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2425 |
---|---|
한자 | 神農氏-後裔-龍田-甕泉 |
영어의미역 | Yongjeon and Ongcheon in Descendants Village of Sinnong Cla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 |
집필자 | 조정현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서 용전과 옹천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1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서 주민 정재현(남, 65)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동시사』에 수록하였다.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의 옹천은 근래에 생긴 이름이고, 그 전에는 옹천을 용전이라고 불렀다. 용 ‘용(龍)’자에 밭 ‘전(田)’자를 써서 용전(龍田)이라 하였다. 용전이라는 이름에는 신농씨와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 온다. 옛날 오천 년 전 신농씨가 살고 있었다. 염제(炎帝) 신농씨는 의약을 제조하며 농사짓는 법 등을 일러 신농유업(神農遺業)이라 하듯, 신농씨에 관한 유래는 다양하게 전해 오고 있다. 그런데 신농씨가 바로 진주강씨(晉州姜氏)였다. 그래서 강씨들이 농사를 지으면 잘된다고 한다.
농사를 지으려면 밭이 있어야 하므로 강씨들이 사는 마을 이름에 밭 ‘전(田)’자를 넣으면 좋다 하여 용전(龍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용전을 지형이 꼭 샘 같이 생겼다 하여 옹천(甕泉)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근래에는 마을 남쪽에 철도가 생겨 모양이 흩어졌지만, 전에는 그 생김새가 꼭 단지 같았다. 그래서 옹천이라 한 것이다.
「신농씨의 후예마을 용전과 옹천」의 주요 모티프는 ‘신농씨와 관련된 용전’과 ‘샘 같이 생긴 옹천’이다. 신농씨가 강씨였는데 강씨들이 사는 마을 이름에 밭 ‘전’자를 넣으면 좋다 하여 용전이라 부르게 되었고, 또 근래에는 용전이 샘 같이 생겨 이름을 옹천이라 바꿔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고대시대의 큰 인물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끌어들이는 모티프를 보여 주고 있으며, 성씨에 따라 어떤 글자가 들어가면 좋다는 인문적 요인과, 지형의 지물을 근거로 마을 이름을 지었다는 지리적 요인을 끌어들여 마을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