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781 |
---|---|
한자 | 林灒逸 |
영어음역 | Im Chanil |
이칭/별칭 | 임상열(林尙烈),국삼(國三),송원(松園)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
시대 | 근대/근대,현대/현대 |
집필자 | 류현정 |
성격 | 독립운동가 |
---|---|
출신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 |
성별 | 남 |
생년 | 1895년![]() |
몰년 | 1972년![]() |
본관 | 울진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찬일(林灒逸)은 본관이 울진(蔚珍)이고, 이명(異名)은 임상열(林尙烈)이다. 자는 국삼(國三)이며, 호는 송원(松園)이다. 1895년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태어났으며, 1972년 향년 78세로 세상을 떠났다. 묘소는 안동시 임하면 오대2리 뒷산 나천곡에 있다.
임찬일은 1914년 임하면 금소리에 설립된 금양의숙(錦陽義塾)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임득연·임범섭 등과 고종의 국장에 참가하여 「독립선언서」를 구해 오면서 임하면 시위를 준비하였다. 귀향한 뒤 김원진과 비밀리에 의논하여 「독립선언서」 준 다음 동지 규합에 나섰다. 3월 21일 노말수·임윤익·손응돌 등과 함께 금소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임하면소재지인 신덕까지 시위행진을 하였다.
시위 군중들과 함께 경찰 주재소와 임하면사무소로 몰려가 서류를 파기하고 기물과 건물을 부수는 등 격렬한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 일의 주동자로 일본 경찰에 체포된 임찬일은 1919년 9월 17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요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68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