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2454 |
---|---|
영어의미역 | Rice Paddy-Weeding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
집필자 | 편해문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던 농업노동요.
「논매는 소리」는 모심기가 끝난 뒤에 논의 잡풀을 매면서 부르던 농요이다. 안동 지역에서는 보통 세 번의 논매기를 한다. 아시 논매기·두벌 논매기·시벌 논매기 등을 할 때마다 부르는데, 이 「논매는 소리」는 각 시기의 논매기 노래 중에서도 긴소리에 해당된다.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안동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8년 6월 안동시 송천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김계수(남, 68)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한 명의 앞소리꾼과 다수의 뒷소리꾼이 메기고 받는 노래 형식을 가지고 있다.
어~~~허~~~아아~~~에헤~~~/ 원달같은 여편네 원달같이 들여논다./ 잘도 메는구나~~~ 아~~~허~~~어어~~~/ 어어~~~아~~~아~~~/ 늦어간다 늦어간다 점심참이 늦어간다/ 헤에~ 야~/ 메늘애가 어데 가고 점슴참이 아니 오노/ 헤에~.
논매기 전용의 논 호미가 따로 있을 정도로 논매기는 모심기와 더불어 가장 긴요한 농사일 가운데 하나이다. 논 호미는 논흙을 뒤집어엎어야 하기 때문에 보통 호미보다 아주 크다. 「논매는 소리」는 농업노동요 가운데 음악적인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줄이고 일의 능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농사일의 대부분이 기계화됨에 따라 「논매는 소리」를 듣는 것도 점차 힘들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