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0702 |
---|---|
한자 | 安東后山精舍 |
영어음역 | Husan Jeongsa |
영어의미역 | Academy of Husan Ching-she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 300[현마을길 28-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진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1년 6월 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안동 후산정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정사 |
건립시기/일시 | 조선 후기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1.5칸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 300[현마을길 28-5]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2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안동 후산정사는 진성이씨 일직파 이종수(李宗洙, 1722~1797)가 건립한 정사이다. 이종수는 안동부 일직현에서 처사 이덕삼(李德三)과 의성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종수는 평생을 향리에서 학문 생활로 일관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국도 5호선을 따라 의성 방향으로 13㎞ 정도 가면 중앙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진입 도로가 나오는데, 진입 도로를 따라 약 2㎞ 정도 가면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가 나온다. 안동 후산정사는 송리2리 산 중턱에서 남쪽을 바라보며 앉아 있다.
2001년 사당을 새로 짓고 후안정사 곳곳을 보수하였다. 2011년 6월 2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후안정사는 정면 3칸, 측면 1.5칸 규모의 건물이다. 온돌방은 각 1칸씩 3칸이고, 누마루는 우물마루이며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온돌방은 앞문이 사분합문이고 뒷문은 쌍띠살문이다. 좌우 온돌방의 문은 정면이 쌍띠살문이고 옆면은 띠살문이다. 누마루 좌우에도 쌍판문이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