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326 |
---|---|
한자 | 金鎭衡 |
영어음역 | Gim Jinhyeong |
이칭/별칭 | 덕추(德錘),겸와(謙窩),청사(晴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황만기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추(德錘), 호는 겸와(謙窩)·청사(晴蓑). 아버지는 김종수(金宗壽)이다. 현재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김진형의 고택인 겸와재(謙窩齋)가 남아 있다.
김진형(金鎭衡, 1801~1865)은 1850년(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53년(철종 4) 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 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홍문관수찬 남종순(南鍾順)에게 몰려 명천(明川)으로 유배되었다가 두 달 뒤에 풀려났다. 1856년(철종 7) 문과중시에 다시 급제하였다. 1864년(고종 1) 시정의 폐단을 상소하였는데, 조대비(趙大妃)의 비위에 거슬린 구절이 있어 전라도 고금도에 유배되었다가 배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유고를 모은 미간행본 『청사유고(晴蓑遺稿)』를 5세손인 김태현(金台鉉)이 소장하고 있다. 유배길에 올랐다가 방면되어 귀환하기까지의 기록을 담은 한문 일기 『북천록(北遷錄)』이 있으며, 가사 「북천가(北遷歌)」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묘소는 안동시 서후면 계곡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