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0896 |
---|---|
한자 | 安東土溪洞溪南古宅 |
영어음역 | Andong Togyedong Gyenamgotaek |
영어의미역 | Gyenam Old House in Togye-dong, Andong |
이칭/별칭 | 계남댁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500-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진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3년 8월 31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안동토계동계남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
성격 | 고가 |
양식 | 홑처마 팔작지붕 |
건립시기/일시 | 19세기 |
정면칸수 | 7칸 |
측면칸수 | 7칸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500-2
![]() |
소유자 | 이원강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은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8세손 이귀용이 마을에 터를 잡고 지은 종가로, 건축 연대는 미상이나 양식으로 보아 1800년대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이 하계(下溪)의 남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계남댁(溪南宅)’이라고도 부른다.
본디 사랑 마당 끝에‘ㄱ’자형의 행랑채가 몸채를 감싸듯 배치되어 있었는데 6·25전쟁 직전 소실되었다고 한다.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은 도산면 토계동에 있다가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기에 이르러 1975년 현 위치인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로 이건하였다.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의 몸채는 정면 7칸, 측면 7칸의 완전한 ‘ㅁ’자형이다. 맨 앞쪽 채에 집으로 들어가는 중문간(中門間)이 좌측에서 세 번째 칸에 나 있고, 그 우측으로 사랑 공간이 연이어져 있다. 사랑 공간은 2칸통 사랑방과 1칸 사랑 마루방을 가로로 길게 놓고, 그 앞뒤에 툇간을 두어 우익사(右翼舍) 쪽으로 작은 사랑 공간을 배열하였다. 중문간에 들어서면 안마당 너머 전면에 툇마루를 둔 안방과 안대청이 마당 폭을 가득 메우고 있다.
안방 좌측에는 안방 부엌과 아랫방 등이, 안대청 우측에는 건넌방과 통래간 등이 앞으로 뻗어 각기 좌익사(左翼舍)·우익사를 이루고 있다. 즉 2~3대 대가족의 큰살림이 가능하도록 큰 사랑과 작은 사랑을 따로 두고, 아랫방에 별도의 부엌을 시설한 합리적인 평면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건물의 구조 양식은 자연석쌓기를 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간략한 민도리 형식으로 가구하여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얹었다.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은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이건하기 전에는 사대부가의 구색을 제대로 갖춘 큰 집이었으나 현재는 몸채만 남아 있다.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이원강이다.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은 안동 지방의 일반적인 주택 형식을 잘 간직하고 있는 한옥 건축물로서 의의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주택의 격식이 거주하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제한되었는데, 안동토계동계남고택을 보면 주택의 규모뿐 아니라 건물의 장식과 세부 구조에도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