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는 저수지. 행정적으로는 풍천면 가곡리지만 통상적으로 가일마을로 불리는 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는 저수지이다. 마을에서도 가곡지보다는 가일못으로 더 널리 불린다. 가일을 옛날에는 지곡(枝谷)이라 칭하였고, 『영가지(永嘉誌)』에는 풍산현 지곡리 골 입구에 있는 지곡지(枝谷池)라 칭하였다. 안동권씨의 집단 마을로 권(權)은 가지가 많아야 번성한다는 뜻으...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갈전리와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 경계에 있는 고개. 주위에 가래나무가 많아서 생긴 명칭이다. 흔히 가랫재라 부르며 명기하고 있다. 북쪽으로 갈전못이 있고 남서쪽으로 모시골못이 있다. 주변에는 청송군 추현리에 있는 가레두들이 있다. 가래재 마루턱이 안동시와 청송군의 경계이므로 마루턱에서 동쪽은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이고, 서쪽은 안동시 임동면 갈전리이다. 가래재의...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이상리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서지리 가수내마을을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후백제의 왕 견훤이 고창[안동] 땅을 침공하자 신라의 세 장수인 김선평(金宣平), 권행, 장길(장정필)이 고려 태조 왕건을 도우려 고창군민을 모아 병산[甁山, 와룡면 서지리]에서 후백제군을 맞아 싸웠다. 겨울동안 결전이 계속되었으나 지렁이의 소생인 견훤이 싸움을 하다 불리해지면...
-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도로리와 의성군 단촌면에 걸쳐 있는 산. 능선 위에 칡이 많다 하여 갈라산으로 불리기도 하고 옛날에 풍수가 와서 칡꽃이 많이 피었다는 데서 유래하기도 한다. 갈라산은 안동시 남선면과 의성군 단촌면이 경계를 이루고 낙동강 줄기를 가로막은 안동호와 임하호가 인접해 있으며, 남으로는 고운사가 있다. 기룡산을 잇는 능선 코스와 암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코스, 사붓골의...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고란리에 있는 산. 닭이 울면 동방이 밝아지고 즉 서광이 비추어 온다고 계명산(鷄鳴山)이라 부르게 됐다는 설과 닭이 하도 많아 닭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지명유래를 살리고자 계명산 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에서 개장 이후부터 현재까지 야생 닭을 키우고 있는 걸로 보아 닭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 후자의 설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재 또는 영(嶺)이라고도 한다. 산의 양쪽 비탈면에 계곡이 발달하여 양쪽으로부터 침식이 진전되면 등성이 부분이 낮아져서 안부를 형성한다. 또 경연(硬軟)의 암석이 호층(互層)을 이루고 있는 곳에서는 연한 암석이 있는 부분이 침식을 빨리 받아 낮아져서 안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안동향토지』에 따르면 안동 지역은 은 예부터...
-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에서 성곡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도로가 지나는 지역에 안동문화관광단지 진입로가 있어서 관광단지로라 이름하였다. 관광단지로는 테마관광길이나 문화로 등으로 불리다가 2008년에 안동시가 동지역 도로정비 사업을 실시하면서 관광단지로로 변경하였다. 전체 길이는 4.07㎞이며, 가장 넓은 도로의 폭이 35m에 이른다. 관광단지로는 안동시 용상동 1517-55번지[관광단...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산. 퇴계 이황(李滉)은 국망봉에서 한양을 한 눈에 볼 수 있었고 축지법으로 왕래하면서 국사(國事)를 논의하였다 한다. 이황이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있을 때, 간신배들에 의해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한 명종을 국망봉에서 관망하여 축지법으로 그 곳에 당도하여 구했다고 한다. 또한 이황의 조부인 이계양이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국망봉에 단을 쌓...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중앙을 지나 임하면 반변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안천은 지방 하천으로 유수의 계통은 낙동강이 그 본류이며 반변천이 제1지류, 길안천이 제2지류이다. 하천 연장은 72.00㎞이고 유로 연장은 75.00㎞, 유역 면적은 519.56㎢이다.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 경계를 기점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반변천(국가하천) 합류점 경계를 종점으로 한다. 길안면...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와 태자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과 싸우던 공민왕의 군대는 홍건적이 주둔하고 있던 도랑 위쪽에 석회 가루를 풀었다. 홍건적은 위에서 내려오는 하얀 물을 쌀뜨물로 착각하여 그만큼 공민왕의 군대가 많다고 여겨 겁에 질려 부리나케 그곳을 벗어났다고 한다. 그때 불티가 날아가듯 빠르게 도망갔다 하여 부티재[불티골]로 불리게 되었다. 부티재에서...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와룡면을 남류하여 안동호를 이루고 천리동, 옥동을 지나 남후면, 풍천면을 서류하는 하천. 낙동강은 태백산맥의 준령계곡을 흐르면서 영남 지방 전역을 유역권으로 하여 그 중앙 저지대를 남류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咸白山, 1,573m)에서 발원하여 상류부에서는 안동을 중심으로 반변천(半邊川)을 비롯한 여러 지류를 합치면서 서쪽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남문동에서 서부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조선시대 안동부성(安東府城) 남문이 부근에 있었다고 하여 남문거리 또는 남문가라 불리었으며, 이에 따라 남문로라고 이름하였다. 전체 길이는 346m이며, 도로 폭은 약 12m이다. 남문로는 안동 시내 중심가를 가로지르는 도로로, 안동시외버스터미널 교차로 부근의 가락안동종친회에서부터 안동시 보건소 맞은편에 있는 서부동 영에이지 안...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가구리에서 예안면 신남리까지 연결되는 도로.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묘소가 있는 두리봉 등산로 입구로 도로가 지나고 있어서 농암로(聾巖路)라고 이름하였다. 전체 길이는 31.991㎞이며, 도로 폭은 약 8m이다. 2008년 안동시에서는 도로명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예안면 태곡리 322-3번지에서 예안면 신남리 산9-1번지까지의 기존 구간을 연장 및 변...
-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신석리에 있는 산. 안동시 남선면 신석리에서 고개 하나를 넘어서면 기느리[기니리]마을이 나온다. 기느리마을 서쪽으로 덤산이 위치하고 바로 반변천이 나온다. 정상인 장지봉에서 시내를 내려다보면 수려한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덤산은 높이 200m이며, 유서 깊은 안동의 선어대(仙漁臺) 건너편에 위치하고 시내와 인접해 있어 교통이 편리해 1시간여의 짧은 코...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발자국 화석.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의 낙동강 상류 하천변에 공룡의 발자국, 생물이 뚫은 구멍 등으로 보이는 화석들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는데, 이를 도산면 가송리 공룡발자국 화석이라 한다. 도산면 가송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2008년 4월 30일 안동 경일고등학교 교직원 워크샵에 참가하였던 교감 강인순에 의하여 발견되었...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던 폭포. 물줄기 밑이 마치 움푹한 질그릇 모양의 저수지 같이 고여 있다고 하여 도연(陶淵)폭포라 불렀다. 안동 지역의 낙동강 지류로는 가장 큰 물줄기인 반변천의 한 굽이에 배포된 절경으로 도연폭포, 격진령, 선유창벽이 유명한데 이를 일컬어 도연삼절(陶淵三絶)이라 불렀다. 기험한 바위언덕 잘룩한 목중이를 타고, 넓게 퍼져 암벽을 곤두박질하는 우람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기암절벽. 마애는 마을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경치를 지닌 중국의 망천(輞川)을 빼어 닮았다고 해서 망천이라 불렸다. 이러한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어 자연스레 망천절벽이 되었으며 이후 낙동강가에 바위를 쪼아 만든 부처상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磨崖石造毘盧舍那佛坐像)이 있어서 마을 이름은 마애(磨崖)라 변경되어 불리게 됐다. 망천절벽은 마애마을 앞 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와 예천군 보문면 수계리 경계의 보문산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매곡리는 조선시대에 풍산현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군 풍북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매남리·우안동·번곡을 병합하고 매남리의 ‘매’자와 번곡의 ‘곡’자를 따서 매곡이라 하였으며, 매곡천은 이 매곡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보...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오산리에 있는 고개. 고려시대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암행 중 이곳에 이르러 점심식사를 부탁했는데 그 해는 흉년이 들어 곡식을 구하지 못하여 풋보리를 잘라 드리니 왕이 말하기를 ‘이곳이 바로 보릿고개로군’하여 보리고개라 이름 붙여졌다고 전한다.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보리고개를 맥현(麥峴)이라고도 부르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주변에는 갓 모...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을 북류하여 남후면 검암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 칡밭골 남동계곡에서 발원하여 점곡면, 단촌면, 안동시 일직면과 남후면 일대를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이다. 미천은 낙동강이 본류이며 유역 면적은 367.72㎢이며 하폭은 100m이다. 하천 연장은 52.50㎞이고 유로 연장은 59.13㎞이다. 일직면 일대에서 하천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과 길안면을 흘러 임하면, 남선면을 지나 용상동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용전천[지방하천]에서 시작되어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낙동강[국가하천]에 합류되는 반변천[국가하천]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산에서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반변천에 합류되는 하천[지방하천]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신한천(神漢川)이라 불렸다. 반변천[국가하천]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있는 산. 빼어난 자연경관이 병풍을 둘러친 듯하여 병산(屛山)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낙동강 굽이가 넓은 못을 이루어 에워 둘러싼 산으로, 본래의 자연지명보다는 병산서원이 있는 곳으로 더욱 유명하다. 절벽이 깎은 듯이 서 있는 병산은 화산(花山) 아래에 있다. 절벽 맞은편에는 노송정과 백사장이 펼쳐져 있어 운치를 더한다. 병풍을 치듯 수직으로 깎인 병...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도로. 복당길은 안기동 189-29번지부터 170-14번지까지 총 341m에 이르는 구간을 말한다. 안기동 대원아파트 북동쪽 구간에 복당길, 복당1길, 복당2길, 복당3길, 복당4길까지의 구간이 위치해 있다. 2008년 9월 19일 안동시 동 지역 도로명 변경을 하면서 도로 구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소복당길에서 복당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의...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녹래리와 영주시 평은면 경계에 걸쳐 있는 산. 봉수산은 박달산, 일출봉 등으로 더 널리 불리고 있다. 봉수산은 조선시대 서후면 개목산에서 봉화를 받아서 봉화군 용점산으로 전해주던 봉수대가 산정에 있었던 것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지금은 봉수대의 흔적만 있을 뿐이다. 박달산은 옛날에 박달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출봉은 지대가 높아 해가 뜰 때 제...
-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과 율세동을 연결하는 도로. 북문길은 총 148m에 이르며 북문동 GS25편의점 옆 북문시장 골목으로 접어들어 율세동 대왕신발까지의 길을 말한다. 안동부성(安東府城)의 북문이 있었다고 하여 북문길이라 한다. 길이는 총 148m이며, 도로폭은 5m이다. 안동시 북문동 321-12번지에서 율세동 478-7번지[북문시장1길 28]까지 이르는 길을 말한다. 북문시장을...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안동은 동쪽과 동북쪽에 태백산맥을 접하고 북으로는 소백산맥에 닿아 있는, 태백과 소백이 갈라지는 곳의 중앙부에 자리하고 있다. 안동의 산지는 시가지 남동쪽으로 길안천을 끼고 우뚝 솟은 길안면, 시가지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북후면, 북쪽에 위치한 녹전면 등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의 정기를 받은 안동의...
-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서 법흥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서동문로는 태화오거리에서 법흥고가 인근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서동문로는 기존에 있던 안동시 평화동 163-12번지에서 삼산동 125번지[서동문로 172]까지의 서문로와 안동시 삼산동 106-9번지[서동문로 174]에서 법흥동 62-3번지[경동로 745]까지의 동문로를 합친 도로이다. 조선시대 안동부성의 서문과 동문을 연결하는 도...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도로. 서악길은 안동시 태화동 218-6번지[태화7길 50]에서 태화동 217-5번지까지의 길을 일컫는다. 이와 함께 태화동 218-6번지[태화7길 50]에서 태화동 254-26번지[태화2길 51]까지는 서악1길에서 서악3길이 있다. 신라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한 서악사(西岳寺)가 있는 곳에 나있는 길이라 서악길(西岳길)이라고 하였다. 서악길의 길이는 8...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서 석동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석주로는 안동시 법흥동 256번지를 기점으로 안동시 석동동 1664-8번지[석주로 514]까지의 도로 구간을 말하며, 법흥동, 상아동, 석동동 등을 지나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의 생가 인근에 있는 도로라서 석주로(石洲路)라 이름하였다. 전체 길이는 5.129㎞이며, 도로 폭은 약 1...
-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 있는 도로. 보물 제114호인 안동 옥동 삼층석탑이 안동시 평화동 71-108번지에 있어 그 인근을 지나는 도로를 석탑길이라 하였다. 전체 길이는 515m이며, 도로 폭은 약 10m이다. 석탑길을 포함하여 석탑1길에서 석탑8길까지 있으며, 이 길을 모두 합치면 총 2.425㎞에 이른다. 석탑길은 안동시 평화동 108-21번지[단원로 120] 베스트마켓에서...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석탑리에 있는 석회암 동굴. 안동 미림동굴은 북후면 학가산(882.0m) 동쪽 기슭인 석탑리[개랄마을] 미림골에 위치한 입구와 통로가 매우 협소한 동굴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36호이다. 1982년 1월 20일 오소리 사냥을 나섰던 주민에 의해 발견된 후 공개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석탑리 미림골에 위치하여 안동 미림동굴이라 한다. 총 길이는 350m 정도이나...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에서 동부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영가로는 안동 시내 중심에 자리하고 있으며, 영가(永嘉)라는 안동의 옛 지명에서 도로명이 유래하였다. 전체 길이는 266m이며, 4차선으로 도로 폭은 약 19m이다. 영가로는 안동시 운흥동 안동역 앞 삼거리에서 동부동 한양아파트까지의 구간을 일컫는다. 안동역 앞의 영가로 남단은 화랑로와 접하고 있으며, 동부동 한양아파트의 영가로...
-
경상북도 안동시 수상동에서 정상동까지 연결되는 도로. 안동 지역뿐만 아니라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정자인 영호루(映湖樓)를 지나며, 영호대교 남단 앞을 지나기에 영호로(映湖路)라 이름하였다. 전체 길이는 5.51㎞이며, 차선은 2차선에서 6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폭도 12m에서 24m까지 다양하다. 안동시는 2008년 하반기부터 2009년 초에 걸쳐 도로명 정비...
-
경상북도 안동시 옥동에 있는 도로. 옥동은 조선시대 안동부의 감옥이 있던 곳이라 하여 옥거리, 옥마, 옥리 등으로 불리었으며, 지금은 옥동(玉洞)으로 불리고 있다. 도로명은 옥동 10호 광장 우측에 자리한 길이라 하여 옥동길이라 부른다. 옥동길의 전체 길이는 537m이며, 2차선으로 도로 폭은 약 10m이다. 옥동1길에서 옥동7길까지의 전체 길이는 2.014㎞이다. 옥동길은 안동시...
-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도로. 도로변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李相龍)의 생가인 임청각(臨淸閣)이 있어 임청각길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전체 길이는 775m이며, 도로 폭은 약 4m이다. 도로의 연속성과 최장성을 확보하고자 기존 도로를 임청각길로 통합 및 변경하였다. 안동시는 2008년에 동지역 도로명 정비 사업을 통해 안동시 법흥동 71-10번지에...
-
경상북도 안동시 옥야동과 북후면 오산리를 연결하는 도로. 조선시대 출장 가는 관리에게 편의를 제공하던 숙소인 제비원[燕飛院]이 있던 곳을 지나는 도로라 하여 제비원로라 이름 지었다. 총 6.744㎞ 구간에 폭은 13~35m에 이르고 있다. 제비원로는 2008년 도로명 정비 사업을 진행하면서 도로 구간의 연속성 및 최장성을 위해 구간이 합쳐져 연장되었다. 안동시 옥야동 398-11번...
-
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과 법흥동을 연결하는 도로. 안동시가지 중심부를 통과하는 도로여서 중앙로라 이름 지었다. 총 953m 구간으로 폭은 12m에 이른다. 왕복 2차선 도로이다. 중앙로는 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 62-9번지[중앙로 1]를 기점으로 법흥동 183-2번지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미림라사, 삼익피아노를 거쳐 기업은행, 신한은행, 삼산우체국, 김재왕내과에서 금성에너지까지 이...
-
경상북도 안동시 남부동에 있는 도로. 태사로는 안동시 남부동 안동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도로에서 맘모스제과를 지나 안동 태사묘(太師廟)에 이르는 도로를 말한다. 고려 개국공신인 김선평, 권행, 장정필의 위패를 봉안한 안동 태사묘에 이르는 길이라 하여 태사로라 이름 지었다. 왕복 2차선으로 총 404m 구간에 폭은 13m에 이른다. 태사로는 안동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길이다.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에 있는 도로. 태화동 일대에 있는 도로라 하여 태화길이라 이름 지었다. 왕복 2차선으로 총 718m 구간에 폭은 6m에 이른다. 태화길은 안동시 태화동 안동중학교 인근 SK텔레콤 맞은편 골목에서 직진하여 태화동사무소를 지나 태화아파트 인근까지의 도로이다. 태화동 267-15번지[태화길 2]를 기점으로 태화동 231-1번지[태화길 143]가 종점이며 옥동이 새...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과 도산면 가송리를 연결하는 도로. 국도 35호선은 경상북도 안동에서 봉화군 법전까지의 도로이다. 안동 도심에서 도산서원 간 구간이 포함되었기에 이 구간을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호를 따 퇴계로라 명명하였다. 왕복 2~4차선 도로로 총 35.33㎞ 구간에 폭은 10~25m에 이르고 있다. 퇴계로는 1970년대 말 박정희 대통령의 도산서원 방문을 계기로 선형...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과 옥동을 연결하는 도로. 도로가 지나는 일대를 예부터 하이마라 불러 하이마로라 이름 지었다. 고려 말기 서씨(徐氏) 문중의 정승이 죽자 강 건너 산기슭에 묘를 쓰기 위해 땅을 파는데 묘 자리 밑에 큰 바위가 깔려 있었다. 바위를 들어내려고 하니 그 밑에서 학 한 마리가 날아가 그 때부터 이 마을을 학마을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후 학마을의 음이 변하여 하이마로...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에 있는 도로. 고려 왕건과 삼태사(三太師: 김선평, 권행, 장길)가 후백제의 견훤을 상대로 싸운 전쟁터라 하여 합전길이라 부른다. 총 579m 구간에 폭은 8m에 이른다. 합전1길~4길까지는 1.061㎞이다. 합전길은 안동시 송현동 옥동3주공아파트 교차로에서 송현2주공아파트 교차로까지 직진하다가 송현1주공아파트 단지 부근에서 10시 방향으로 좌회전해 안동농아...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동향교 부근에 있는 도로. 안동향교 부근에 있는 길이라 향교길이라 이름 지었다. 총 1.147㎞ 구간에 폭은 5m에 이른다. 향교길은 송천동 1146-1번지에서 송천동 1370-8번지[송천길 93]까지 이어진 길로, 선어대를 지나 하차하는 버스정류소 갈림길(하리 입구)에서 송천가든, 현대슈퍼를 거쳐 송천초등학교까지 이른다. 인근에는 석문정선생유허비와 안동향...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와 임동면 갈전리를 연결하는 도로. 법흥교 임청각 부근에 신라 때 지은 법흥사(法興寺)가 있어서 이 일대를 법흥이라 하였다. 지금의 화랑로는 법흥동 일대를 지나는 길이므로 신라의 상징인 화랑의 이름을 따서 화랑로라 부르고 있다. 왕복 4~6차선으로 모든 구간이 일정하지는 않다. 총 연장은 47.506㎞에 이르며, 풍산읍 구간은 14.679㎞, 송현동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