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0858 |
---|---|
한자 | 安東大寺洞模塼石塔 |
영어음역 | Andong Daesadong Mojeonseoktap |
영어의미역 | Imitation Brick Stone Pagoda in Daesa-dong, Andong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 산145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정진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5년 8월 5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안동대사동모전석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탑|석탑 |
양식 | 모전석탑 |
건립시기/연도 | 통일신라시대 |
재질 | 석재 |
높이 | 460㎝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 산145
![]() |
소유자 | 권기백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모전석탑.
안동시 길안면 대사리의 이름 없는 절터에서 발견된 탑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이다.
대사1리 입구의 낙동강 지류를 건너면 고갯길이 나오는데, 이 강을 건너 고갯길을 넘으면 대사리가 보인다. 탑은 고개 동쪽에 돌출한 해발 380m의 천지갑산(天地甲山) 중턱 자연석 위에 있다.
자연석인 바닥돌 위에 기단(基壇)과 탑신(塔身)을 쌓아 올린 형식이며, 탑신의 1층 이상은 무너져 내려 정확한 탑의 규모를 알 수 없다.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탑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기단부 높이 60㎝, 너비 120㎝이고, 초층 몸체[옥신]는 높이 50㎝, 너비 50㎝, 초층 지붕돌[옥개석]은 높이 60㎝, 너비 160㎝이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