 고속국도 55호선인 중앙고속도로 건설에 따라 안동시로 도로를 연결하여 출입구로 사용하고자 건립하였다. 안동 지역 서쪽을 드나드는 곳에 자리하여 서안동IC라고 한다. 서안동IC는 중앙고속도로의 22번째 교차로이다. 서안동IC는 안동 시내와 풍산 읍내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석문정은 1587년(선조 20)에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지은 정자이다. 김성일은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어받은 대학자이자 문신으로서, 1568년(선조 1)에 과거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 경상우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587년에 청성산(靑城山) 중턱에 석문정을 짓고 낙동강 주변의 수려한 경관을...
-
여느 마을과 마찬가지로 오미리의 부녀자들 역시 아들 낳기를 바라는 열망이 컸다. 그럴 경우 동제당에 가서 기원을 드리곤 했는데, 더욱 강렬한 효험을 원하는 경우에는 음력 정월 대보름에 지내는 동제에 사용했던 종짓불을 몰래 갖고 와서 집에 모셔 두고는 기원을 드리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정월 대보름 동제당 주변에는 종짓불을 차지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아녀자들도 적지 않았는데, 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산. 『경북마을지』에는 소산리에 대하여 “마을 뒤의 정산(鼎山)과 서쪽의 관산(冠山)이 모두 표고 100m 정도의 구릉이며 앞과 동쪽은 확 트인 들판이다. 마을의 전체적 형상이 ‘소가 누운 형국’이라 하여 쇠미 또는 금산(金山)으로 불리었다”라는 명칭 유래가 기록되어 있다. 원래 금산리였던 마을이 소산리가 된 까닭은 병자호란 때 낙향한 청음(淸...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동제당. 소산 동제당은 상당인 산신당(주산당, 주산어른)과 하당인 골맥이당(수구맥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원적인 당의 구성은 한국 농촌사회의 보편적인 형식이지만 상당과 하당을 모시는 사람들을 계급적으로 구별 짓는 관행은 그리 흔하지 않다. 상제당 제관은 대부분 안동김씨가 맡고, 하제당 제관은 다른 성씨가 주로 맡았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원래 소산리는 금산촌이라 하였다. 1608년에 지은 안동부의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금산촌은 현의 서편 5리에 위치한다. 앞에 큰 들을 놓고 땅이 기름져 온갖 곡식이 잘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금산촌은 ‘소가 누운 형국’이라 하여 쇠미 또는 금산이라 하였다. 소산으로 이름이 바뀐 때는 병자호란 때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 낙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소산리 고인돌 떼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삼구정(三龜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3호)과 그 주변에 있다. 5기의 고인돌로, 산읍 안교리에서 916번 국도를 따라 가면 소산리 소산마을(본동)로 들어가는 길이 나온다. 삼구정은 소산마을 동남쪽 끝에 위치한다. 고인돌은 모두 5기인데, 이 중 3기(1·2·3호)는 삼구정...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김씨 동성마을. 원래 금산촌(金山村)이었다가 김상헌(金尙憲)이 낙향하여 은거할 때 금산촌은 너무나 화려하므로 합당치 않다고 하여 마을을 감싸고 있는 소요산의 이름을 따서 소산(素山)으로 고쳤다. 소산리 안동김씨는 후안동김씨(신안동김씨)와 선안동김씨(구안동김씨)로 갈라진다. 후안동김씨는 고려시대 삼태사 중의 한 명인 김선평(金宣平)의 후손들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증수동, 탄곡리, 상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증수의 ‘수’자와 탄곡의 ‘곡’자를 따서 수곡(壽谷)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안동군 서선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증수동·탄곡리·상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수곡리라 하였다. 193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안동군 풍산면에 편입되었다. 19...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수동교회는 100년의 긴 역사를 가진 교회로 2009년 ‘새로운 100년으로’라는 표어 아래 ‘말씀에 순종하며, 맡은 사명에 충성하고, 은혜에 감사하는 교회’를 목표로 삼고 있다. 황추례가 자신이 전도한 사위 김용한을 비롯하여 권나선, 김낙우, 김영동 등과 함께 풍산 하리동교회(현 풍산교회)에 출입하여 수년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 앞을 흐르는 낙동강이 동쪽에서 흘러들어 수동촌이라 하였고, 또 마을이 낙동강가에 자리 잡은 탓에 홍수가 자주 들어 수동(水洞)이라 하였다고 한다. 1608년에 지은 안동부의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수동촌(水洞村): 속명(俗名)은 수동(首冬)이다. 회곡(檜谷)에서 서쪽으로 얼마 되지 않은 곳에 있다. 부(府)와는 25리의 거리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 있는 안동김씨 동성마을. 마을 앞을 흐르는 낙동강이 동쪽에서 흘러오므로 수동촌(水東村)이라 하였다가 후대로 오면서 수리(水里)로 바뀌었다. 수리의 안동김씨 입향조에 대해서는 남후면 개곡리에서 이주했다는 사실 외에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남후면 개곡리 안동김씨들은 익원공 김사형(金士衡)의 후손들로, 풍산읍 소산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영의정 김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시은당은 조선 후기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의 조부인 시은 이진(李珍)이 지은 정사이다. 이진은 시은당에서 수많은 제자를 가르쳤고, 이유장도 시은당에서 글을 배웠다. 건립 당시에는 바위를 갈고 닦는 것처럼 학문에 임해야 한다고 하여 마암정사(磨巖精舍)라고 부르다가 후에 이진의 호를 따 시은당이라 하였다. 시은당은 상리리 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본래 풍산현의 지역으로, 신양 부곡이 있어 신양(新陽)이라 하였다. 1608년에 편찬된 안동부의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만운(晩雲) 서쪽 5리에 있으며, 풍산현에서는 10리 떨어져 있다. 옛날에는 부곡(部曲)이었다가 지금은 촌리(村里)가 되고 본 현에 예속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안동군 풍산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8...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에 있는 저수지. 신양저수지는 풍산읍 신양리 지역에 농업용수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1987년 1월 1일 착공하여 1997년 1월 1일 준공하였다. 유역 면적 4.09㎢, 만수 면적 0.17㎢, 수혜 면적 1.31㎢이다. 신양저수지의 길이는 222m, 높이는 35.7m, 부피는 23,167㎥이며, 총 저수량은 1,827,000㎥, 유효 저수량은 1,7...
-
일제강점기 안동의 풍산읍에서 조직된 사회주의운동 단체. 신흥청년회는 사상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청년운동의 근본정신을 관철하고 사회주의운동의 새로운 국면을 열고자 설립되었다. 이와 함께 사회 진화의 법칙에 의한 사회 혁신과 훈련을 통한 역군의 양성, 무산계급 청년의 단결 등을 조직의 활동 목표로 삼았다. 1922년 수양과 친목단체의 성격이 강한 풍산청년회가 당시 안동군 풍산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에 있는 시대 미상의 절터. 『경북마을지』와 『안동의 지명유래』에 “대밭골에서 서북쪽 골짜기에 악심사(嶽深寺·岳心寺)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에 그 마을은 악심(岳心·嶽深), 고개는 악심고개[嶽深峴]라 불렀다고 한다. 악심의 북쪽에 있는 마을은 악대(嶽垈)라 하여 악심사의 옛터이며, 이 터에 화강석으로 된 삼층석탑이 있는데 신라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안교리의 자연마을 중 역마 또는 역촌(驛村)은 1530년 경 홍씨(洪氏)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1800년 경 소산동(素山洞)에 있던 역을 이곳으로 옮겨와 지어진 이름이다. 어란(魚卵) 또는 우안(愚安)은 마을 앞에 갈대늪이 있어서 고기가 모여 알을 낳고 부화하였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새역마 또는 신역(新驛)은 1800년 후반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두 기의 선돌. 선돌은 선사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세운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 수가 적은 편이지만,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대부분 단독으로 마을 어귀 평지나 낮은 구릉 위 또는 비탈에 세워졌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고인돌과 함께 세워진 경우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도암 종택은 의성김씨 23세손인 김후(金煦, 1613~1695)의 가옥이다. 그의 장인 관풍당(觀風堂) 권제가(權際可)가 1630년경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김후의 자는 춘향(春鄕), 호는 도암(陶庵)으로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손자이다. 옛 지명을 따라 안동 도암 종택이라 하였다.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 숲이 우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전통 가옥. 비안공 구택은 세종 때 비안현감을 지낸 바 있는 비안공(比安公) 김삼근(金三近, 1419~1465)의 고택이다. 김삼근은 풍산현 남불정촌에 살았으나 둘째 아들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출생한 이후에 이곳 소산리로 옮겨와 살았다는 것으로 보아 비안공 구택은 이 무렵에 처음 지은 것으로 보인다. 김삼근의 장손 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삼벽당은 소유자의 7대조인 김상구(金相龜, 1743~1814)가 분가할 때 건립한 가옥이다. 당호는 김상구의 아들로 동몽교관(童蒙敎官)과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김종한(金鐘漢)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는 풍산김씨들이 500년 동안 세거해 온 동성 촌락으로서, 학가산의 지맥인 죽자봉을 뒤로 하고 검무산을 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소산동 동야 고택은 안동김씨 19세손인 김중안(金重安, 1639~1705)이 지었다고 하나 건축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동야(東埜)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이 집에서 태어나 수학하였다. 김양근의 본관은 안동으로,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만녕전별검(萬寧殿別檢), 전적(典籍), 병조낭관(兵曹郎官) 등을 지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예안이씨 7세손 이훈(李薰, 1489~1552)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에 급제하였으나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혹한 현실을 보고 벼슬길에 나아갈 뜻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이후 1525년(중종 20)경 예안이씨 상리 종택을 짓고 이곳에 머물렀다고 한다. 예안이씨 상리 종택은 상리동에 세워져...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예안이씨 근재재사는 고려통합삼한개국익찬공신(高麗統合三韓開國翊贊功臣) 이탁의 15세손인 근재(近齋) 이전(李筌, 1486~1529)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이전의 장손인 이호(李瑚)가 건립한 재사이다. 이전의 자는 무선(茂先)으로, 기묘사화 때 낙향하여 안동 풍산현(豊山縣)에 은거하였고, 이호는 명종 때 종사랑(從仕...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예안이씨 충효당은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8~1594)이 1551년(명종 6)에 건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인 몸채와 ‘ㅡ’자형 별당인 쌍수당(雙修堂)으로 구성되었다. 쌍수당이란 당호는 충과 효를 한 집안에서 갖추었다는 뜻으로, 이홍인의 충과 그의 8세손 용눌재(慵訥齋)...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일성당 고택은 이성계(李成桂, 1335~1408)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안동 풍산에 낙향하였던 전농정(典農正) 이웅(李雄)의 후손인 이문한(李文漢, 1612~1704)의 가옥이다. 당호인 ‘일성(日省)’은 외당(外堂)에 독서실을 두고 이곳에서 하루하루를 반성한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청성서원은 조선 중기의 학자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1532~1587)을 추모하는 서원이다. 권호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제자이며, 류성룡(柳成龍, 1542~1607)·김성일(金誠一, 1538~1593) 등과 깊이 사귀었다. 만년에 덕망이 더욱 높아져 문인들의 출입이 잦았으며, 참봉·교관(敎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누정. 청원루는 원래 중종(中宗, 1488~1544) 때 김번(金璠, 1479~1544)이 여생을 보내기 위하여 지은 집이다. 이후 병자호란 당시 인조(仁祖, 1595~1649)의 굴욕적인 강화에 반대한 척화(斥和) 주전론(主戰論)의 거두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이 청나라에서 6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체화정은 영조 37년(1761)에 진사 이민적(李敏迪, 1702~1763)이 학문을 닦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그 후 순조가 효자 정려(旌閭)를 내린 바 있는 용눌재(慵訥齋) 이한오(李漢伍)가 노모를 체화정에 모셔 효도하였다고 한다. 체화정은 이민적이 형 옥봉 이민정과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한데, 이로 보아 정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학암 고택을 건립한 학암(鶴巖) 김중휴(金重休, 1797~1863)는 조선 중종 때 이조참판을 거쳐 삼도방백(三道方伯)을 지낸 청백리 김양진(金楊震, 1467~1535)의 12세손이다. 후일 김중휴가 제릉참봉(齊陵參奉)을 지내 참봉택이라 부르게 되었다. 안동 학암 고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248번지[구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풍산김씨 종택은 안동 풍산김씨의 대종가(大宗家)로, 집의 이름은 유경당(幽敬堂)이다. 안동 풍산김씨 종택을 창건한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 1553~1602)은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사마시에 합격한 후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 산음현감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에는 고향에서 향병을 모아 안집사(按集使) 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법무부 산하 교정 기관. 교도소는 징역형·금고형·노역장유치·구류형 등을 받은 수형자를 격리하여 교정교화하며 건전한 국민사상과 근로정신을 함양하고 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에 복귀하게 하기 위한 국가의 수용 시설이다. 안동교도소는 형기 중에 있는 범죄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수용함과 더불어 이들이 교육과 교화 및 직업훈련 등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사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김씨 북애공 종택은 조선 중기에 지은 것으로 전해오는 북애(北涯) 김후(金后, 1596~1641)의 가옥이다. 원래 노씨(盧氏) 문중의 종택으로 지었으나 노씨 문중에 후손이 없어 외손인 황씨(黃氏)가 들어와 살았다. 그러나 황씨 역시 대를 이을 아들이 없자 황씨의 외손 김후가 400년 전에 인수하여 대를 이으며 살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안동김씨 종택을 지은 양소당(養素堂) 김영수(金永銖, 1446~1502)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적옹(積翁)이다. 아버지는 한성판관 김계권(金係權)이다. 음보로 의금부도사·사헌부감찰·상주판관이 되었다. 영덕현령·선공감첨정(繕工監僉正)·사헌부장령·통례원봉례(通禮院奉禮)를 거쳐 영천군수·금교도찰방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막곡동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으로 높이는 1.72m이다. 이중기단을 갖추었으며 기단부에 다소 교란(攪亂)이 있지만 3층 몸체[옥신]까지는 큰 파손 없이 잘 유지되고 있다. 산의 상하(上下)에는 지금 정자가 있지만 원래는 성산사(城山寺)라는 절터로 전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 산106...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 있는 농산물 도매 시장. 안동시 농산물도매시장은 경상북도 북부 지역 농산물 유통 중심지를 안동 지역에 육성하고, 유통 체계 개선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하며, 신선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시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공영 도매 시장으로 건립되었다. 1994년 3월에 1차 건설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1996년 2월에 도매시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 있는 안동시 농산물도매시장의 관리사무소. 안동시 농산물도매시장은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을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공영 도매시장이다. 안동시 직속기관으로 경상북도 북부권 농산물 유통의 중심지로서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경상북도 북부권의 농산물 유통 체계의 개선을 통해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고 신선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생산되는 쌀. 우리나라의 벼농사는 기원전 2000년경 중국으로부터 들여와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 지역에서도 이 무렵부터 벼농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안동 지역은 대부분 산지 지형으로 벼농사를 지을 만한 넓은 평야가 많지 않은데, 그중 풍산평야가 가장 넓으며 쌀 생산량의 70%를 점유한다. 안동 지역의 브랜드쌀 생산 역사는 1997년 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던 음식물자원화 처리 기관. 안동음식물자원화시설관리사무소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을 퇴비로 만들어 안동 지역 농가에 보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2월 안동시청 환경보호과에서 시설 공사를 완료하고, 4개월의 시험 가동 기간을 거쳐 2006년 6월부터 정상 업무를 시작하였다. 2008년 10월 9일 조직 개편에 따라 안동음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精舍). 안동 이로당(安東 怡老堂)은 호봉(壺峰) 이돈(李燉, 1568~1624)이 학문과 마을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이돈은 자는 광중(光仲)이고, 호는 호봉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601년(선조 34) 명경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사헌부지평, 예조정랑 등을 거쳤다. 1612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 있는 종합유통단지. 경상북도와 안동시는 유통 구조 개선과 기업의 물류비 절감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안동 지역의 균형 발전과 물류 인프라 확충을 위해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 안동종합유통단지를 조성하였다. 2006년 3월부터 안동종합유통단지 조성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2007년 12월 완공하였다. 안동종합유통단지에 가장 먼저 입주를 결정한 업종은 중고자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은 나말여초(羅末麗初)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에 위치한다. 풍산읍이라고는 하지만 읍의 북쪽 한계인 마을의 뒷산 외진 산중에 위치한다.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의 높이는 2.98m이다. 이중기단의 탑으로 하대저석(下臺底石)과 지대석(地臺石)은 매몰되었다. 하대중석(下臺...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을 처음 건립한 김상목(金相穆)은 조선 후기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을 지냈으며, 후에 증축한 학남(鶴南) 김중우(金重佑, 1780~1849)는 조선 후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이라는 명칭은 김중우의 아들인 낙애(洛厓) 김두흠(金斗欽, 1804~1877)이 동부승지(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고려시대 모전석탑. 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207-1 민가의 돌담 안 자연암반 위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사지(寺址)였을 가능성이 있으나, 표면상으로 절터의 다른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의 기단면석은 자연암석을 이용했기 때문에 암반인 지반과 함께 정제되지 못한 형식이다. 높이는 3.25...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의 속칭 하재골로 불리는 밭 가운데에 있다.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은 1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올렸다. 하층 기단이 없어진 것인지 본래 단층 기단으로 세워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상륜부는 전체가 결실되었으며, 탑 전체 높이는 580㎝ 정도이다. 상대갑석까지 노출되어 있었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닥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만드는 종이. 1988년 8월 안동시 풍산읍에 풍산한지 공장을 설립하였다. 1990년 농어촌 부업단지로 지정되고, 1994년 풍산한지 특산단지로 지정되었다. 1999년 영국의 여왕이 안동을 방문하기 전에 주한 영국대사관과 왕실홍보관들의 답사가 있었으며, 전국 대학교 미술과의 그림지를 생산하게 되었다. 2000년 4월 상설전시관 및...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한지 상설 전시관. 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안동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 정신으로 한지를 전통 방법으로 생산하여 전시하며 체험하는 곳으로, 학습의 장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안동의 관광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안동한지를 생산하는 기업체 안동한지에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
-
김만수(金萬秀)는 1893년 학호공파 김봉조의 10세손이자 김낙선(金洛璇)의 차남으로 오미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심곡공파 김낙운(金洛雲)의 양자로 들어간 김만수는, 양부(養父)로부터 한학을 배운 후 18세에 풍산에 위치한 역동의숙(嶧洞義塾)에서 2년 동안 공부를 하였다. 평소 나라 잃은 아픔을 절감하고 국권회복의 기회를 엿보던 김만수는 1915년 족친인 김응섭(金應燮)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서 논매는 일을 거의 마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상사 소리」는 보통 점심때가 되었음을 알리거나 논매기를 마칠 즈음에 부르는 노래이며, 「에히용 소리」도 논매기를 거의 마칠 무렵에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논매기를 마치고 이동할 때나, 또는 집으로 돌아와서 저녁을 먹기 전에 일꾼들끼리 어깨춤을 추면서 「치야 칭칭 나네」를 부르기도 한다. 1999년 안...
-
「세덕가」는 유교적 전통과 종족의식이 강한 동성마을에서 주로 전하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가사작품을 말한다. 오미리의 풍산김씨 집안에서 전해 오는 「세덕가」를 지은 사람은 김병철(金秉喆, 1881~1951)이라고 한다. 김병철은 김봉조(金奉祖)의 후손으로, 당대 손꼽히는 한학자였으며 숭조의식도 각별했던 것으로 전한다. 「세덕가」는 김병철이 40세 되던 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은 조선 중종(中宗, 1488~1544) 때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어지러운 세파를 피하여 경상북도 안동 지역으로 내려온 예안이씨 7세손 이영(李英)이 머물던 곳이다.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164번지[우렁길 127-25]에 있다. 야산을 등지고 남향으로 앉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예안이씨의 정충각과 정효각. 예안이씨 정충·정효각(禮安李氏 旌忠·旌孝閣)은 예안이씨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8~1594)과 용눌재(慵訥齋) 이한오(李漢伍, 1719~1793)의 충절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이홍인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다가 1594년(선조 27)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당시 공로를 밝히...
-
2003년 12월 어느 날, 김창현은 김보현·김두현과 담소를 나누다 마을 뒤편에 자리한 참나무 숲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흉측하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그러면서 외부 사람들이 와서 보면 마을 체면에 이만저만한 손상이 아니라는 걱정을 동시에 하였다. 그로부터 며칠이 지나 김보현이 김창현을 찾아와 1천만 원짜리 수표 한 장을 내밀었다. 그러고는 “형님! 이걸 갖고 참나무숲을 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과 그에 딸린 강당. 오미동 도림강당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과 그의 자제 8형제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추원사와 그에 딸린 강당을 말한다. 도림강당은 1805년(순조 5)에, 추원사는 1806년에 세웠다. 추원사는 강당의 후면 우측에 높은 단을 조성하여 동향으로 앉히고 낮은 토석 담장으로 둘러쌓았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풍산김씨(豊山金氏) 500년 세거지로, 조선 초기에 풍산김씨 시조 김문적(金文迪)의 8세손 김자순(金子純)이 처음 마을에 정착하면서 ‘다섯 가닥의 산줄기가 뻗어 내려 있다’고 하여 오릉동(五陵洞)이라 하였다가, 후손 의정공(義貞公)이 을사사화 후에 낙향하여 ‘능(陵)’이란 글자가 언덕을 뜻하지만 임금의 무덤을 뜻하기도 하므로 이랑 ‘무(畝)’...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풍산김씨 동성마을. 김대현(金大賢)의 아들 8형제가 모두 진사시에 합격하고 5형제가 문과에 급제하자 인조가 ‘팔련오계(八蓮五桂)’라고 하면서 ‘오미(五美)’라는 마을 이름을 내렸다. 경주 출신의 김연성이 관직에 있으면서 풍산 석릉촌(石陵村)에 와 있던 중 오미리에 별서(別墅)를 마련한 뒤로 현손인 김자순(金子純)이 서울 장의동에서 오미리로 낙향...
-
오미리에는 근대사의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일록(日錄)이 다수 전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을미년과 병신년에 발생한 안동 의병운동을 기록해 둔 이른바 『을미병신일록』이 가장 주목된다. 『을미병신일록』의 저자는 김정섭(金鼎燮)이다. 그는 병신년에 예안 의진에서 의병부장으로 활동했던 이중린(李中麟)의 사위이면서 동시에 영감댁의 주손이었다. 또한 상해임시정부 국무령을 역임...
-
풍산읍의 소재지인 안교리에는 사성정(四姓井)이라 불리는 우물이 있다. 말 그대로 ‘4개 성씨의 우물’이라는 뜻인데, 구체적으로는 풍산을 본관으로 하는 풍산김씨와 풍산류씨, 풍산홍씨, 풍산심씨 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우물이었다고 전한다. 이들 가운데 풍산홍씨와 풍산심씨는 이미 1백여 년 전에 풍산을 벗어나, 현재 풍산김씨와 풍산류씨만이 세거하고 있다. 정확히 언제, 누가...
-
여느 집성촌락이 그러하듯 오미리에도 고색창연한 와가(瓦家)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그 중에서도 허백당(虛白堂) 종택을 비롯하여 참봉댁과 영감댁은 오미리의 위상을 드높이는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8호로 지정된 허백당 종택의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선조 대인 1576년에 김대현(金大賢)이 부친인 김농(金農)의 명을 받들어 지금의 영감댁 자리에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암각서. 1820년 김상헌(金尙憲)의 7세손인 김학순(金學淳)이 안동부사로 근무하면서 김상헌을 추모하기 위해 새긴 글씨이다. 김상헌은 병자호란 후, 안동 소산으로 물러나 청원루(淸遠樓)에서 생활하다가 서미동으로 거처를 옮겨 초가집을 지어 ‘목석거만석산방(木石居萬石山房)’이라 이름 짓고 은거하였다. 은자암(隱者巖)은 안동시 풍산읍에서...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공보(共甫), 호는 율원(栗園). 할아버지는 이영(李英), 아버지는 이숙인(李淑仁)이다. 할아버지는 평소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했는데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안동으로 남하하여 이후 자손들이 풍산현(豊山縣, 현 안동시 풍산읍)에 정착하게 되었다. 아버지는 집현전참봉에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공은 1567년(명종...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920년 4월 8일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313번지에서 출생하여, 후에 예천으로 이주하였다가 2005년 사망하였다. 이남직은 1937년에 안동공립농업학교 재학생이었는데, 항상 조국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같은 학교 학생인 송필학(宋必鶴)에게 편지를 보내어 독립운동을 권유하기도 하였다. 또한 1939년 12월에...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하경(夏卿), 호는 고산(孤山)·마애(磨崖)·나암(懶庵)·우원(芋園)·우포(芋圃)·사익당(四益堂). 5대조 이훈(李薰)이 처음으로 풍산(豊山)에 입향하였다. 할아버지는 주부를 지낸 이진(李珍), 아버지는 통덕랑 이정발(李廷發),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天金氏)로 대구부사 김윤안(金允安)의 딸이다. 이유장은 경상부 안동...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준태(李準泰)는 본관이 예안(禮安)이고, 호는 학암(鶴巖)·일강(一岡)·일봉(一熢)이다. 1891년 지금의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서 예안이씨 21세손 이수학(李洙學)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이준태는 1909년 안동금곡측량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 서울에 있는 조선총독부 공업전습소 금공과(金工科)를 마쳤다. 이후 임시토지조사국 사무원급기술양성소를...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경무(景武), 호는 취산(翠山)이다. 이회식은 1892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서 태어났다. 묘는 풍산읍 만운리에 있다. 이회식은 1923년 11월에 안동시 풍산 일대에서 결성된 풍산소작인회에 가입하여 지세공과금과 소작료 인하 문제를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투쟁하였다. 풍산소작인회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던 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예안(禮安). 1886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에서 태어났다. 이회원은 1923년 11월 안동시 풍산 일대에서 조직된 풍산소작인회에서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4년 봄 대규모로 전개된 소작료 인하 운동에 앞장섰던 이회원은 소작권 문제로 대지주와 일본인 지주들의 탄압에 항거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1925년 11월...
-
김숭조(金崇祖)는 1598년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 8남으로 태어나 5세 때 부친을 여의고 큰형인 김봉조의 보살핌 아래 성장하였다. 1624년 27세 되던 해에 진사시에 합격을 하고 나서, 형들의 권유로 대과를 목표 삼아 성균관에 유학했으나 2년 뒤 어머니가 숨을 거두자 낙담하여 고향으로 돌아왔다. 모친의 3년상을 마치고 다시 한양으로 올라가 성균관에서 대과 준비...
-
김지섭(金祉燮)은 1884년 오미리에서 김숭조의 11세손으로 태어나 8세에 한학을 배우기 시작했는데, 재주가 뛰어나 천재라는 말을 듣곤 하였다. 24세 되던 해인 1907년 3월에 보통학교 교원시험에 합격하고, 같은 해 5월 경상북도 상주보통학교 교원으로 부임했다가 이듬해에 사직하였다. 1909년 서울로 올라가서 광화신숙 일어전문과에서 일본어를 불과 1개월 만에 수료하고...
-
김응조(金應祖)는 1587년 영주에서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 6남으로 태어나 16세 때 부친을 여의고 큰형인 김봉조의 보살핌 아래 성장하였다. 17세 때부터 류성룡(柳成龍)으로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1613년 27세 되던 해에 생원시에 합격을 했으나, 광해군의 폭정에 크게 낙심하여 과거를 포기하고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 들어가 약 10년에 걸쳐 학문에만 정진...
-
김연조(金延祖)는 1585년 영주에서 부친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 5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총명함이 남달라 8세 때 스스로 글을 지어 형제들과 친구들 앞에서 읊기도 하였다. 이런 연유로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하기도 했는데, 다음은 김연조가 17세 되던 무렵 아버지 김대현한테서 온 편지글 내용이다. 스승에게 ‘中(중)’자를 써 달라고 하여 거처하는 방 벽에...
-
김창현은 1936년 4월 13일(음력) 오미리 경남재에서 출생했다. 독립운동자금을 대느라 살던 집까지 팔던 집안 어른들로 인해 그는 넉넉지 못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안동고등학교 재학 시절, 안동시내 친척집에서 학교를 다니던 김창현은 주말마다 집안일을 돕기 위해 24㎞나 되는 거리를 걸어서 집으로 왔다. 그러나 일을 끝내지 못하면 2~3일씩 학교를 가지 못하는 일도 종종...
-
오미리 풍산김씨 문중에 전해 오는 것으로 『세전서화첩(世傳書畵帖)』이 있다. 2009년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어 있는 『세전서화첩』의 편찬자는 김중휴(金重休)로, 1797년 오미리에서 태어나서 1863년에 숨을 거두었다. 『세전서화첩』은 건(乾)과 곤(坤)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로 26.5㎝, 세로 36.0㎝이다. 수록된 그림은 풍산김씨 10세부터...
-
오미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이 유난히 많이 태어난 마을이다. 일본 왕이 살고 있는 황궁에 폭탄을 던지겠다는 일념을 가슴에 안고 현해탄을 건너간 김지섭을 비롯하여 한국 근대사에서 애국운동을 대표할 만한 주요 인물들이 적지 않다. 그럼에도 이들 인물들이 펼친 활약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그 까닭은 이들 대부분이 사회주의 노선을 걸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
-
풍수지리적 시각에서 보면, 오미리는 태백산의 지맥을 이어받은 동쪽의 아미산(峨眉山)을 청룡, 서쪽의 도인산(道仁山)을 백호, 남쪽의 검무산(劍舞山)을 주작, 학가산의 한 갈래가 구불구불 수십 리를 남으로 뻗어 내리면서 솟은 북쪽의 죽자봉(竹子峰)을 현무로 하고 있다. 특히 안산(案山) 역할을 하는 거무산(일명 검무산)의 자태는 밑변이 편편하고 넓은 삼각산의 형상을 취하고 있어 안정...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대밭이 있어서 대밭·대밭골·죽전(竹田)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풍산현(豊山縣)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에 따라 안동군(安東郡) 풍북면(豊北面)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음동(觀音洞)·악대(嶽垈)·악심리(嶽深里)·탑골[塔谷]을 병합하여 죽전리(竹田里)라 하였고, 193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
불천위(不遷位)란 ‘옮기지 않는 신위’라는 뜻으로 사대봉사 원칙과 상관없이 자손만대 제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다. 대개 나라에 큰 공을 세우거나 학문적으로 뛰어난 업적을 남기거나 혹은 덕망이 높은 경우 불천위로 추대된다. 이런 이유로 불천위로 지정된 조상을 모시고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가문의 큰 영광이었다. 풍산김씨 허백당 종택에서는 무려 두 분의 불천위를 모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과 김천시 아포읍을 연결하는 지방도. 경상북도 구미시 아포읍에서 풍산선으로 안동시 풍천면을 경유하여 풍산읍을 연결하며 풍산읍에서 지방도 924호선과 연결된다. 지방도 번호는 세 자리나 네 자리 수로 구성된다. 백 단위 이상 숫자는 도의 구분을 나타내는데, 경기도는 3XX, 강원도는 4XX, 충청북도는 5XX, 충청남도는 6XX, 전라북도는 7XX, 전라남도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면 소산리에서 마을 풍물패가 지신밟기를 할 때에 부르는 의식요. 「지신밟기 소리」는 정초에 마을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집돌이 풍물을 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동제를 지낸 다음날 아침에 음복을 하고 나서 집돌이 풍물을 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먼저 동신당 앞에서 풍물을 치고 인사를 드린 다음 마을 공동우물에서 샘굿을 치고 이어서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지신밟기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산. 『영가지(永嘉誌)』에 따르면 산성이 있었으므로 성산(城山)이라고도 하며 성산(星山)·청산(靑山)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252m이다. 동쪽으로는 덤산·약산·갈라산·아기산, 서쪽으로 정산·화산, 북쪽으로 학가산·천등산·옥산·와룡산, 남쪽으로 성주산이 눈에 들어온다. 정상은 사방이 트여 조망하기에 좋고, 정상에서 남쪽으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크고...
-
김봉조(金奉祖)는 1572년 한양 장의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서 부친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서 장남, 곧 팔련오계(八蓮五桂)의 맏형으로 태어났다. 1601년 30세의 나이로 진사시에 합격하고, 42세 되던 해인 1613년에 문과급제를 하였다. 김봉조는 효심이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사시 합격을 한 이듬해에 부친이 세상을 뜨자 묘소 옆에 여막을...
-
김대현(金大賢)은 1553년 부친 김농(金農)과 모친 안동권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서 1602년 숨을 거두었다. 호는 유연당(悠然堂)으로, 허백당(虛白堂) 김양진(金楊震)의 증손자이기도 하다. 김대현은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면모를 보이면서 성장하였다. 당시 한양에서 살았던 그는 조선 전기 성리학의 대가로 알려진 우계(牛溪) 성혼(成渾)으로부터 글을 배운 적...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을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사랑을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창의를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 사랑, 창의를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이다. 1928년 6월 1일 풍북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 풍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9년 11월 25일 신양분교장을 안양국민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자율과 책무를 존중하는 자주적이고 도덕적인 민주시민, 스스로 학습하는 지혜를 길러 학력과 재능을 키워가는 사람, 창조하는 지식을 길러 정보화 사회에 앞장서는 사람, 세계를 향한 미래 사회의 지도자로서 비전을 지닌 사람, 바른 삶의 실천을 위해 지력과 심력을 실현할 수 있는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경안노회 소속 교회이며,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교회이다. 2009년 교회 표어는 섬기는 교회이다. 풍산교회는 기독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2년 2월 권수백의 전도로 정봉모(鄭鳳模), 김인수(金仁壽), 강덕수 등이 하리동 김인수의...
-
오미리에 있는 추원사(일명 도림추원사)는 1758년(영조 34)에 건립되었고, 1806년(순조 6) 현재의 위치로 이건되었다. 도림(道林)은 추원사(追遠祠)가 보림산(甫林山) 도봉(道峯) 아래 자리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림추원사는 김대현(金大賢)과 그의 아들 8명의 학덕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된 사당으로, 오미리 풍산김씨의 가장 핵심적인 추모공간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김치공장에서 생산되는 김치. 낙동강 유역의 사질토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배추와 무를 사용하여 김치를 만듬으로써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고자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풍산김치는 서안동농협에서 운영하는 김치공장에서 생산되는 김치로 1994년 12월 2일 상표등록(등록 제303267호)을 마쳤다. 2003년 3월 27일 농산물 50만 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역 주민이 현재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여 도농간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1983년 말에 제정되었으며, 1984년부터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풍산농공단지는 공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 있는 조선 중기 풍산류씨 가문의 재사. 안동시 풍산읍 수리 50번지[수석길 6-89]에 위치한다. 풍산과 안동 사이 국도에서 풍산읍의 동쪽 경계 부분과 안동시의 서쪽 끝 송야교 부분을 이어주는 길로 들어서면 중간쯤 되는 지점에 수동이 있다. 수동은 풍산들의 서북쪽 한 끝을 호선으로 감싸고 있는 산자락 끝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수동마을 뒷산에 서...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행정구역.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삼국시대에 하지현(下枝縣)에 속하였다가 신라 경덕왕 때 영안(永安)으로 고쳐 예천군(醴泉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풍산현(豊山縣)으로 개칭하였고,...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1946년 학교 건립을 시작하여, 1947년 7월 15일 풍산국민학교에서 병산초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49년 4월 30일 지금의 위치로 교사를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50년 4월 1일 3년제 6학급 병산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8년 3월 1일 풍산중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꾼 뒤, 1976년 11월 25...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직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특기를 가진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1933년 10월 27일 4년제 풍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6년 1월 1일 6년제 풍산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하였다. 194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하수종말처리장. 풍산하수종말처리장은 풍산읍 지역의 생활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7월 19일 설립 인가를 받아 12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2007년 9월 5일의 시운전에 이어 11월 30일 가동을 시작했으며 12월 3일 풍산하수종말처리장 준공식을 가졌다. 지역에서 생성되는 하수의 정화·방류, 하수 중에 섞여 있는 모래·넝마...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조직된 농민운동 단체. 풍산소작인회가 조직된 이후, 소작인회의 산하 조직으로 가장 활동이 왕성한 곳이 일제강점기 당시 안동군 풍서면 소산동 지역이었다. 이에 풍산소작인회에서는 이곳을 따로 독립시켜 풍서농민회를 조직하였다. 풍서농민회는 상호 부조와 생활 개량을 목적으로 하고, 무산계급의 해방운동을 기하며 당면의 이익을 위하여 투쟁함을 설립목적으로 하였다. 풍...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17세기 초에 편찬된 안동 지역 지방지(地方誌)인 『영가지(永嘉誌)』 고적조(古蹟條)의 “풍악산성(豊嶽山城)은 풍산현(豊山縣)의 동북쪽 2리 지점에 있으며 지금은 못 쓰게 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늦어도 17세기 초에는 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하지산(下枝山)에 있다. 하지산은 풍...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풍산읍 아래쪽에 있으므로 하리(下里)라 하였다. 『영가지(永嘉誌)』풍산현(豊山縣) 방리조(坊里條)에 “풍산현으로부터 보면 남쪽이니 하리라고 부른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다가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安東郡) 풍현내면(豊縣內面)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리(上里)·마애리(磨崖里) 일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선돌. 선돌은 선사시대 거석 기념물의 하나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세운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 수가 적은 편이지만,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대부분 단독으로 마을 어귀 평지나 낮은 구릉 위 또는 비탈에 세워졌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고인돌과 함께 세워진 경우도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전의이씨 동성 마을. 풍산읍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하리리(下里里)라고 하였다. 고려 말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하면서 상서이부판사로 있던 전의이씨 이사례(李思禮)를 제거하고 그의 가족을 멸살하려 하였다. 이사례의 장남 이웅(李雄)은 아버지의 시신도 거두치 못한 채 당시 안동 풍산현에 세거하고 있던 처가 안동권씨와의 인연으로 소산리에 몸을...
-
김영조(金榮祖)는 1577년 한양 장의동에서 부친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나, 6세 되던 해에 부친을 따라 영주로 내려와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이듬해인 7세부터 이웃에 살고 있는 장씨(張氏)라는 사람에게서 글을 배웠는데, 여타 학동들에 비해 총명함이 두드러져 “훗날 문호를 일으킬 사람이다.”라는 칭찬을 듣곤 하였다. 김영조가 8세 되던 어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산하의 서안동 영업소. 한국도로공사 서안동영업소는 중앙고속도로를 통해 안동으로 들어오는 차량과 안동을 빠져나가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4년 12월 중앙고속도로 제천-원주 구간이 완성되면서 1995년 8월 29일 개소하였다. 2007년 10월 30일 출구 요금소 세 곳과 입구 요금소 두 곳 중 각 한 곳을 하이패스 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 뒷산인 대봉산(大鳳山)이 높고 골이 깊어 비옥한 토질을 갖추었다고 하여 ‘달 감(甘)’자, ‘언덕 애(厓)’자를 써서 감애(甘厓)라 하였다. 현애(玄厓)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풍산현(豊山縣)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安東郡) 풍북면(豊北面)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양동(新陽洞)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에 있는 안동김씨 동성 마을. 마을이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토질이 비옥하여 달 ‘감(甘)’자와 언덕 ‘애(厓)’자를 써서 감애 또는 현애(玄厓)라고 하였다. 풍산 소산리에 세거하고 있던 북애공 김후(金垕)가 당시 현애리에 살고 있던 아주신씨(鵝州申氏)의 사위가 됨으로써 안동김씨 집성촌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독립운동가 김시현(金始顯)을 배출한 곳이기...
-
오미리에서 대대로 전해 오는 「춘유곡(春遊曲)」은 아녀자들이 봄이면 화전놀이를 하면서 읊었던 가사이다. 다음은 「춘유곡」의 전문으로, 오미마을의 유래를 설명하면서 조상들의 유덕을 기리고, 또 고된 시집살이의 애환을 애절한 심정으로 구구절절 읊고 있다. 사시가절(四時佳節)얼마인고/ 삼월춘풍웃음이라 인생행락얼마인고/ 소년광음(少年光陰)제일이라 청가묘무방수하(淸歌妙舞芳樹下)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법정리. 마을에 회나무가 있어 회곡(檜谷) 또는 회곡촌(檜谷村)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안동군(安東郡) 서선면(西先面)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청사동(靑絲洞)·상계곡동(上桂谷洞)·증수동(增壽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회곡리(檜谷里)라 하고 풍산면(豊山面)에 편입하였다. 각 마을의 중앙을 흐르는 시내가 낙동강으로 흘러들고, 남쪽...
-
유교적 성향이 강한 집성마을인 오미리에서는 조상의 제례를 중시 여기는 경향이 비교적 강하다. 그러다 보니 격식과 내용에도 비교적 큰 관심을 기울이는 편이다. 그러나 가가례(家家禮)라는 말도 있듯이, 가문마다 예법이 다른 까닭에 적절한 지침을 세워 두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오미리의 풍산김씨 역시 다음과 같은 나름의 제례지침을 마련해 두었다고 한다. 1. 재계와 준비 예문(禮文)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