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250
한자 琴詩述
영어음역 Geum Sisul
이칭/별칭 계문(繼聞),매촌(梅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만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783년(정조 7)연표보기
몰년 1851년(철종 2)연표보기
본관 봉화
대표관직 성균관전적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계문(繼聞), 호는 매촌(梅村). 아버지는 금여옥(琴汝玉), 어머니는 예안김씨(禮安金氏)로 김홍명(金弘命)의 딸이다.

[활동사항]

금시술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는 후계(後溪) 이이순(李頤淳)에게 수학하다가, 관례를 치르고는 면암(俛庵) 이우(李㙖)에게는 『중용(中庸)』을 수업받았으며, 광뢰(光瀨) 이야순(李野淳)에게는 의심나는 것을 묻기도 하였다. 중년 이후로는 『논어(論語)』에 잠심하기도 하였다.

1844년(헌종 10)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감찰과 성균관전적에 제수되고, 1845년 사헌부감찰에 다시 제수되었다. 1848년에 사헌부지평에 제수되고 1851년(철종 2) 사간원정언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치 않다가 그해 10월에 죽었다. 금시술은 평소 지조가 곧고 성품이 고결하며 문장에 능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매촌집(梅村集)』 6권 3책이 있다. 문집 중 시는 문사(文辭)가 평이하면서도 내용이 심오하고 도덕적 교훈을 주제로 한 것이 많다. 소(疏)는 사림을 대표하여 지은 것인데 김령을 서원에 향사하게 해줄 것,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시(賜諡)를 청한 것 등으로 해당 인물의 행적, 이력, 도학연원(道學淵源) 등을 소상하게 진술하고 있다.

편지글 중 이중문(李仲聞)에게 답한 서한은 사단칠정(四端七情)을 논한 것으로 선유(先儒)들의 학설을 절충하여 이기이원(理氣二元)의 측면에서 논설하였다. 잡저에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심통성정중도(心統性情中圖)」를 구도(舊圖)와 비교하여 당시 개정된 부분을 세밀하게 해설한 것이 있으며 또 「기삼백산법도설(朞三百筭法圖說)」은 선유(先儒)들의 산법(算法)을 참고하여 천체의 운행(運行) 도수를 계산한 뒤 나름대로 도표를 만들고 알기 쉽게 풀어놓은 것이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면화산(綿花山)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