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598
한자 李頤淳
영어음역 Yi Isun
이칭/별칭 치양(穉養),비언(斐彦),후계(後溪),만와(晩窩),긍재(兢齋),육우당(六友堂),육우헌(六友軒),기은(杞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만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754년(영조 30)연표보기
몰년 1832년(순조 32)연표보기
본관 진성
대표관직 은진현감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진성(眞城). 초자는 비언(斐彦), 자는 치양(穉養), 호는 후계(後溪)·만와(晩窩)·긍재(兢齋)·육우당(六友堂)·육우헌(六友軒)·기은(杞隱).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이구몽(李龜蒙), 어머니는 김택동(金宅東)의 딸, 처는 이한우(李漢佑)의 딸이다. 6남 2녀 가운데 차남으로 6형제 중 유일하게 현감 벼슬을 했으며, 형제 중 문장이 가장 뛰어났다.

[활동사항]

이이순은 경상도 안동부 예안현 계상(溪上, 현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서 태어났다. 8세 때 팔촌형 이세윤(李世胤)으로부터 『소학(小學)』을 배웠다. 1779년(정조 3) 생원시에 합격했고 이듬해 태학에 들어갔다. 1786년 만촌(晩村)으로 이사해 그 집을 만와(晩窩)라 부르고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1790년 모친상을 당해 옛집으로 돌아와 후학들을 가르쳤다.

1799년 효릉참봉에 제수되었고 1802년(순조 2) 선공감봉사에 올라 창덕궁 대조전(昌德宮大造殿)을 수리하였다. 일이 끝나자 군자감직장이 되고 그 해 가을에는 의금부도사가 되었다. 1805년 군자감주부가 되어 재정을 윤택하게 관리하였다.

이듬해인 1806년 은진현감이 되어 단옥(斷獄)을 공평히 하고 상벌을 엄격히 하였다. 그러나 죽림서원(竹林書院) 유생 가운데 군역을 기피하던 많은 양민 장정을 정리하려다가 감영의 힘을 빌려 이를 저지하던 유생들과 충돌을 빚어 그 해 겨울 부임 9개월 만에 물러났다.

1811년 가을 후계서당(後溪書堂)을 짓고 예서(禮書)에 잠심하였다. 이 무렵 가문의 대소사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개진하고 후세손에게 규범을 주고자 「무첨가(無忝歌)」를 지었다. 또 이황의 문집을 교검(校檢)하여 개간하였으며, 몽재(蒙齋) 이안도(李安道), 청벽(淸壁) 이수연(李守淵), 만호(晩湖) 이세정(李世靖) 등의 유문을 수습해 『계산세고(溪山世稿)』 3책을 만들었다. 이이순은 음양서와 농공 기술에도 두루 통달했으며 평소 절약하는 생활을 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후계집(後溪集)』 10권 6책이 있으며, 문집 중에는 「화왕전(花王傳)」과 「일락정기(一樂亭記)」가 포함되어 있다.

[묘소]

묘소는 안동부 봉화현(奉化縣) 탄당촌(炭堂村)에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6.13 오탈자 수정 은율현감 -> 은진현감
이용자 의견
권** 대표관직
"대표관직 은율현감"에서 "은율"은 "은진(恩津)"이 아닌지요?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오탈자를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9.06.13
오** 생몰연대가 빠져있습니다. 참고해주시길.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생몰연대는 상세정보를 펼치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03.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