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040 |
---|---|
한자 | 文峯集 |
영어음역 | Munbongjip |
영어의미역 | Munbongjip Anthology |
이칭/별칭 | 『문봉선생문집(文峯先生文集)』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황만기 |
성격 | 문집 |
---|---|
관련인물 | 정유일(鄭惟一, 1533~1576)|권사협(權思浹)|김희분(金熙奮) |
저자 | 정유일(鄭惟一, 1533~1576) |
간행자 | 권사협(權思浹)|김희분(金熙奮) |
간행연도/일시 | 1799년 |
권수 | 6권 |
책수 | 3책 |
사용활자 | 목판본 |
가로 | 17.6㎝ |
세로 | 22㎝ |
표제 | 文峯先生文集 |
소장처 | 안동대학교 도서관 |
소장처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88[경동로 1375] |
[정의]
1799년에 간행된 안동 출신 정유일의 시문집.
[편찬/발간경위]
1799년(정조 23) 권사협(權思浹)·김희분(金熙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본서의 저본은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6권 3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문봉선생문집(文峯先生文集)이다. 행자(行字)는 10행 20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17.6㎝, 세로 22이다. 어미는 상하이엽화문어미(上下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권두에 조술도(趙述道)의 서문, 권말에 김진동(金鎭東)의 지(識)가 있다. 권1·2에 시 286수, 권3·4에 경연강의(經筵講義) 1편, 서(書) 8편, 잡저·제문 각 1편, 권5에 한중필록(閑中筆錄) 1편, 권6은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표·상향축문(常享祝文) 각 1편, 상량문·제문 각 2편, 만사 4편, 도망편(悼亡篇)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학문과 수행에 대한 감회와 정치적 소망을 표현한 작품이 많다. 「술회상퇴계선생(述懷上退溪先生)」·「견월천조사경서음정일률(見月川趙士敬書吟呈一律)」·「성주득현신송(聖主得賢臣頌)」 등이 대표적이다. 서(書)는 「상퇴계선생문목(上退溪先生問目)」을 비롯해 모든 편지가 유교 경전과 성리학(性理學)에 관한 내용을 질의, 토론한 것이다. 잡저의 「퇴계선생언행통술(退溪先生言行通述)」은 이황(李滉)의 언행과 도학을 기록한 것이다.
「한중필록」에는 세종·성종·중종·장경왕후(章敬王后)·인종 등의 약사(略事)와 당시의 명사인 서경덕(徐敬德)·김안국(金安國)·주세붕(周世鵬)·이언적(李彦迪)·유운(柳雲)·이자(李耔)·권벌(權橃)·기준(奇遵)·송인수(宋麟壽)·정렴(鄭𥖝)·홍인우(洪仁祐)·신잠(申潛)·이황·조식(曺植)·성수침(成守琛)·김인후(金麟厚)·이사균(李思鈞)·장옥(張玉)·채세영(蔡世英)·김시좌(金時佐)·오한민(吳漢民)·김정국(金正國)·이숙번(李叔蕃)·박전지(朴全之)·어변갑(魚變甲)·유호인(兪好仁)·박상(朴祥)·임희재(任熙載)·박영(朴英)·이원록(李元祿)·이준경(李浚慶)·정언각(鄭彦慤)·정막개(鄭莫介)·나식(羅湜)·이몽필(李夢弼)·신광한(申光漢)·남맹하(南孟廈)·김홍도(金弘度)·노수신(盧守愼) 등에 관한 약록(略錄)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기묘사화와 사노(私奴)인 연(年)에 대한 내용도 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