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721 |
---|---|
한자 | 李鳳羲 |
영어음역 | Yi Bonghui |
이칭/별칭 | 이계동(李啓東),이상훈(李相勳),이상희(李相熙),이경식(李京植),이기동(李基東),덕초(德初),척서(尺西)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류현정 |
성격 | 독립운동가 |
---|---|
출신지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 |
성별 | 남 |
생년 | 1868년![]() |
몰년 | 1937년![]() |
본관 | 고성 |
대표경력 | 신흥학교 교장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고성(固城). 이계동(李啓東)·이상훈(李相勳)·이상희(李相熙)·이경식(李京植)·이기동(李基東) 등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자는 덕초(德初)이고, 호는 척서(尺西)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李相龍)의 동생이다. 1868년 지금의 안동시 법흥동에서 태어났으며, 1937년 향년 70세로 중국 흑룡강성에서 사망하였다.
1909년 4월 구국 계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형 이상룡과 함께 대한협회 안동지회를 설립하여 민중들의 독립 의식을 고취하는 데 노력하였다. 1911년 이상룡을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고향인 안동을 떠나 만주로 망명하였다. 이후 이봉희는 안동을 비롯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 사람들이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만주에서는 농업과 민족교육 장려를 위한 독립운동 단체인 경학사(耕學社)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신흥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독립운동가 양성에 주력하였다. 1919년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1920년 광복단(光復團) 서간도 지역 외교원으로 임명되어 중국 정부와의 교섭을 통해 한인들의 농토 개척권을 허가받는 등 동포들의 생활 기반을 안정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이후 사회주의운동에 가담하여 만주에 거주하는 한인 사회주의자들을 중국공산당에 가입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