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묵계 동신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321
한자 黙溪洞神堂
영어의미역 Mukgye God Shrine
이칭/별칭 묵계 서낭당,묵계 처녀당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유적
관련인물 고성이씨 처녀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동제당.

[개설]

묵계 동신당은 길안면 묵계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무병을 빌기 위하여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묵계 서낭당’·‘묵계 처녀당’이라고도 일컬어진다. 묵계의 소지명으로 ‘서낭댕이’가 있다. 서낭댕이란 말은 성황당(동신당)이 있는 마을이란 뜻과 기지(基地)가 절묘하여 신선(神仙)의 터란 의미에서 선항당(仙巷塘)이라 했다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날이면 묵계 동제당에서 고사를 지낸다. 이 당에는 애틋한 사연이 전해져 온다.

지금부터 800여 년 전 마을을 개촌할 당시에 고성이씨 처녀와 흥해배씨 총각이 서로 사모하는 사이였으나 부모의 반대로 사랑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처녀는 그만 자결하였다. 이 처녀가 죽은 후부터 마을에 불상사가 많이 일어나 무당에게 물어보니 처녀의 원혼이 구천을 헤매고 있어 한을 풀어주어야 우환이 생기지 않을 거라 하였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이 처녀가 죽은 자리에 당집을 짓고 그 안에 돌을 깎아 처녀의 형상을 만들어 모시게 되었다.

이 처녀의 형상은 한국전쟁 때 공산당이 목을 쳐서 개천에 버린 것을 전쟁이 끝나고 나서 동민들이 다시 찾아 모셨는데 이때 머리는 찾지 못하여 몸 부분만 모셔두고 있다고 전한다. 현재는 마을 주민이 강가에서 주어온 돌을 머리에 얹어놓은 상태이다.

[위치]

안동김씨가 세거하는 묵계마을은 묵계서원안동김씨 묵계 종택이 있는 마을이다. 묵계 동신당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1521)의 종택 아래쪽 구릉에 위치해 있다.

[형태]

정면 1칸, 측면 1칸의 기와집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과 벽 사이에 홍살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알루미늄으로 된 울타리가 둘러쳐져 있다. 당 안에는 정면에 시멘트로 단을 만들어 그 위에 처녀의 형상을 다듬은 돌로 된 신체를 모셔두고 있다.

[의례]

정월 초이레에서 초열흘 사이에 제관 2명을 선정한다. 당고사 3일 전에 금줄을 치고 열 나흗날 새벽에 장을 본다. 제물을 준비해서 열 나흗날 밤 11시 30분경에 당에 올라가 불을 켜고 진설한다. 상차림이 끝나면 제관은 술잔에 감주를 따라 잔을 친다. 이후 재배하고 축문을 읽는다.

고축이 끝나고 다시 재배한 후 소지를 올린다. 소지올리기는 국가·경상북도·안동시·길안면 등 행정구역 단위 순으로 올린다. 그 후에 제관·동민·우마 순으로 소지를 올린다. 소지를 다 올리면 재배하고 철상한다. 제물을 조금씩 떼어 한지로 싸서 당에 두고 온다.

보름날 아침에 동민들은 제관집에서 모여 음복을 하고 동회관으로 가서 동회를 연다. 동회는 동장이 주관한다. 일 년간 마을의 기금을 결산하며, 마을의 대소사를 의논한다. 마을기금은 유사가 관리한다. 기금의 모금은 위토(6,612㎡)의 수익금과 마을구판장의 세를 받아서 조성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