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시대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하회마을뿐만 아니라 안동 지역 사람들의 최대 구경거리였다고 한다. 어느 정도였냐면, 사람들이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께서 “살아생전 하회 별신굿을 보고 구경했느냐?”고 묻는데, 이 때 구경을 하지 못했다고 하면 그것도 구경하지 못했느냐며 다시 세상으로 돌려보내 굿 구경을 하고 오도록 한다는 이야기가 전할 정도였다. 그만큼 안동 지역 사람들에게 하회...
-
하회마을에서는 “허씨 터전에 안씨 문전에 류씨 배판”이라는 말이 전해져 온다. 이 말은 김해허씨가 터를 닦아 놓으니 그 위에다 광주안씨가 집을 짓고, 풍산류씨는 안씨 집 앞에서 잔치판을 벌였다는 뜻이다. 바꾸어 말하면 허씨들이 처음으로 마을을 개척했고, 이어서 안씨들이 마을에 들어와 문중을 이루었으며, 다음으로 류씨가 잔치판을 벌일 정도로 가문이 번성했다는 말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인계리에서 공민왕의 싸움터 오마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공민왕(恭愍王, 1330~1374)은 고려 제31대 왕으로 이름은 전(顓), 호는 이재(怡齋)·익당(益當)이다. 왕위에 오른 뒤 원나라를 배척하고 친원파인 기씨(奇氏) 일족을 제거하였다. 또한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는 등 국위를 떨쳤으나 최만생(崔萬生)과 홍윤(洪倫)에게 살해되었다. 1981년...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여성들만의 전통놀이. 금소동 지애밟기는 부녀자들만이 꼬깨를 만들어 싸움의 승패를 가려서 여성대장군의 위력을 과시하는 여성들의 용감무쌍한 정신과 자신감이 잘 나타나 있는 놀이이다. 지애란 기왓장의 옛말로서, 부녀자들이 상체를 구부려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 선 모습이 마치 기와처럼 보여 부르는 말이다. 또한 그 위를 밟고 지나...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서 나무꾼들이 산에 올라갈 때 부르는 가창유희요. 「어사용」은 나무꾼들이 지게를 지고 나무를 하러 산에 올라갈 때 지게 작대기로 지게목발을 두드리면서 부르는 유희요이다. 다른 말로 「어새이」,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1년 7월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로 현지조사를...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서 무덤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 상여로 운구한 주검을 광중에 하관한 다음 상주가 취토를 하고 나면 석회를 섞은 흙을 한 자쯤 채우고는 다져서 광중을 메운다. 이 때 빈틈을 없애기 위해 달구질을 하는데, 달구꾼들이 빙 둘러서서 노래에 맞추어 돌아가며 밟게 된다. 이때 상여 앞소리를 메기던 앞소리꾼이 봉분 가운데 서서 메기면 여러 사람이...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토목노동요. 이웃에서 집을 짓게 되면 마을 사람들이 저녁에 모여서 집터를 다져준다. 「지점 소리」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큰 돌에 여러 가닥의 줄을 묶어 빙 둘러선 사람들이 나누어 쥐고 당겼다 놓았다 하며 부르는 민요이다. 이를 「땅다지는 소리」라고도 한다. 줄을 당기면 지점돌이 위로 올라갔다가 놓으면 떨어져 땅을 다지게 되는데, 집...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내기 소리」는 안동시 예안면 정산리에서 모심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로서 경상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부르는 모노래류와 비슷하다. 이를 「모심기 소리」, 「모숭기 소리」라고도 한다. 「모내기 소리」는 모내기를 하면서 하루 종일 부르는 까닭에 아침소리·점심소리·저녁소리 등으로 구별된다. 아침소리는 어제 저녁에 무엇...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내기 소리」는 안동시 예안면 정산리에서 모심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로서 경상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부르는 모노래류와 비슷하다. 이를 「모심기 소리」, 「모숭기 소리」라고도 한다. 「모내기 소리」는 모내기를 하면서 하루 종일 부르는 까닭에 아침소리·점심소리·저녁소리 등으로 구별된다. 아침소리는 어제 저녁에 무엇...
-
경상북도 안동시 신안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동요 중의 하나. 「널뛰기 노래」는 어린아이들이 널을 뛸 때에 불렀던 동요이다. 널뛰기를 할 때에 한쪽 편의 아이가 “아가리 딱딱 벌려라”를 메기며 양쪽으로 다리를 쫙 벌려 뛰면, 맞은편 아이는 “열무김치 들어간다”로 받으며 공중에서 앞뒤로 다리를 쫙 벌리며 뛴다. 노랫말도 재미있지만 노래를 부르면서 하는 행동이 노랫말과 딱 어울려 더욱 재...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서사민요.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5년 1월 안동시 서후면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조차기(남, 78)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훗사나 타령」은 남편이 있는 여자가 외간 남자와 정을 통한다는 유희요로서 노래의 내용이 이야기처럼 전개되는 까닭에 서사민요라고도 한다. 외간 남자인 훗사나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 「상여 소리」는 장례 절차 중에서 출상 당일에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때 선소리꾼(상두꾼)이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상여나가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앞소리꾼이 사설로 앞소리를 메기면 상두꾼들이 뒷소리를 후렴으로 받는다. 안동 지역에서 「상여 소리」의 후렴은 “너호 너호 에이 넘차 너호”라고 하는 것...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서 돌고지바위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은 조선 선조 때의 재상으로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이다.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대사헌·경상도관찰사 등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다. 도학·문장·덕행·서예로 이름을 떨쳤으며, 저서에 『서애집(西厓集)』·『징비록(懲毖錄)』·『신종록(愼終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서 나무꾼들이 산에 올라갈 때 부르는 가창유희요. 「어사용」은 나무꾼들이 지게를 지고 나무를 하러 산에 올라갈 때 지게 작대기로 지게목발을 두드리면서 부르는 유희요이다. 다른 말로 「어새이」, 「나무꾼 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1년 7월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로 현지조사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서 여자못(여자지)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8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서 주민 남종진(남, 74)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동시사』에 수록하였다. 옛날에는 산비탈에서만 농사를 지었을 뿐 강가에서는 농사를 짓지 못하였다. 사람들은 못 근처에서 농사를 지으려고 여러 번 시도를 하였다. 농사를 짓기 위해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유생들이 윷을 놀면서 부르는 도구경기요의 하나. 윷놀이와 비슷한 놀이로서, 중국의 저포(樗蒲)라는 것이 있어 윷노래를 「저포송(摴蒲頌)」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저포송」은 윷을 놀다가 꼭 필요한 패가 나왔을 때 춤을 추며 부르는 노래로 지금도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와 남선면 신흥리 등에서 전승되고 있다. 「저포송」은 1967년 7월 20일에 안동시 신세동에 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여자의 애달픈 삶을 노래한 비극적 서사민요. 「김선달네 맏딸아기」는 인물이 잘났다고 소문난 김선달의 맏딸이 시집을 가서 시어머니의 고된 시집살이를 견디지 못하고 친정어머니를 원망하며 집을 나간다는 줄거리를 지닌 부녀요이다. 노래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 「이선달네 맏딸애기」라고도 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각설이패가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각설이 타령」은 지난 시절 거지들이 마을에 들어와 집집마다 돌며 구걸을 위해 흥겹게 불렀던 노래인데, 「장타령」이라고도 부른다. 「각설이 타령」이 신재효의 판소리전집 중 「변강쇠가」에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각설이 타령」 조선시대부터 불리던 민요라 하겠다. 「각설이 타령」은 머리·허리·손·발을 흔들면서 노래하기 때문에 듣는...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중의 하나. 「길로길로 가다가」는 길을 가다가 돈을 한 푼 주었거나 바늘 하나를 주운 다음 벌어지는 일을 재미있게 노래한 민요이다. 「질로질로 가다가」라고도 한다. 주운 돈으로 떡을 사서 남몰래 먹으려다가 결국 까마귀한테 잃어버리고 후회하는 내용을 통해서 욕심을 부리다가는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된다는 것을 노래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마뜰에서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가창유희요. 「칭칭 소리」는 가사 중에서 뒷소리로 반드시 따라 나오는 ‘칭칭이’를 노래 이름으로 삼았다. 이는 「쾌지나 칭칭 나네」, 「칭칭이」 등으로도 불린다. 「쾌지나 칭칭 나네」는 농악에서 쓰이는 꽹과리 소리의 의성음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동 지역에서는 「쾌지나 칭칭 나네」를 「치야 칭칭 나네」라고 하는데, 이분임 할...
-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마뜰에서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가창유희요. 「칭칭 소리」는 가사 중에서 뒷소리로 반드시 따라 나오는 ‘칭칭이’를 노래 이름으로 삼았다. 이는 「쾌지나 칭칭 나네」, 「칭칭이」 등으로도 불린다. 「쾌지나 칭칭 나네」는 농악에서 쓰이는 꽹과리 소리의 의성음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동 지역에서는 「쾌지나 칭칭 나네」를 「치야 칭칭 나네」라고 하는데, 이분임 할...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서 한글의 말머리를 노랫말의 첫마디로 가져와 부르는 가창유희요.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67년 7월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은출(남, 49)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언문뒤풀이」는 한글 닿소리와 홑소리를 차례로 결합하여 그 소리에 말을 이어 붙여서 부르는 노래로, 혼자서 부르는 독창...
-
조선 후기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덕홍의 시문집.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 1541~1596)은 습독(習讀) 이현우(李賢佑)의 손자이자 증참판 이충량(李忠樑)의 아들이다. 형은 이복홍(李福弘)으로, 안동 예안에서 살았다. 1660년(현종 7) 외증손 김만휴(金萬烋)가 간행한 뒤 1754년, 1766년에 중간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 등에 소장되어 있다. 저본은 1766년...
-
1909년에 간행된 경상북도 안동 출신 이현일의 시문집.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아버지는 참봉 이시명(李時明)이고, 이휘일(李彙逸)이 형이다. 어머니는 안동장씨로 장흥효(張興孝)의 딸이다. 『갈암집(葛庵集)』은 원래 숙종 연간에 이현일의 아들 이재(李栽)가 편집하고, 이재를 비롯하여 문인 권두경(權斗經)·이광정(李光庭) 등 6인이 초고...
-
1800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권만의 시문집. 강좌(江左) 권만(權萬, 1688~1749)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1800년(정조 24) 증손인 권신도(權信度)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저본은 성균관대학교 소장본이다. 10권 5책의 목활자본으로 표제는 강좌선생문집(江左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
-
1743년에 간행된 경상북도 안동 출신 류운룡의 시문집.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은 류성룡의 형이며 이황의 문인이다. 1572년(선조 5) 음보로 전함사별좌가 된 다음 의금부도사, 내자시주부, 인동현감, 한성부판관 등을 지냈다. 1743년(영조 19) 6세손 류영민(柳永民)이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8권 4책의 목...
-
177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령의 시문집. 김령(金坽, 1577~1641)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호는 계암(溪巖)이다. 광산김씨 예안 입향조 김효노(金孝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유(金綏)이고, 아버지는 현감 김부륜(金富倫)이며, 어머니는 평산신씨로 부호군 신수민(申壽民)의 딸이다. 1771년(영조 47) 가을에 예안 향중(鄕中) 선비들이 김령의 덕행을 경모(敬慕)하여...
-
1891년 간행된 조선 후기 안동 출신 유학자 류도원이 정리한 『퇴계집』 주석서. 임동면 박실에서 살았던 류도원은 부친 류승현(柳升鉉) 형제에게서 가학을 계승하고 이상정(李象靖)을 통하여 퇴계의 학문을 이어받은 당시 안동의 대표적인 유학자이다. 그는 평소 『퇴계집(退溪集)』을 깊이 탐구하였는데, 『퇴계집』 본문에 나오는 인명과 지명, 긴요한 고사들과 자구에 대하여 주석을 붙인 것이...
-
1775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유장의 시문집. 이유장(李惟樟, 1625~1701)의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5대조 이훈(李薰)이 처음으로 풍산(豊山)에 입향하였다. 할아버지는 주부(主簿)를 지낸 이진(李珍)이고,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이정발(李廷發)이다.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天金氏)로, 대구부사 김윤안(金允安)의 딸이다. 손자 이재기(李載基) 등이 1706년(숙종 32)에...
-
180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낙행의 시문집.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 1708~1766)은 일찍부터 밀암(密庵) 이재(李栽)의 문하에서 『근사록(近思錄)』과 『심경(心經)』 등을 깊이 연구하면서 평생을 초야에서 학문 연마와 후진 양성으로 보냈다. 1801년에 종제 김도행(金道行)이 주체가 되어 『제산집』을 간행하고, 또 그동안 정리하여 교정한 본을 가지고 별집을 제외하고...
-
1902년 간행된 안동 출신 류빈의 문집. 권옹(倦翁) 류빈(柳贇, 1520~1591)은 류성룡(柳成龍)의 재종숙이다. 생원, 진사에 합격하기도 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일생 학문에만 전념하여 『권옹집(倦翁集)』 외에 『성리대전(性理大典)』·『시서역전대전(詩書易典大典)』·『대전절요(大全節要)』 등의 저서를 남겼다. 마곡서원(磨谷書院)에 배향되었다. 1902년 후손인 류하영(...
-
조선 후기 안동군 서후면에서 태어난 정부인 안동장씨가 말년에 저술한 음식 조리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은 정부인 안동장씨(1598~1680)가 딸과 며느리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정리한 음식 조리서로서, 17세기 우리 조상들이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 먹었는지 식생활의 실상을 잘 알려 주는 문헌이다. 모두 146개 항에 달하는 음식 조리법을 한글로 서술한 최초의 한글 조리서이다. 말...
-
1855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배용길의 시문집. 금역당(琴易堂)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이 남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저자의 사후 220여 년이 지난 1855년(철종 6)에 후손 배선원(裵善源)·배선하(裵善河) 형제가 정리하고 종인(宗人) 배욱주(裵郁周)·배중현(裵重鉉)·배호주(裵鎬周)가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류형진(柳衡鎭)도 교정에 참여하였다. 이것이 초간이다...
-
173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학배의 시문집. 1732년(영조 8) 김성탁(金聖鐸)의 교열을 거쳐 아들 김세용(金世鏞)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6권 2책의 목활자본으로 표제는 금옹선생문집(錦翁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4.3㎝, 세로 19.7㎝이다.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
-
1665년과 191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현보의 시문집. 『농암집(聾巖集)』은 1665년(현종 6) 외손 김계광(金啓光)에 의해 처음 간행되었다. 여러 차례 난리를 거치면서 유고의 태반이 산실되었으므로 후손들이 간행을 의논하여 가장(家藏)하고 있던 시문 약간 편을 수습하였다. 이에 김계광이 편차를 고증하고 6세손 이언필(李彥弼)이 선사(繕寫)하여 1663년 겨울에 시작, 166...
-
1808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광정의 시문집.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1674~1756)은 갈암 이현일과 밀암 이재를 스승으로 한 남인의 대표적인 문장가이다. 83세라는 장수를 누리면서 많은 시문을 지었으나 62세 되던 1735년(영조 11)에 평소 거처하던 녹문정사(鹿門精舍)의 화재로 많은 시문이 불에 탔다. 처음 이광정의 장례식에 모인 향중 사림들이 발기하여 유문(遺文)...
-
180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상정의 시문집.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은 이재(李栽)의 외손(外孫)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 →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 밀암(密庵) 이재로 이어지는 퇴계학맥을 계승하였다. 동생 이광정(李光靖)과 아들 이완(李埦)이...
-
1919년 간행된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이 안동 출신 유학자 이황의 사적을 수집하여 내용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언행록. 권두의 서문에 의하면, 실학자로 유명한 이익(李瀷, 1681~1763)은 평소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집과 저술을 가까이 하면서 학문 수양에 긴요한 구절을 초록하여 두고 40여 년간 사색의 자료로 삼았다. 그리하여 훗날 제자인 안정복(安鼎福)과 윤...
-
1922년 간행된 조선 중기 안동 출신 권두경이 퇴계 이황 문인들의 행적을 기록한 문도록. 권두경(權斗經, 1654~1726)은 안동부 내성현 닭실 출신 유학자로서 권벌(權橃, 1478~1548)의 후손이다. 17세기 말 영남학파의 거벽이었던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을 통하여 이황의 학문을 익혔으며, 만년에는 도산서원의 원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18세기 초, 영남 퇴계학...
-
1922년 간행된 조선 중기 안동 출신 권두경이 퇴계 이황 문인들의 행적을 기록한 문도록. 권두경(權斗經, 1654~1726)은 안동부 내성현 닭실 출신 유학자로서 권벌(權橃, 1478~1548)의 후손이다. 17세기 말 영남학파의 거벽이었던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을 통하여 이황의 학문을 익혔으며, 만년에는 도산서원의 원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18세기 초, 영남 퇴계학...
-
조선 말기 안동 출신 민족운동가 류인식이 편찬한 시화집(詩話集). 『대동시사(大東詩史)』는 류인식(柳寅植, 1865~1928)이 1924년 조선조 개국 이래의 시가(詩歌) 중에서 충신 의사들의 순국 시와 산림 은사들의 시 수백 편을 모으고, 각 시편마다 저작 동기와 관련 사실을 해설하고, 시의 내용을 빌려 역사를 논한 일종의 시화집이다. 해방 뒤인 1949년 류림과 정현모 등이 『...
-
조선 후기 안동 출신 유학자 류건휴가 우리나라 유학자들의 사서 주석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집약하여 정리한 책. 조선의 유학자들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등 대부분 주희를 전후한 송·원·명의 주자학자들의 주석을 학습하고 연구하였다. 이와는 달리 류건휴(柳健休, 1768~1834)가 편찬한 『동유사서해집평(東儒四書解集評)』은 우리나라 유학자 73인의...
-
189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금보의 문집. 1891년(고종 28)에 매헌(梅軒) 금보(琴輔, 1521~1585)의 10세손인 금우열(琴佑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4권 2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매헌선생문집(梅軒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18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6.4㎝, 세로 18.4㎝이다. 어미는 상하이엽화...
-
1799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정유일의 시문집. 1799년(정조 23) 권사협(權思浹)·김희분(金熙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6권 3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문봉선생문집(文峯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7.6㎝, 세로 22이다. 어미는 상하이엽화문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이다. 권두에 조술...
-
173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재의 시문집. 밀암(密庵) 이재(李栽, 1657~1730)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 →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로 이어지는 퇴계 학통을 전수하여 외손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에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1732년(영조 8)...
-
조선 중기 안동 출신 구봉령의 문집.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 1526~1586)은 처음 외종조부 권팽로(權彭老)에게 『소학(小學)』을 배워 문리를 얻고, 1545년 이황(李滉)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시문에 뛰어나 기대승(奇大升)과 비견되었는데,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만년에 정사(精舍)를 세워 후학들과 경사(經史)를 토론하였다. 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김대락이 1910년 만주로 망명한 직후부터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쓴 일기. 계몽운동가이자 민족운동가로 협동학교(協同學校) 교장을 지냈던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은 대한제국이 망하자 66세의 고령에 일가를 거느리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백하일록(白下日錄)』은 김대락이 만주로 떠난 1911년으로부터 세상을 떠나기 직전인 1913년까지의 일기문으로, 망...
-
1797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권구의 시문집. 1797년(정조 21) 사인(士人) 김필형(金弼衡)의 발의로 권구(權榘, 1672~1749)의 외손인 류일춘(柳一春)이 주도하여 병산서원에서 목판본 원집 8권, 부록 2권으로 문집을 간행하였다. 이때 이종수(李宗洙)가 감교(勘校)하였고 류규(柳氵+奎)와 류상춘(柳象春)이 교정본을 모아서 정리하였으며, 류상춘이 정고본(定稿本)을 정사(淨...
-
경상북도 안동시 서부동 문화모임 안동에서 발행하는 지역 격월간 잡지. 『향토문화의 사랑방 안동』은 창간 이후 현재까지 열악한 제작 환경과 소비적인 문화의 홍수 속에서도 단 한 번의 결간 없이 20년 이상을 꾸준히 발행해 오고 있는 잡지이다. 이는 창간호의 약속대로 ‘일체의 정치적·종교적 목적의 이용과 어떠한 특정 단체나 개인의 편에 서기를 거부하며, 항상 객관적인 시각과 냉정한 판...
-
1608년 간행된 조선 중기 안동 출신 유학자 이황의 사서삼경(四書三經)의 주석 및 해설서. 『경서석의(經書釋義)』에 들어 있는 금응훈(琴應壎, 1540~1616)의 발문에 의하면, 이 책은 본래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이 여러 학자들의 훈석을 모아 변론한 것과 제자들의 문변을 연구하여 기록해 둔 것이라고 한다. 일찍이 이황의 생전에는 간행되지 않아서 문인들이 이를 베...
-
조선 후기 안동 출신 유학자 류건휴가 우리나라 유학자들의 사서 주석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집약하여 정리한 책. 조선의 유학자들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등 대부분 주희를 전후한 송·원·명의 주자학자들의 주석을 학습하고 연구하였다. 이와는 달리 류건휴(柳健休, 1768~1834)가 편찬한 『동유사서해집평(東儒四書解集評)』은 우리나라 유학자 73인의...
-
1863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류정원의 시문집. 류병문(柳炳文)이 지은 류종문(柳宗文)의 제문에, 문고(文稿)의 일을 마치지 못한 것을 한스럽게 여겼다고 한 것에서 이전부터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3~1761)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작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를 이어 증손 류치묵(柳致默)이 주관하여 중본(重本)을 편차하고 종숙인 소은(素隱) 류병문(柳炳文)과...
-
1907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흥락의 문집.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은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11세 주손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학봉 김성일,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으로 이어지는 학맥을 잇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남인 학자이다. 인릉참봉, 사옹원...
-
1633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류성룡의 시문집. 『서애집(西厓集)』은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이 죽은 지 27년 만인 1633년(인조 11)에 막내아들 수암 류진(柳袗)이 합천군수로 있을 때 해인사(海印寺)에서 간행하였다. 그 후 1958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초간본을 대본으로 영인하였고, 1991년에는 서애선생기념사업회에서 중간본과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영...
-
1937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우의 문집. 『송재집(松齋集)』은 원래 송재(松齋) 이우(李堣, 1486~1521)가 죽은 뒤 조카인 이황(李滉)이 그의 저술 가운데 남아 있던 「관동행록(關東行錄)」과 「귀전록(歸田錄)」 등의 시를 모아 필사본으로 전하던 것을 이황의 제자이며 저자의 외종손인 오운(吳澐)이 1584년(선조 17) 충주목사로 있을 때 간행한 것으로, 이것이 초판본의...
-
1926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부륜의 문집.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 1531~1598)의 6세손 김시찬(金是瓚)이 편집한 것을, 1926년 10세손 김제면(金濟冕)이 간행하였다. 저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6권 3책의 석인본으로 표제는 설월당선생문집(雪月堂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6.2㎝, 세로 19.6㎝이다....
-
1909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금난수의 시문집. 성재(惺齋) 금난수(琴蘭秀, 1530~1604)는 예안 출신의 학자로 손위 처남인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권유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 들었다. 이황과는 인척 관계에 있다. 학행을 겸한 청빈한 선비이자 자연을 완상하는 감성을 아우른 인물로 임진왜란 때에는 수성장(守城將)으로서 향병을 모으고 군량을 조달하는 등 국난 극복...
-
조선 후기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광정의 시문집.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 1714~1789)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안동시 일직면 광음리에 위치한 고산서원(高山書院)에 배향되어 있다. 1810년 이후 1834년 이전인 순조 연간에 이병원(李秉遠), 이병운(李秉運) 등의 종손(從孫)이 중심이 되어 문집을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에 있다....
-
181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권우의 문집. 1811년(순조 11) 송소(松巢) 권우(權宇, 1552~1599)의 7세손 권달충(權達忠)이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4권 2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송소선생문집(松巢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1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5.2㎝, 세로 19.4㎝이다.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
-
1734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류진의 문집. 1734년에 수암(修巖) 류진(柳袗, 1582~1635)의 후손인 류위하(柳緯河)와 류성화(柳聖和)가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2권 2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수암선생문집(修巖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6.1㎝, 세로 20.5㎝이다. 어미는 상하내향화문어미...
-
류창석이 편찬한 안동 지역 방언 자료집. 『첨절 안곘디껴』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무실 출신인 류창석이 3년에 걸쳐 수집 정리한 안동방언 자료집이다. 이 책은 현대의 편리한 산물에 밀려 사라질 위기에 처한, 안동 지역 어른들이 수백 년간 사용하던 생생한 안동의 토박이말을 살리고 보존하기 위해 간행되었다. 이 책의 제목인 ‘첨절 안곘디껴’는 “안녕하셨습니까?”라는 안동 말에 그치는...
-
류창석이 편찬한 안동 지역 방언 자료집. 『첨절 안곘디껴』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무실 출신인 류창석이 3년에 걸쳐 수집 정리한 안동방언 자료집이다. 이 책은 현대의 편리한 산물에 밀려 사라질 위기에 처한, 안동 지역 어른들이 수백 년간 사용하던 생생한 안동의 토박이말을 살리고 보존하기 위해 간행되었다. 이 책의 제목인 ‘첨절 안곘디껴’는 “안녕하셨습니까?”라는 안동 말에 그치는...
-
경상북도 안동시 서부동 문화모임 안동에서 발행하는 지역 격월간 잡지. 『향토문화의 사랑방 안동』은 창간 이후 현재까지 열악한 제작 환경과 소비적인 문화의 홍수 속에서도 단 한 번의 결간 없이 20년 이상을 꾸준히 발행해 오고 있는 잡지이다. 이는 창간호의 약속대로 ‘일체의 정치적·종교적 목적의 이용과 어떠한 특정 단체나 개인의 편에 서기를 거부하며, 항상 객관적인 시각과 냉정한 판...
-
177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해의 문집. 온계(溫溪) 이해(李瀣, 1496~1550)는 퇴계 이황(李滉)의 형으로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죽었다. 소설 『임꺽정』에 이해의 죽음에 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다. 1772년(영조 48) 후손이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이다. 원집 4권과 연보를 합쳐 모두 3책이며, 판본은 목판본이다. 표제는 온계선생일고...
-
177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이해의 문집. 온계(溫溪) 이해(李瀣, 1496~1550)는 퇴계 이황(李滉)의 형으로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죽었다. 소설 『임꺽정』에 이해의 죽음에 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다. 1772년(영조 48) 후손이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이다. 원집 4권과 연보를 합쳐 모두 3책이며, 판본은 목판본이다. 표제는 온계선생일고...
-
1666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조목의 문집. 1666년(현종 7)에 아들 조석명(趙錫明)이 유고를 편집하고, 예안현감 이석관(李碩寬)이 간행하였다. 본서의 저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이다. 6권 3책의 목활자본으로 표제는 월천선생문집(月川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6.3㎝, 세로 20㎝이다. 어미는 상하이엽화문어미(上下二葉花紋...
-
조선 후기 안동군 서후면에서 태어난 정부인 안동장씨가 말년에 저술한 음식 조리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은 정부인 안동장씨(1598~1680)가 딸과 며느리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정리한 음식 조리서로서, 17세기 우리 조상들이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 먹었는지 식생활의 실상을 잘 알려 주는 문헌이다. 모두 146개 항에 달하는 음식 조리법을 한글로 서술한 최초의 한글 조리서이다. 말...
-
1895~1898년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의병 활동을 기록한 김정섭의 일기. 『일록(日錄)』은 1권 1책으로, 한지에 초서체 세로쓰기로 기록되었으며, 분량은 45쪽 정도가 된다. 『일록』은 1895년 4월에서 1898년 2월 2일까지의 국내 상황과 의병 활동을 기록하고 있으나, 주된 기록은 1895년 8월 19일~1896년 7월 3일까지의 의병과 관련된 내용이다. 그 외의 기록은...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김대락이 1910년 만주로 망명한 직후부터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쓴 일기. 계몽운동가이자 민족운동가로 협동학교(協同學校) 교장을 지냈던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은 대한제국이 망하자 66세의 고령에 일가를 거느리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백하일록(白下日錄)』은 김대락이 만주로 떠난 1911년으로부터 세상을 떠나기 직전인 1913년까지의 일기문으로, 망...
-
조선 중기 안동 출신 문신 김령이 39년 동안 쓴 일기. 김령(金坽, 1577~1641)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알려진 김부륜(金富倫, 1531~1598)의 아들이다. 안동 예안에 세거한 사족 출신으로 1612년(광해군 4)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였으나, 이이첨 등 대북파의 난정을 보고 벼슬을 단념하고 1616년 낙향하여 고향에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에 다시 조...
-
1855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배삼익의 시문집. 1855년(철종 6)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 1534~1588)의 9세손인 배한주(裵翰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저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이다. 6권 3책의 목활자본으로 표제는 임연재선생문집(臨淵齋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7.4㎝, 세로 22.2㎝이다. 어미는 상...
-
1883년(고종 20) 간행된 조선 후기 문신 류치명의 문집.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1777~1861)은 조선 후기 퇴계학통의 결정이라 할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의 뒤를 계승한 대유(大儒)로서 일생을 경학에 잠심하고 실천에 전력하여 영남의 유풍(儒風) 진작에 지대한 공적을 남겼다. 문인 이돈우(李敦禹)가 지은 「문집고성문(文集告成文)」에는, 류치명이...
-
180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성탁의 문집.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 1684~1747)은 남인의 명문인 천전김씨(김진의 후손)의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촉망받는 학자였으나, 또한 그로 인해 노론의 집중적인 공척(攻斥)을 받아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다. 김성탁의 유문을 처음 수집하여 정리한 사람은 아들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이었으나 미처 정사(淨寫)도 하지 못한 채...
-
1821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정사성의 문집. 『지헌집(芝軒集)』은 정사성(鄭士誠, 1545~1607)의 증손 정선(鄭鍹)이 편집하여 1821년(순조 21)에 간행하였다.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5권 2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지헌선생문집(芝軒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18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7.8㎝, 세로 20.3㎝이다. 어미는 상하이엽화...
-
1752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권벌의 문집. 초간본은 1671년(현종 12) 종손 권목(權霂)에 의해 간행되었고, 중간본은 1705년(숙종 31) 후손 권두경(權斗經)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중편본(重編本)은 1752년(영조 28) 6세손 권만(權萬)이 편집하고 후손 권빈(權薲)이 간행하였다. 저본은 1752년에 간행된 중편본으로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원집 10권과 연보를...
-
조선 중기 안동 출신 이황의 문집. 이황(李滉, 1501~1570)은 주자의 학문과 사상을 이은 도학자로서 이기호발설 등 성리학 관련 분야에서 고명한 탁견과 학문으로 매우 뛰어난 인물이다. 특히 이황이 당시 군왕인 선조에게 올린 『성학십도(聖學十圖)』는 성학에 대한 선학의 도(圖)와 설(說)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유학의 핵심을 10개의 도(圖)로써 정리한 것으로, 군주는 사단(四...
-
1649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성일의 문집.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은 안동의 호계서원과 임천서원에 배향된 인물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과 더불어 퇴계의 학통을 이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김성일의 퇴계학맥은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에게 전수되었고, 다시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밀암(密庵) 이재(李栽),...
-
1649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김성일의 문집.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은 안동의 호계서원과 임천서원에 배향된 인물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과 더불어 퇴계의 학통을 이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김성일의 퇴계학맥은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에게 전수되었고, 다시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밀암(密庵) 이재(李栽),...
-
조선 중기 안동 출신 유학자 이황이 주자의 서간문 가운데 주요 부분을 정선하여 편찬한 책. 이황이 주희의 저작집인 『주자대전(朱子大全)』을 처음 접한 것은 한양에서 벼슬을 하던 중인 1543년의 일이다. 그 뒤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에 은거한 1549년 이후 이황은 본격적으로 이 책을 탐구하였다. 그 중에도 가장 주목한 부분은 48권에 달하는 서간문들이었다. 여기에는 주희가 사우들과...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길일(吉日)을 택해서 천지신명과 가신(家神)들에게 지내는 고사(告祀). 상달고사는 음력 10월 상달[上月]이 되면 햇곡식으로 쌀과 술을 빚어 말날이나 길일을 택하여 한 해의 추수와 가내의 안녕을 기원하여 성주·토지신·조왕·삼신·조상 등 모든 가신에게 고사를 지내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 ‘10월 안택’이라고도 한다. 주부 혼자서 간략하게 지내지만...
-
1894년 안동 지역에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9세기 말 조선은 안으로는 봉건 사회의 모순이 극도로 심화되고 있었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열강의 침략이 노골적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일본과 서구 열강은 약육강식이란 힘의 논리를 앞세워 아무런 힘과 준비가 없던 조선을 강제로 세계 자본주의라는 무대로 끌어들여 온갖 이권을 침탈하기에 바빴...
-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체육관에서 2003년 2월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린 체육 행사. 시민에게 한국 배구의 진수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방 체육 활성화와 배구 인구의 저변을 확대함으로써 지역 사회 발전과 화합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개최하였다. 2003 삼성화재애니카 한국배구슈퍼리그는 대한배구협회·KBS한국방송이 주최하고 안동시체육회와 안동시배구협회가 주관하여 2003년...
-
2003년 8월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일부 경기가 개최된 국제 대학 농구 대회. 2003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는 대구광역시에서 유치하여, 대구와 경상북도 일원에서 13개 종목의 경기가 치러졌다. 농구 경기는 안동체육관을 비롯한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유니버시아드는 우정, 우애, 페어플레이, 인내, 성실, 협동심, 적응력을 기본 정신으로 추구하는 17~28세 아마추어 대학선수들의...
-
2005년 10월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열린 아시아 보디빌딩 대회. 2005년 10월 5일부터 10일까지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아시아보디빌딩연맹 소속 22개국 선수·임원 270여 명이 참가한 보디빌딩 대회가 개최되었다. 아시아보디빌딩연맹(ABBF)이 주최하고 대한보디빌딩협회(KBBF)와 안동시 주관으로 개최된 이 대회는 보디빌딩 대회뿐만 아니라 제40회 아시아남자보디빌딩선수권대회, 제...
-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시민테니스장에서 2006년 3월 11일부터 26일까지 열린 체육 행사. 국제남자퓨처스테니스대회는 ITF(국제테니스연맹)의 남자퓨처스대회·남자서키트대회·그랜드슬램대회 규정에 따라 개최된다. 상금 10,000달러인 대회가 3회 이상 또는 상금 15,000달러인 대회가 2회 이상 연속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ITF 남자서키트대회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
-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체육관에서 2008년 5월 2일부터 6일까지 열린 체육 행사. 역동적이고 활기찬 도시 분위기를 조성하고 청정 스포츠 도시 안동,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가치를 전국에 널리 알리며, 우수한 문화 관광 자원과 특산품, 2008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선정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자 개최하였다. 2008 안동체급별장사씨름대회는 대한씨름협회 민속씨...
-
2008년 1~2월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에서 열린 핸드볼대회. 1988년 개최된 서울올림픽대회의 영광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2008안동핸드볼큰잔치는 서울, 인천, 강원도 등에 이어 17번째로 치러졌으며, 경상북도 내에서는 첫 번째로 열렸다. 1차 대회는 1월 15일부터 20일까지 6일간, 2차 대회는 1월 22일부터 27일까지 6일간, 최종전은 2월 4일부터 5일까지 2일간 경기...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활동하는 작가 김장동의 소설집.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 택지개발 조성 과정에서 고성이씨 묘지를 이장하다가 이응태의 미라가 발견되었다. 수장품 가운데 해독 가능한 한글 편지는 이응태의 부인(원이엄마)이 쓴 것으로 부부간의 각별한 사랑을 그리고 있고,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는 소설가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김장동은 2000년 10월 태학사에서 『450년 만의 외출』을...
-
장터마을로 유명한 옹천리는, 예전에 비하면 많이 쇠락했지만 지금도 장날만 되면 마을이 들썩거린다. 철따라 농가에 필요한 재화가 있기에 하루 종일 이어지지는 않지만, 오전 한때는 옛 전성기를 떠올릴 수 있을 정도이다. 봄철에는 묘목 매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여름과 가을에는 농기구 매매 및 손질 등으로 들썩인다. 또한 명절을 전후해서는 제수 매매가 활발하다. 장날만 되면 상설로 좌판...
-
옹천리에서는 한국전쟁 이전까지 해마다 동채싸움과 줄당기기가 번갈아가면서 연행되었다고 한다. 동채싸움은 정월 대보름 당일에 행해졌는데, 전통적으로 옹천1리와 옹천2리는 동부가 되고, 옹천3리는 서부가 되어 편을 구성하였다. 양편의 영향력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 동채싸움을 하기로 결정하면, 각 편에서는 동채를 만드는 데 사용할 나무를 구해서 보름 전날까지 동채를 만들고, 싸움...
-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의 조선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 16세기 말 조선에서 동인과 서인의 붕당 정치가 전개되는 동안, 일본에서는 1587년(선조 20)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전국시대를 통일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제후들의 강력한 무력을 해외로 방출시켜 국내의 통일과 안정을 도모하고, 신흥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조선과 동맹을 맺고 명나라를 치고자 하였고, 15...
-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에 있는 종합 유선 지역 방송국. LG 헬로비전 영남방송은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다양한 소식과 유용한 정보를 지역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11일 종합 유선 방송국 허가 신청 법인체로서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여 5월 29일 제2차 종합 유선 방송국의 지역 방송국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9월 19일 창립총회를 열어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한국방송공사 산하의 지역 방송국. KBS 안동방송국은 경상북도 북부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5월 15일 대구방송국 안동중계소가 개소되었으며 1969년 4월 14일 안동출장소가 개소되었다. 1970년 2월 20일 학가산 TV중계소가 설치되었으며 1973년 3월 1일 한국방송공사 안동방송중계소가 발족되...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드라마 촬영장. KBS드라마 촬영장은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을 촬영하기 위해 2000년 안동시가 대지 제공과 함께 토목 공사·기반 시설·조경 등을 맡고 KBS가 촬영 세트장 공사를 맡아, 10년 동안 촬영장으로 사용한 후 안동시에 기부 체납하는 조건으로 조성되었다. 약 39,600㎡의 터에 동헌·내아·행랑채·질청·외삼문·내삼문·감옥 등을 갖춘 관아...
-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에 있는 KT&G의 안동 지역 지점. KT&G 안동지점은 KT&G에서 제조한 담배와 식·음료품의 판매를 위해 설립되었다. 1989년 4월 1일 한국담배인삼공사가 창립하면서 한국담배인삼공사 안동지점도 개소하였다. 1997년 7월 이전에 있었던 안동원료공장은 폐쇄되었다. 2002년 12월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주식회사 KT&G로 변경되면서 한국담배인삼공사 안동지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