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대도둠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457
영어의미역 A Kind of Song of Funeral Processio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집필자 편해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장례의식요
기능구분 장례의식요
형식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조차기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장례의식요 중의 하나.

[개설]

「대도둠 소리」는 상여 나가기 전날 밤에 상가 집에서 하는 일종의 장례놀이 노래이다. 출상 전날 상여를 꾸며서 주검을 싣지 않은 채 상두꾼들이 빈 상여를 메고 「상여 소리」를 하면서 여러 가지 놀이를 하므로 ‘빈상여놀이’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댓떨이’, ‘상여 흘리기’, ‘생여걸음’ 등으로도 부른다.

[채록/수집상황]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2년 7월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조차기(남, 76)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앞소리꾼과 상두꾼이 주고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상여가 나가기 전에 상두꾼을 점검하고 상여 멜 자리를 확인하며 발을 맞추어 보기 위해 이 놀이를 한다고 하나, 사실은 출상을 앞두고 상가의 음울한 분위기를 밝게 전환시키고자 하는 뜻이 있다. 따라서 상주나 사위를 상여에 태워 놀리며 술과 음식을 뜯어내는 등 여러 가지 잡희를 하기도 한다. 빈상여놀이는 마치 동채 놀리듯 한다고 할 정도로 장난이 심하다.

[내용]

(앞소리꾼이 상두꾼들에게 하는 말)

자 여보시게들!/ 우리 모두 목을 축였으니 우리 할 일은 우리가 해야 되고/ 자 어서 모입시다./ 줄 다 골랐지요?/ (상두꾼)예!/ 해 보시데이!

(상두꾼이 상여를 메고 서서 길을 떠나기 전에 메기는 소리)

에헤~/ 나도 생각하니 원통하고 애통하고 슬프고도 슬프구나/ 이내 인생 일장춘몽인데 그다지도 에~ 헤헤 왜 죽었는고/ 아~ 헤~ 오~ 에헤헤~ 헤~/ 간다간다 나는 간다 대궐 같은 요 내 집을 원앙같이 비워놓고/ 염라대왕 호출 당해 북망산천 나는 간데이/ 아~ 헤~ 오~ 에헤헤~ 헤~.

(상두꾼들이 상여를 메고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메기는 앞소리)

아~ 에~ 오~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인제 가면 언제 오나/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요/헤 헤이 넘차 호오오/ 수지조종은 황하수라/ 헤 헤이 넘차 호오오/ 곤륜산에 정기 받아/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백두산이 어떻길래/ 헤 헤이 넘차 호오오/ 경상도라 태백산에/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안동이라 영남산에/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북으로는 학가산이요/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남으로는 낙동강이라/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낙동강 칠백리는/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좌우산천 둘러보니/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산도 곱고 물도 맑고/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동남으로 바라보니/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문전옥답 좋을시고/ 헤 헤이 넘차 호오오/ 당대 발복이 완연하데이/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서남으로 바라보니/ 헤 헤이 넘차 호오오/ 건너봉이 병풍같고/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어화둥둥 좋을시고/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서남으로 바라보니/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우뚝하게 솟을봉이/ 헤 헤이 넘차 호오오/ 효자 충신 완연하데이/ 헤 헤이 넘차 호오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대도둠은 아무 때나 하는 것이 아니라 호상(好喪)일 때만 한다. 이를테면 부모가 천수를 다 누리고 순조롭게 운명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상주들이 풍족한 살림을 할 때 상주가 원하거나 이웃 사람들이 권해서 실행한다. 어떤 사람들은 상주가 자기 가세를 자랑하려고 이 놀이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대도둠은 지금 현재 거의 사라진 상례이므로 「대도둠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사라져 가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