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601 |
---|---|
한자 | 金鎭懿 |
영어음역 | Gim Jinui |
이칭/별칭 | 미경(美卿),학운(鶴雲)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
집필자 | 한준호 |
성격 | 의병 |
---|---|
출신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 |
성별 | 남 |
생년 | 1855년![]() |
몰년 | 1930년![]() |
본관 | 의성 |
대표경력 | 안동의진 척후장 |
조선 말기 안동 출신의 의병.
김진의는 본관이 의성(義城)으로 1855년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미경(美卿), 호는 학운(鶴雲)이다. 1930년 사망하였으며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 산23-1번지 국립대전현충원의 애국지사 묘역에 있다.
김진의는 1882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승지를 역임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 등으로 전국에서 의병 항쟁이 펼쳐지자 안동의진(安東義陳)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특히 일직면 귀미리 출신인 김도화(金道和)를 의병장으로 추대하여 안동의진을 정비할 때 류창식(柳昌植)·권철연(權徹淵) 등과 함께 간부를 선임하는 일을 맡았다.
김도화가 의병장으로 추대된 뒤 김진의는 제2차 안동의진의 척후장을 맡아 적극적으로 활동하다가 북후면 옹천 전투에서 패한 뒤 피신하였다. 그러나 서후면 금계리 의성김씨 학봉 종택에서 포장 김회락(金繪洛)과 함께 일본군과 관군에게 체포되었으며, 김진의는 1896년 7월 22일 새벽 안동부로 끌려가 옥고를 치렀다.
2004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