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 외내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간재 종택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宣祖)를 호종(護從)한 공로로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던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 1541~1596)의 종가이다. 이덕홍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굉중(宏仲), 호는 간재이다. 습독(習讀) 이현우(李賢佑)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이다. 임진왜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갈계정은 조선 후기 갈계(葛溪) 김도(金燾, 1602~1686)가 건립한 정자이다. 김도는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손자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자인(子仁), 호는 갈계이다. 갈라곡에 정자를 지어 스스로 즐겼으며, 시에 능하고 글씨에도 뛰어났다. 수직으로 부호군을 역임하였으며 당대의 명류인 학사(鶴沙)·표은(瓢隱)·야암...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조선 후기 김진형(金鎭衡, 1801~1865)이 건립한 겸와재(謙窩齋)는 초산댁(楚山宅)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겸와재의 주인이었던 김진형이 초산도호부사(楚山都護府使)를 지냈던 데서 비롯된 것이다. 김진형의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추(德錘), 호는 겸와(謙窩)·청사(晴簑)이다.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사간원정언(司諫院...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겸재는 조석붕(趙錫朋, 1585~1657)이 삼촌인 조정(趙禎, 1551~1633)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정자의 이름인 ‘겸재’는 조정의 아호인데, 『역경(易經)』의 64괘(卦) 가운데 지산겸(地山謙) 괘에서 그 의미를 취하였다고 한다. 지산겸은 겸손하고 덕이 있는 군자의 도리를 나타낸 괘이다. 조석붕은 조선 중기의...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경당 고택은 조선 중기 학자인 장흥효(張興孝, 1564~1633)의 종택으로, 장흥효의 호가 경당(敬堂)이다.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학문을 계승한 조선 중기의 학자로 문명이 높고 덕행이 뛰어났다. 저서에 『경당집(敬堂集)』이 있다. 서후면사무소 삼거리에서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명리로 가는 길을 따라 100m 정...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고계산방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휘령(李彙寧, 1788~1862)이 거처하였던 곳으로, 예안읍지인 『선성읍지(宣城邑誌)』의 누정조를 보면 고계정(古溪亭)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휘령의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군목(君睦), 호는 고계(古溪)이다. 1816년(순조 16) 생원에 급제하여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곡강정은 조선 후기에 건립한 정자로, 명칭은 이호(李瑚)의 호인 곡강(曲江)에서 따온 것이다. 이호의 할아버지는 예안이씨 안동 입향조인 이전(李荃)이고, 아버지는 이유인(李惟仁)이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예천 방면으로 국도 34호선을 따라 안동시 풍산읍 쪽으로 가면 풍산초등학교가 나오는데, 풍산초등학교 앞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야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광산김씨 긍구당 고택은 광산김씨 담안공파인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 1520~1588)가 말년에 살았던 가옥이다. 김언기는 가야서당(佳野書堂)을 열어서 수많은 제자를 길러 냈다. 당호인 긍구당(肯構堂)은 김언기의 4세손인 김세환(金世煥, 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긍구당에서 ‘긍구(肯構)’는 『서...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 있는 정자. 괴애정사(乖厓精舍)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괴애(乖厓) 류지(柳榰)의 정자이다. 류지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중오(重吾), 호는 괴애(乖厓)이다. 종형(從兄)인 백졸암 류직(柳㮨)에게 수학하였으며 1646년(인조 24) 생원시에 합격하고 1654년(효종 5) 식년문과에서 장원 급제하였다. 벼슬은 상주교수(尙州敎授)를 시작으로 전적...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괴와 고택은 현재 소유자인 김시일의 8대 조부인 김점운(金漸運, 1782~1853)이 약 200년 전에 지은 집이라고 전한다. 김점운의 본관은 의성이며 호는 괴와로, 운암(雲巖) 선생의 8세손이다. 김점운은 어린 시절부터 총명했으며, 족조(族祖)인 우고(雨皐) 김도행(金道行)에게 학문을 배웠다.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귀암정사는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터전을 잡은 김근(金近, 1579~1656)의 위패를 봉안한 곳이다. 김근의 본관은 의성, 자는 성지(性之), 호는 오우당(五友堂)이다.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김안계(金安繼)의 아들이다. 1623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과거를 폐하였다가 주위의 권유로 다시 시작하여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수암(...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금학당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인 이립(李苙, 1571~1616)이 머물렀던 정자로, 당(堂)의 이름을 ‘금학(琴鶴)’이라 하였다. 이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영천(永川)이며, 자는 형원(馨遠), 호는 금학당(琴鶴堂)이다. 역학(易學)과 산학(算學)에 정통했던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한강 정...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전통 가옥. 긍구당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종가 사당 아래에 위치한 별당이다. ‘긍구당(肯構堂)’이란 당호는 『서경(書經)』의 대고편(大誥篇)에서 그 의미를 취한 것으로 ‘조상들이 이루어 놓은 훌륭한 업적을 소홀히 하지 말고 길이길이 이어받으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현보가 88세 때 지은 것으로 「원석...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단호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낙암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인 배환(裵桓, 1379~?)의 정자이다. 배환은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서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조용(趙庸)의 문인으로 1401년(태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사헌부감찰·병조좌랑·봉화현감·공조좌랑·형조좌랑을 거쳐 1420년(세종 2) 정랑에 올랐다. 1432...
-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외하리에 있는 정자. 남갈정은 남갈(覽葛) 손일(孫逸, 1681~1743)을 기리기 위한 정자이다. 손일의 자는 충언(忠彦), 호는 남갈이다. 손연수(孫延壽)의 손자이며 손시운(孫時運)의 아들이다. 손일은 영조(英祖, 1694~1776) 때 특명으로 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저서로 『남갈정실기(覽葛亭實記)』 1책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의 안산인 갈라산(葛蘿山)...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남편구거는 현재 소유자인 이필구(李必久)의 집안이 5대에 걸쳐 거주하던 가옥으로 이만형(李晩瀅, 1825~?)의 구택이다. 건축 당시 집주인인 이만형이 홍문관교리를 지냈기 때문에 교리댁(校理宅)이라고도 하였다. 이만형의 옛집이므로 그의 호를 따서 남편구거(南片舊居)라고 부른다. 이만형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성(眞城),...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자. 니산정은 척암(拓庵) 김도화(金道和, 1825~1912)를 기리기 위한 정자이다. 김도화는 류치명(柳致明)의 문인으로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곽종석(郭鍾錫)·김흥락(金興洛)·권진연(權晋淵) 등과 함께 의거하여 일제의 침략 야욕을 분쇄하자는 통문을 각지에 보내고, 1896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동호정은 변영청(邊永淸, 1516~1580)이 건립한 정자이다. 변영청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개백(開伯), 호는 동호(東湖)이다. 변영(邊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변희예(邊希乂)이고, 부친은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변광(邊廣)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46(명종 1)에 진사가 되었고,...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두릉 구택은 동래정씨(東萊鄭氏) 석문공파(石門公派)의 지손(支孫)인 정원달(鄭源澾, 1853~1924)이 지은 집이다. 정원달은 본관이 동래(東萊), 호는 두릉(杜陵)으로 ‘현골 정부자(鄭富者)’라고 불릴 만큼 재산이 많았다고 한다. 두릉 구택이 있는 터는 길안현(吉安縣)의 관아가 있던 자리라고 알려져 있는데 예로부터 이...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사. 둔번초당은 의성김씨 3대 입향조 김을방(金乙邦)의 아들인 김축(金軸)의 묘를 수호하고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사이다. 김을방의 호가 둔번(遁煩)이다. 김을방은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고려가 망하자 향리 예안으로 물러나 요성산(邀聖山) 아래 집을 지어 '둔번초당(遁煩草堂)'이라 이름하고 이로써 호를 삼았다고 한...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만포택은 이익호(李翊鎬, 1832~1885)의 가옥이다. 이익호는 본관이 진성(眞城)이며, 자는 여명(汝明), 호는 만포(晩圃)이다. 그의 아호를 따서 택호를 만포택이라 하였다. 퇴계 이황의 후손으로 부친은 이중극(李中極)이다. 이익호는 과거에는 응하지 않았으나 학문이 깊었다. 시문(詩文)에 능해 문집 『만포집(晩圃集)』...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자. 모계정사는 조선 말기 김홍락(金鴻洛, 1863~1943)이 건립한 정자로, 명칭은 김홍락의 아호에서 비롯되었다. 김홍락의 자(字)는 우경(羽卿), 호는 모계(某溪)이다. 1884년(고종 21) 동당시(東堂試)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1894년(고종 31) 문과 전시(殿試)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906년(고종 43)...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목암정은 조선 후기 목암(牧庵) 김정기(金鼎基, 1632~1708)가 건립한 정자이다. 김정기의 아호인 목암은 『주역(周易)』의 ‘지극히 겸손한 군자는 낮음으로써 자처한다(謙謙君子卑以自牧也)’에서 그 의미를 따왔다. 김정기의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의 현손이고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증손이며, 개...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목재 고택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목재(穆齋) 이만유(李晩由)의 옛집으로, 그가 영해부사를 역임하였기에 택호를 ‘영감댁(令監宅)’이라 하였다. 이만유의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도여(道汝)이다. 이황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휘명(李彙明)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疏頭) 이만손(李晩孫)의 친족이다. 1858년(철종 9) 전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묵재 고택 관련 인물인 김종윤(金宗胤)은 자가 찬선(纘先)이고 호가 묵재(默齋)이며, 본관은 안동이다.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의 사손(嗣孫)이다. 사마시에 합격하여 벼슬은 봉사(奉事)를 지냈으며, 문학과 행실이 뛰어났다. 대제학 김학진(金鶴鎭)이 묘명을 지었다. 묵재 고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21번...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반구정(伴鷗亭)은 안동 임청각(安東臨淸閣)을 지은 이명(李洺)의 여섯째 아들 이굉(李肱)이 건립한 정자이다. 이굉은 자가 계임(季任), 호가 반구옹(伴鷗翁)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예빈시별제(禮賓寺別提)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이후 안동부(安東府)의 남쪽 낙동강 건너편에 반구정을 짓고 자적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경상북도 안동에서 청송 방면의 국도를 따라 8㎞ 정도 가면 왼쪽에 안동대학교가 나오고, 계속 국도를 따라 6㎞ 가면 11번 시내버스 종점이 나타난다. 시내버스 종점을 지나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마을회관이 보이고 조금 더 가면 작은 다리가 나오는데, 좌측으로 난 도로를 따라 200m 정도 가면 백인재 고택을 찾을 수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안동역에서 법흥동 고가 도로 아래로 난 지하도를 따라 안동민속박물관으로 가는 길로 접어들면 길 한가운데에 늙은 회나무가 밑동만 남은 채 서 있는데, 회나무를 지나 100m 정도 가다 보면 안동댐 보조댐에 못 미쳐 왼쪽으로 중앙선의 굴다리가 보인다. 굴다리를 따라 왼쪽으로 돌면 국보 제16호인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과 뒤편에 법흥동 고성...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사은구장은 조선 정조~순조 때의 문신인 사은(仕隱) 이귀운(李龜雲, 1744~1823)의 집으로, 아호를 따라서 사은구장(仕隱舊庄)이라 부른다. 이귀운은 벼슬길에 있을 때 의리와 신의로써 나라의 기강을 바로 잡았으며,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지조를 지켰다. 이귀운은 또한 이름을 드러내기를 좋아하지 아니하여 벼슬길에서 숨는다...
-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사. 산천정사는 1939년 산천(山泉) 이적(李適, 1566~?)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하였다. 이적의 아호를 따 산천정사(山泉精舍)라 이름 짓고, 아래 정사에 딸린 재사를 건립하였다. 이적의 본관은 고성(固城)이며 탑동파 파조이다. 유일재(唯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진중에서 활동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삼소재는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일명 상락김씨(上洛金氏) 중시조 김방경(金方慶)의 17세손 김용추(金用秋, 1651~1711)가 지은 집이다. 김용추는 선안동김씨 소산 입향조인 김언준(金彦濬)의 7대 종손으로서, 갈암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당호는 김용추의 5세손인 김영락(金英洛, 1796~1875)의 호를 딴 것...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명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자. 안동에서 국도 5호선을 따라 의성 방향으로 19㎞쯤 가면 안동시와 의성군의 경계를 이루는 미천(眉川)이 나오고 다리가 있다. 이 다리를 지나기 직전에 미천의 제방을 따라 명진 가는 길로 우회전하여 들어가면 상현정이 보인다. 상현정은 조선 중기 귀촌(龜村) 류경심(柳景深, 1516~1571), 성남(星南) 장문보(張文輔), 귀봉...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석고 고택은 조선 후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지낸 석고(石皐) 류도휘(柳道彙)의 고택이다. 안채는 서향이고 사랑채는 정남향한 구조로, 류도휘의 호를 따서 석고 고택이라 부른다. 하회마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골목길을 따라가면 북촌댁과 남촌댁으로 갈라지는 갈림길을 만난다. 이곳에서 남쪽으로 난 골목길로 접어들면 골목 어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신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석포정은 석포(石浦) 김복수(金復壽, 1700~1798)가 고희에 이르러 건축하였는데,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을 양성하며 99세까지 장수를 누린 정자이다. 김복수는 이곳의 자연을 본 따 석포라 자호(自號)하고 정자를 지어 석포정이라 이름 붙였다. 김복수의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자는 중오(仲五)이다. 천품이 총명하고 학문을 즐...
-
경상북도 안동시 광산김씨 설월당공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전적 및 고문서. 설월당 종택 소장 전적 및 고문서는 광산김씨(光山金氏) 예안파(禮安派) 내 설월당공파(雪月堂公派)의 소장 전적 및 고문서이다. 설월당 김부륜은 퇴계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55년(명종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1572년(선조 5)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집경전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성남정은 순천장씨 장문보(張文輔, 1516~1566)의 옛 거주지에 그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정자이다. 성남정은 반누각식(半樓閣式) 정자로, 앞면에 30㎝ 가량 시멘트 기단(基壇) 위에 자연석(自然石) 주초(柱礎)를 놓았고, 4개의 누마루 기둥을 세웠다. 이 기둥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서 60㎝ 높이로 자연석...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성와 고택은 장경식(張景栻, 1845~1917)의 고택이다. 장경식의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경백(敬伯)이며 호는 성와(惺窩)이다. 퇴계학맥의 마지막 계승자로 알려진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다. 장경식은 행신이 올바르고 단정하며 학문이 높아 사우들이 감동을 하였기에 학통을 이어가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유고로...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손암정은 조선 중기 학자 김원(金遠, 1595~1621)의 유덕을 기리기 위한 정자로 정확한 건축 연대는 미상이다. 김원의 휘는 원(遠), 자는 홍지(弘之), 호는 손암(遜巖)이다. 본관은 의성이며, 고려태자첨사(高麗太子簷事)를 지낸 김용비(金龍庇)의 후손이다. 품성이 너그럽고 사물을 보는 데 뛰어난 통찰력을 지녔으며, 교학(...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전통 가옥. 송암 구택은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가옥이다. 가옥의 건립 연대는 정확이 알 수 없으며 가옥 내 사랑채 오른쪽에 1569년(선조 2)에 권호문이 건립한 관물당(觀物堂)이 있다. 관물당은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1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안동시에서 국도 34호선을 따라 예천 방면으로 4㎞ 정도 가다가 송야사거...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자. 송음정은 송음(松陰) 남용섭(南龍燮)을 추모하기 위해 사손(嗣孫) 남병욱(南炳頊)이 1899년(고종 36)에 건립하였다.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 마을 입구 개울가 옆에 있다. 예전에는 음지마을 산 중턱에 있었는데, 현재 위치로 이건했다고 한다. 송음정은 반누각식 정자로 남향이고, 앞 누마루 부분에는 땅 위에 바로 자연석 주초를...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수옥정은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과 사림들의 공의로 건립하였다. 이홍조는 본관은 한산(漢山)이고, 자는 여곽(汝廓), 호는 수은(睡隱)이다. 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해산(海山) 이문영(李文英), 어머니는 풍산류씨(豊山柳氏)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딸이다. 1636년(인조 14) 의병장으...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수은 종택은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입향조로 하는 수은공파(睡隱公派, 일명 안동소호리파)의 종택이다. 이홍조는 본관은 한산(漢山)이고, 자는 여곽(汝廓), 호는 수은(睡隱)이다. 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해산(海山) 이문영(李文英), 어머니는 풍산류씨(豊山柳氏)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딸이다. 1636...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및 재사. 수졸당(守拙堂)은 퇴계 이황(李滉)의 손자인 동암(東巖) 이영도(李詠道, 1559~1637)와 그의 아들 수졸당 이기(李岐, 1591~1654)의 종택이다. 수졸당은 이기의 아호이다. 재사는 이영도의 묘사를 지내는 곳인데, 이황 묘소가 건물 바로 뒤편 산에 있어 이황의 묘사 준비도 이곳에서 하고 있다. 이영도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시은당은 조선 후기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의 조부인 시은 이진(李珍)이 지은 정사이다. 이진은 시은당에서 수많은 제자를 가르쳤고, 이유장도 시은당에서 글을 배웠다. 건립 당시에는 바위를 갈고 닦는 것처럼 학문에 임해야 한다고 하여 마암정사(磨巖精舍)라고 부르다가 후에 이진의 호를 따 시은당이라 하였다. 시은당은 상리리 예...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국탄댁은 김시정(金始精, 1737~1805)의 가옥이다. 김시정은 본관이 의성이고, 호가 국탄(菊灘)이다. 조선 숙종(肅宗, 1661~1720) 때 대사간을 지낸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후손으로, 학문에 정진하여 높은 성과를 이루고 인근의 선비와 덕으로 교류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832번지[임하길...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귀봉 종택은 의성김씨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의 종택이다. 1660년(현종 1)에 김수일의 현손부인 창녕조씨가 가묘와 함께 건립하였으며, 1888년(고종 25)에 김주병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고샅이 열린 골목 끝에 있는 대문채를 들어서면 ‘口’자형의 정침이 있는데, 대문채와 정침 사이에는 넓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번남 고택은 순조 때 지어진 가옥으로 서울의 창덕궁(昌德宮)을 모방한 것이라고 한다. 번남(樊南)은 조선 후기 문신인 번엄(樊广) 이동순(李同淳, 1779~1860)의 아호이다. 이동순은 본관이 진성(眞城)이고, 자는 의경(義卿)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9세손이며, 참판(參判) 이귀천(李龜天)의 아들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삼벽당은 소유자의 7대조인 김상구(金相龜, 1743~1814)가 분가할 때 건립한 가옥이다. 당호는 김상구의 아들로 동몽교관(童蒙敎官)과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김종한(金鐘漢)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는 풍산김씨들이 500년 동안 세거해 온 동성 촌락으로서, 학가산의 지맥인 죽자봉을 뒤로 하고 검무산을 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소산동 동야 고택은 안동김씨 19세손인 김중안(金重安, 1639~1705)이 지었다고 하나 건축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동야(東埜)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이 이 집에서 태어나 수학하였다. 김양근의 본관은 안동으로,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만녕전별검(萬寧殿別檢), 전적(典籍), 병조낭관(兵曹郎官) 등을 지냈...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안동 소호헌은 조선 전기 문신 함재(涵齋) 서해(徐嶰, 1537~1559)가 서재로 쓰기 위해 지은 별당이다. 서해의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정지(挺之), 호는 함재(涵齋)이다. 장차 학문을 크게 이룰 것으로 사우(師友)와 향당(鄕黨)의 촉망을 받았으나, 1559년(명종 14) 2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영의정에 증직되었...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이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송소 종택은 송소(松巢) 권우(權宇, 1552~1590)의 집이라 전하지만, “숭정기원후사갑자신이월이십이일개기삼월초칠일입주동일상량조성(崇禎紀元後四甲子新二月二十二日開基三月初七日立柱同日上樑造成)”이라 기록되어 있는 안대청 서쪽 대들보의 상량기명에 의거하면, 1824년(순조 24) 개기되었으므로 권우의 종손 종택으로 보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예안이씨 충효당은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8~1594)이 1551년(명종 6)에 건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인 몸채와 ‘ㅡ’자형 별당인 쌍수당(雙修堂)으로 구성되었다. 쌍수당이란 당호는 충과 효를 한 집안에서 갖추었다는 뜻으로, 이홍인의 충과 그의 8세손 용눌재(慵訥齋)...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오류헌 고택은 숙종 때 대사성을 지낸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셋째 아들로 좌승지에 증직된 목와(木窩) 김원중(金遠重, 1658~1724)이 경상북도 안동군 임동면 지례동 천곡으로 분가할 때 지은 가옥으로 13대째 내려 살았다. ‘오류헌(五柳軒)’이라는 당호는 현 소유자 김원택의 증조부인 김정환(金庭煥, 182...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광산김씨 유일재 고택은 광산김씨 유일재 공파의 종택으로, 김언기(金彦璣, 1520~1588)의 9세손이 구입하였다. 김언기의 자는 중온(仲溫), 호는 유일재((惟一齋)이다.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 22)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을 후진 양성에만 힘썼다. 여강서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일성당 고택은 이성계(李成桂, 1335~1408)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안동 풍산에 낙향하였던 전농정(典農正) 이웅(李雄)의 후손인 이문한(李文漢, 1612~1704)의 가옥이다. 당호인 ‘일성(日省)’은 외당(外堂)에 독서실을 두고 이곳에서 하루하루를 반성한다는 뜻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과 누정. 안동 임청각은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 1368~1429)의 여섯째 아들 이증(李增, 1419~1480)이 건축한 조선 중기의 종택 건물과 이증의 셋째 아들 이명(李洺)이 중종 때 세운 별당형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해 임시 정부의 초대 국무령(國務領)을 지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수곡(水谷)은 경상북도 안동에서 동쪽으로 20㎞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마을로 우리말로는 ‘무실’이라고 한다. 수곡마을은 전주류씨(全州柳氏) 수곡파(水谷派) 일족이 누대를 번성해 온 500년 터전이었으나 1987년 임하댐이 축조됨에 따라 다른 여러 동리와 함께 수몰되어 일족들은 각처로 이주하게 되었다. 1987년을 전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죽헌 고택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독립운동가인 김가진(金嘉鎭, 1846~1922)의 가옥으로, 후에 참봉 죽헌(竹軒) 이현찬(李鉉贊)이 기거하였다. 김가진의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동농(東農)이다. 공조판서·농상공부대신(農商工部大臣)을 지내고 상해 임시 정부 요인으로 활약하였다. 이현찬의 본관은 진성(眞城), 호는 죽...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지례예술촌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지촌 종택은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의 가옥으로, 원래 지촌 종택이 있던 지례마을은 예로부터 도원향(桃園鄕)이라 불릴 만큼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이었다. 입향조는 조선 중기 때 대사헌을 지낸 김방걸로 도연(陶淵)에 은거한 아버지 표은(瓢隱) 김시온(金是榲)을 문안하러 자주 왕래하다가 도연 상류에 자리한 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은 진성이씨 주촌파(周村派) 종택이며, 불천위로 모셔진 이정(李禎)의 종택이다. 이정은 이황(李滉)의 증조부로, 세종 때 영변판관(寧邊判官)으로서 여진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영변진(寧邊鎭)을 쌓았으며, 선산도호부사를 지냈다. 진성이씨가 안동 풍산 마애(磨厓)에서 이곳 주하, 즉 주촌(周村)으로 옮겨...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광산김씨 예안 오천(烏川) 입향조인 김효로(金孝盧)의 둘째 아들 탁청정(濯淸亭) 김수(金綏, 1491~1555)의 정자이다. 당호는 김수의 호(號)에서 따왔고, 편액은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의 글씨로 전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산28-1번지 탁청정 종가 내에 있다. 원래는 산간의 계곡수가 서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안동 양진당은 160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의 종택이다. 류운룡은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입암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의 장자로서,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진보현감, 사복시첨정, 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겸암집(謙菴集)』...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충효당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종택으로, 후손과 문하생들이 류성룡의 유덕을 기리는 위하여 지었다. 당호를 ‘충효당(忠孝堂)’이라 한 이유는 류성룡이 평소에 자손들에게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라는 말을 자주 하였기에 이를 받들어 이름 지은 것이다. 류성룡은 임종할 무렵 시 한 수를 지었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사. 안동 하회마을 겸암정사는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이 학문 정진과 제자 양성을 위해서 지은 정사이다. 류운룡은 15세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에 힘썼으며, 이황이 향리인 도산에 서당을 열었을 때 제일 먼저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황 또한 류운룡의 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하회마을 양오당 고택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증손 류만하(柳萬河)가 충효당에서 분가할 때 지은 집이다. 후에 류만하의 아들 주일재(主一齋) 류후장(柳後章, 1650~1706)이 늘려 지었다고 하는데, 당호는 류후장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5번지에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의 동족 마을로 빼어난 자연 경관과 민속 전통·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그중 안동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은 보물 제 414호인 충효당(忠孝堂)과 함께 하회 남촌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조선 후기 형조좌랑을 지낸 류기영(柳驥榮, 1825~1880)의 가옥이다. 몸채가 안채와 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의 동족 마을로 빼어난 자연 경관과 민속 전통·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그 중 하회 북촌택은 보물 제306호인 안동 양진당과 함께 하회 북촌을 대표하는 규모가 큰 집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06번지[북촌길 7]에 있다. 안동 북촌 중심부의 넓은 터에 동향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학암 고택을 건립한 학암(鶴巖) 김중휴(金重休, 1797~1863)는 조선 중종 때 이조참판을 거쳐 삼도방백(三道方伯)을 지낸 청백리 김양진(金楊震, 1467~1535)의 12세손이다. 후일 김중휴가 제릉참봉(齊陵參奉)을 지내 참봉택이라 부르게 되었다. 안동 학암 고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248번지[구수...
-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향산 고택은 순국의사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옛 집이다. 이만도는 1866년(고종 3)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교리(校理)·응교(應敎)·야산군수 등을 지냈다. 1907년 자헌대부(資憲大夫)의 직첩이 내렸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10년 나라가 일제에 의해 병탄되자 유서를 써 놓고 24일간 단식하다가...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2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후산정사는 진성이씨 일직파 이종수(李宗洙, 1722~1797)가 건립한 정사이다. 이종수는 안동부 일직현에서 처사 이덕삼(李德三)과 의성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종수는 평생을 향리에서 학문 생활로 일관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국도 5호선을 따라 의성 방향으로 13㎞ 정도 가면 중앙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진입 도로가 나오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 광산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 안동 후조당 종택은 김부필(金富弼, 1516~1577)의 별당이다. 김부필은 김연(金緣)의 아들이며 탁청정(濯淸亭) 김수(金綏, 1491~1555)의 조카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성리학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였으나, 정계에는 뜻이 없어 관직을 사양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댁은 조선 후기 안동대도호부사를 지낸 류지영(柳芝榮, 1828~1896)이 건립하였다. 안동대도호부사를 지냈다 하여 당호를 안동댁이라 부른다. 류지영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중옹(仲翁), 호는 지산(芝山)이다. 1857년(철종 8)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3년(고종 20) 우승지에 대사간을 겸임하고 병조참의를...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안동 삼산정은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2~1761)이 1750년(영조 26)경에 지어 학문을 연마하고 후학을 가르치던 정자이다. 류정원은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홍문관수찬, 사간원교리 등을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영조의 총애와 채제공의 추천으로 장헌세자에게 강의하기도 하였다. 한편 지방관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생담정사는 의성김씨 입향조 김근(金近, 1579~1656)의 정사이다. 김근의 자는 성지(性之), 호는 오우당(五友堂)이다. 김용(金涌)의 문인으로 류진(柳袗)·정영방(鄭榮邦) 등과 교유하였으며, 1623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저서에 『오우당집(五友堂集)』과 『사금록(沙金錄)』이 있...
-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안동 원촌동 치암 고택은 1910년 나라가 일제에 의해 병탄되자 비분강개하다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난 치암(恥巖) 이만현(李晩鉉)의 옛 집이다. 이만현은 퇴계 이황(李滉)의 후손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를 거쳐 언양현감을 지냈다. 19세기 후반 건립된 안동 원촌동 치암 고택은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기에 이르러 1976년 4월...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전주류씨 삼산종택은 1750년(영조 26)경에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2~1761)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가옥이다. 류정원은 본관이 전주이고, 류석구(柳錫龜)의 아들이다. 1729년(영조 5) 생원시를 거쳐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성균관전적, 자인현감, 통천군수, 부교리, 동부승...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을 처음 건립한 김상목(金相穆)은 조선 후기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을 지냈으며, 후에 증축한 학남(鶴南) 김중우(金重佑, 1780~1849)는 조선 후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안동 풍산김씨 영감댁이라는 명칭은 김중우의 아들인 낙애(洛厓) 김두흠(金斗欽, 1804~1877)이 동부승지(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조선 중기 별당. 애일당(愛日堂)은 조선 중종 때 문신이며 학자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별당이다. 애일당은 이현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고, 산수와 전원을 벗 삼아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시가를 읊조리던 유서 깊은 장소로서 ‘효자는 날이 가는 것을 아까워한다’는 뜻에서 취한 당호이다. 이현보의 문집인 『농암집(聾巖集)』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야암정사는 김임(金恁, 1604~1667)이 만년에 건립한 정자로, 야암정사의 명칭은 김임의 아호인 야암(野庵)에서 따온 것이다. 김임이 자작한 「야암설(野庵說)」에 “내가 평생 하는 일은 실속 없는 겉치레를 버리는 데 힘쓰고 오직 속되고 야(野)함만을 숭상했다. 집은 야인이 사는 곳이요, 사람은 이 집의 주인이다”라고 나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약계정(藥溪亭)은 조선 후기 약계(藥溪) 권순기(權舜紀, 1679~1746)가 강학을 하던 정자이다. 권순기는 본관이 안동, 자는 여칙(汝則)이다. 1679년(숙종 5) 안동부 동쪽 산곡리에서 태어난 권순기는 호군(護軍) 권후중(權後重)의 손자이고, 지와(止窩) 권시량(權是亮)의 계자이다. 권순기의 생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전통 가옥. 약봉 태실은 서성(俆渻, 1558~1631)이 태어난 건물이다. 서성의 자는 현기(玄紀), 호는 약봉(藥峰),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1586년(선조 19)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학유(成均學諭)·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봉교(奉敎)·성균관전적·예조좌랑·병조좌랑·대사헌을 거쳐 4조(호조·예조·병조·형조) 판서와 6도(경기·경...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양정당은 조선 중기 학자인 김부신(金富信, 1523~1566)의 정자이다. 김부신의 자는 가행(可行), 호는 양정당(養正堂)이다.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광산김씨 이주단지 맨 앞쪽 우측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양정당은 조선 중기 김부신이 건립하였는데,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원래 낙동강에 인접해 있었으나 1974년...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및 재사. 어은정이라는 당호는 어은(漁隱) 이용(李容)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어은’이란 아호에는 이용의 할아버지인 이명(李洺)과 아버지 이굉(李汯)이 벼슬을 버리고 경상북도 안동의 낙동강가에 안동 임청각과 반구정(伴鷗亭)을 지어 은거자적(隱居自適)하였듯이, 이용도 세념(世念)을 끊고 강호에 자적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하겠다....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영모당은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法興洞固城李氏塔洞派宗宅)에 딸린 별당 형식의 건물로, 당호는 건립자인 이원미(李元美, 1690~1714)의 아호에서 취하였다. 이원미의 자는 미경(美卿), 호는 영모당(永慕堂)으로 이후식(李後植)의 손자이다. 안동역에서 법흥동 고가 도로 아래로 난 지하도를 따라 안동민속박물관으로 가는 길로...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영모정은 진성이씨 연곡파의 정자로 조선 후기에 건립되었다. 녹전면 사신리 석교마을 야산 아래에 위치해 있다. 영모정은 ‘ㅡ’자형 건물이다. 가운데 마루를 두고 양쪽으로 방을 들인 중당 협실형 평면으로 전면에 툇마루를 두고 헌함을 돌렸다. 좌측과 우측으로는 쪽마루를 설치하여 출입을 편리하게 하였다. 건물이 경사지를 타고 걸터앉아...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오헌은 1670년(현종 11) 이성일(李星逸, 1633~1709)이 후진 양성을 위하여 건립한 정자이다. 이성일의 자는 명거(明擧), 호는 오헌(梧軒)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소재지를 지나서 가다 보면 죄측에 안동소주홍보관이 보이는데, 안동소주홍보관에서 좌회전하여 가면 속칭 말바위[馬巖]마을이 있다. 말바위마을 종택의 오른...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우헌 고택은 죽리거사(竹裏居士) 이용연(李龍淵)의 아들 이현섭(李鉉燮, 1844~1910)이 분가하면서 건립하였다. 당호는 이현섭의 호를 따서 우헌 고택(愚軒古宅)이라 한다. 이현섭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서규(瑞圭), 호는 우헌(愚軒)이다. 1895년 명성황후가 살해되자 도산 양평에 은거하였다. 1910년 한일 합...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원대 종택은 이곳 원촌에 처음 정착하여 평생을 부화(浮華)한 생각을 버리고 겸양(謙讓)과 청허(淸虛)로 일관하여 세상 사람들로부터 ‘원대처사(遠臺處士)’라고 일컬어진 이구(李榘)의 구택(舊宅)이다. 이구(李榘, 1681~1761)는 본관이 진성(眞城)이며 자는 대방(大方)이고 호는 원대(遠臺)이다. 퇴계 이황의 5세손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유유헌은 김진국(金鎭國, 1775~1835)이 노년에 자적하기 위하여 세운 정자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김진국은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10세손으로 김낙수(金洛壽)의 아들이다. 김진국의 자는 덕함(德涵), 호는 유유헌(悠悠軒)이다. 학문이 뛰어나고 인품이 고매하였으며, 1817년에 생원이...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읍청정은 조선 중기의 학자 김부의(金富儀, 1525~1582)가 세운 정자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김부의의 자는 신중(愼仲), 호는 읍청정(挹淸亭)이다. 김부의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1555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나아가 사첨랑·집경전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의성김씨 운암 종택은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셋째 아들인 운암(雲岩) 김명일(金明一, 1534~1570)의 종택이다. 그의 일기에 의하면 23세 때인 1550년(명종 5)에 이미 신덕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안대청 상부의 상량문[건륭십구년갑술년칠월삼십일(乾隆十九年甲戌年七月三十日)]과 이 집의 구조 양식으로 보...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이가당은 이시방(李時肪, 1674~1739)이 임청각(臨淸閣)에서 분가할 때 지은 정자이다. 이시방의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회수(晦叟), 호는 이가당(二可堂)이다. 이시방은 과거 공부에 연연하지 않고 이가당을 지어 학문을 수학하며 강호에서 자적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고가 도로 아래의 지하도 입구에서 길을 건너 동쪽으로...
-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성여(聖輿), 호는 동암(東巖).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아버지는 군기시첨정을 지낸 이준(李寯), 어머니는 봉화금씨(奉化琴氏)로 훈도 금재(琴梓)의 딸이다. 형은 이안도(李安道)이다. 정부인(貞夫人) 안동권씨(安東權氏)와의 사이에 이기, 이억(李嶷), 이계 세 아들을 두었다. 둘째 아들 이억이 상계 종가인 형...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이우당 종택은 안동권씨 부정공파(副正公派) 임하(臨河) 지파의 종택이다. 이우당 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87-1번지에 있다. 안동에서 영양으로 가는 국도변 오른쪽 임하호에 근접하여 있는데, 마을의 모든 건물이 북향인 데 반해 이우당 종택만 북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을의 동남쪽에 위치한 해발 550m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인금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전통 가옥. 인금리 월오헌 고택은 청송심씨(靑松沈氏) 전리판서공파(典理判書公派) 심명한(沈明漢, 1654~1711)의 7세손인 월오헌(月塢軒) 심동섭(沈東燮, 1846~1924)의 가옥이다. 당호는 심동섭의 호를 따서 월오헌이라 부른다. 심동섭은 또한 영락재를 건립하여 후학의 교육과 학문에 힘썼으며, 은계찰방(銀溪察訪)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임여재 고택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6세손인 류성오(柳聖五)의 아들 임여재(臨汝齋) 류규(柳氵+奎, 1730~1808)의 고택이다. 하회마을관리사무소에서 안동(安東) 양진당(養眞堂)과 충효당(忠孝堂)으로 연결되는 골목길을 따라가면 풍산류씨 입향시조인 전서공 기적...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자운정은 1796년(정조 20) 대사헌 김굉(金宏, 1739~1816)이 건립한 정자이다. 김굉은 입향조 오우당(五友堂) 김근(金近, 1579~1656)의 6세손으로 자는 자야(子野), 호는 귀와(龜窩)이다. 1777년 증광문과에 합격하고 승문원부정자에 보임되었고, 그 후 사헌부지평·단양군수·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명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제월당은 조선 후기 학자 권중상(權重常)이 건립하여 후진을 양성하던 정자이다. 제월(霽月)은 ‘광풍제월(光風霽月)’의 준말로 부단한 자기 수양을 통해 본래의 깨끗한 마음을 회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명리에서 광흥사(廣興寺)로 가는 길을 따라서 올라가다 보면 오른쪽으로 ‘말우리’로 가는 길이 나오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죽리 고택은 죽리거사(竹裏居士) 이용연(李龍淵)이 군위군의 죽리로부터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원당으로 이주해 온 후 처음으로 지은 집이다. 당호는 이용연이 이거해 와서 살았다고 하여 죽리 고택이라 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풍천면 소재지가 있는 구담으로 향하는 지방도를 따라 중리마을에 이르면 안동 하회마을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지애 고택은 류치영(柳致榮, 1828~1908)의 고택이다. 당호는 류치영의 호를 따서 지애 고택(志厓古宅)이라 부른다. 류치영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위여(位汝), 호는 지애(志厓)이다. 양진당(養眞堂) 류영(柳泳)의 후손으로 좌승지를 지낸 류봉조(柳鳳祚)의 증손이요, 가선대부 호조참판을 지낸 류태목(柳泰睦)의 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신성리에 있는 고려 후기 정자. 창암정은 풍산홍씨 2대조인 홍애(洪崖) 홍간(洪侃, ?~1304)의 정자이다. 홍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풍산홍씨의 시조 홍지경(洪之慶)의 아들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평보(平甫)·운부(雲夫), 호는 홍애이다. 시문에 능하였다. 2000년 10월 창암정 아래 홍간의 시인 ‘창암정운(蒼巖亭韻)’을 새긴 시비를 세웠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치헌은 국탄(菊灘) 김시정(金始精)의 셋째 아들인 치헌(耻軒) 김영운(金永運, 1765~1841)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집을 짓는 데 쓴 재목은 인근의 맏집인 국탄댁(菊灘宅)을 짓고 남은 것으로 충당하였다 한다. 집의 이름은 김영운의 호를 따라 치헌이라 부르게 되었다. 원래 치헌이 자리 잡고 있던 마을의 이름은 국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칠계재는 조선 후기 장세규(張世奎, 1783~1868)가 건립한 고택이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예천 방면의 국도를 따라 8㎞ 정도 가면 송야교가 나오고, 송야교를 지나면 곧바로 오른쪽에 안동시 서후면 소재지로 가는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3㎞ 정도 가면 오른쪽에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종택인...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정자. 침송정은 김해김씨 이송천 입향조 침송(沈松) 김목윤(金牧潤, 1552~?)의 정자이다. 김목윤의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침송이다.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병조좌랑·예조좌랑·행김해도호부사(行金海都護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일찍이 학문과 덕행이 뛰어나 후손들이 추모하고 공경하였다. 경상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 파산정은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 1538~1571)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류중엄의 본관은 풍산, 자는 경문(景文)·희범(希范), 호는 파산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이양서원(泥陽書院)·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되었다. 파산정은 안동 하회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하계정은 조선 후기 하계(霞溪) 이가순(李家淳)과 복재(復齋) 이휘준(李彙濬)이 강학 공간으로 사용한 정자이다. 이가순은 향산 이만도(李晩燾)의 조부로 본관은 진성, 자는 학원(學源), 호는 하계이다. 178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813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지평·정언·수찬·응교 등을 역임하였고, 이후 향리로 돌아와 당시...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한사정은 조선 후기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둘째 아들인 조석붕(趙錫朋, 1585~1657)을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이다. 조석붕의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자백(子百), 호는 한사(寒沙)이다. 1615년(광해군 7) 문과에 급제하여 봉상시주부(奉常寺主簿)를 지냈다. 경상북도 안동시 내에서 영주 방면으로 16...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가옥.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이 태어난 집으로, 후에 이상정의 8세손인 이용원(李龍遠, 1915~1959)이 규모를 조금 줄여 새로 건립하였다. 이상정은 조선 정조(正祖, 1752~1800) 때의 학자로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이다. 밀암(密庵) 이재(李栽)의 문인으로 벼슬은 형조참의에...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광평리에 있는 조선 중기 누각. 함벽당은 조선 명종 때의 무신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세워 거주하던 곳이다. 그 후 옥봉(玉峰) 권위(權暐, 1552~1630)의 소유가 되었다가 다시 함벽당(涵碧堂) 류경시(柳敬時, 1666~1737)의 소유로 바뀌었다. 처음에 집의 이름은 강희철의 호를 따라 함경당이라 하였는데, 영양 주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행산 고택은 조선 후기 류도종(柳道宗, 1789~1860)이 건립한 가옥이다. 류도종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주응(周應), 호는 회재(悔齋)이다.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의 후손으로 류사목(柳思睦)의 아들이다. 1814년(순조 14) 사마시에 합격하여 금산군수를 지냈다. 행산 고택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안동 하회...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허영정은 조선 후기 영양남씨 남응원(南應元, 1539~1611)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자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남응원의 자는 인중(仁仲), 호는 허영정(許潁亭)이다. 남응원은 남건(南健)의 아들인데, 부모상을 연이어 당하자 6년간 시묘살이를 하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다. 158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