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경문(景文)·희범(希范), 호는 파산(巴山). 할아버지는 류자온(柳子溫)이고, 생부는 참봉을 지낸 류공석(柳公奭)이며, 어머니는 권응삼(權應參)의 딸이다. 후사가 없는 류공계(柳公季)에게 입양되어 대를 이었다. 부인은 이문량(李文樑)의 손녀이다. 류중엄(柳仲淹, 1538~1571)은 류운룡(柳雲龍)·류성룡(柳成龍)·황준량(黃...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 파산정은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 1538~1571)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류중엄의 본관은 풍산, 자는 경문(景文)·희범(希范), 호는 파산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이양서원(泥陽書院)·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되었다. 파산정은 안동 하회마...
-
김봉조(金奉祖)는 1572년 한양 장의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서 부친 김대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서 장남, 곧 팔련오계(八蓮五桂)의 맏형으로 태어났다. 1601년 30세의 나이로 진사시에 합격하고, 42세 되던 해인 1613년에 문과급제를 하였다. 김봉조는 효심이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사시 합격을 한 이듬해에 부친이 세상을 뜨자 묘소 옆에 여막을...
-
김대현(金大賢)은 1553년 부친 김농(金農)과 모친 안동권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서 1602년 숨을 거두었다. 호는 유연당(悠然堂)으로, 허백당(虛白堂) 김양진(金楊震)의 증손자이기도 하다. 김대현은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면모를 보이면서 성장하였다. 당시 한양에서 살았던 그는 조선 전기 성리학의 대가로 알려진 우계(牛溪) 성혼(成渾)으로부터 글을 배운 적...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편을 나누어 돌팔매질을 하며 싸우는 놀이. 안동석전은 매년 정월 16일에 주로 마을과 마을이 개천이나 강을 사이에 두거나 수백 보 거리를 두고 마을 단위로 편을 갈라 서로 돌을 던져 누가 먼저 쫓겨 달아나느냐의 여부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전통사회의 집단놀이이다. 돌싸움 또는 팔매싸움이라고도 한다. 안동석전, 즉 팔매싸움은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던 놀이였지만 별...
-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휴(德休), 호는 팔오헌(八吾軒)·해촌(海村). 증조부는 김득가(金得可), 할아버지는 김율(金瑮),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金秋吉), 어머니는 전주류씨로 류화(柳華)의 딸, 부인은 안동권씨로 권목(權霂)의 딸이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다. 김성구는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인경(仁卿), 호는 팔우헌(八友軒). 증조부는 조명한(趙鳴漢), 할아버지는 조봉징(趙鳳徵),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조원익(趙元益), 어머니 예안이씨(禮安李氏)로 이기만(李基晩)의 딸이다. 형 조규양(趙葵陽)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서 난형난제라 불렸다. 증조부는 김응조(金應祖)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할아버지는 이현일(李玄逸)의 문...
-
경상북도 안동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팽나무는 달주나무·매태나무·평나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정자나무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는 수종이다. 비슷한 종으로 자주팽나무, 섬팽나무, 둥근잎팽나무, 산팽나무, 왕팽나무, 검팽나무, 폭나무 등이 있다. 안동시에는 세 그루의 팽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줄기가 곧게 서서 자...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채거리에서 거행되었던 가무오신적인 마을공동체 제의. 임동 채거리 별신굿은 일제강점기에 결성된 의용소방대가 프로모터가 되어서 장의 부흥을 꾀하고자 벌인 공동체신앙의 한 형태이다. 이를 ‘편항(鞭巷) 별신굿’이라고도 한다. 임동면 채거리는 예로부터 시장이 유명하였다. 영덕 등지에서 어물 상인이 내륙으로 들어오려면 대체로 채거리에서 묵고 가기 때문에 사통팔달로 통...
-
경상북도 안동시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팽나무는 달주나무·매태나무·평나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정자나무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는 수종이다. 비슷한 종으로 자주팽나무, 섬팽나무, 둥근잎팽나무, 산팽나무, 왕팽나무, 검팽나무, 폭나무 등이 있다. 안동시에는 세 그루의 팽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줄기가 곧게 서서 자...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의례가 아닌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전통 복식.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사람들은 계절별로 직물의 소재와 종류를 다르게 선택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추운 겨울에는 솜옷이나 겹옷, 혹은 여름옷을 겹쳐 입기도 하였다. 더운 여름에는 삼베와 같은 시원한 소재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옷의 형태는 저고리와 치마 혹은 바지가 오랜 세월 계속되었으나, 20세...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평생교육은 사회교육보다 넓은 개념으로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 등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교육 원리를 말한다. 또한 1999년 제정된 「평생교육법」에는 평생교육을 학교의 정규 교육 과정을 제외한 학력 보완교육, 성인 기초·문자 해득 교육, 직업 능력 향상 교육, 인문 교양 교육, 문화 예술...
-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주민들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평생의례는 한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평생을 살아가면서 중요한 순간순간마다 겪게 되는 의례를 말한다. 대부분 사람들의 인생은 공통적으로 또한 순차적으로 몇 개의 중요한 단계를 거치면서 완성된다. 이때 의례를 통하여 한 단계를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 신분의 변화를 겪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평...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초자는 자강(子剛), 자는 자성(子誠), 호는 평암(平庵). 시호는 충헌(忠憲). 충정공(忠正公) 권벌(權橃)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권신(權藎), 어머니는 전주류씨(全州柳氏)로 생원 류이관(柳以觀)의 딸이다. 권정침은 젊어서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과 입재(立齋) 강재항(姜再恒)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48세인 1757년(영조 33) 정시...
-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평중(平仲), 호는 창애(滄厓).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인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소퇴계(小退溪)’로 불렸던 이동표(李東標), 아버지는 이회겸(李晦兼),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벌(權橃)의 6세손 권두인(權斗寅)의 딸이다. 숙부가 두릉(杜陵) 이제겸(李濟兼)이다. 이중광은...
-
금소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농사를 짓는 데는 농경지 확보가 필수적으로, 금소는 넓은 들을 갖고 있어 농사짓기에 유리한 지역이다. 1608년(선조 41)에 편찬된 경상도 안동부(현 안동시) 읍지 『영가지(永嘉誌)』 관개조(灌漑條)에 금소보와 버리들보가 나오는데, 이를 통해 금소가 다른 지역에 비해 물을 이용한 벼농사를 일찍부터 시작했다는 사...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에 있는 법정리. 옛날에 성읍(星邑)이 있었으므로 별마을·성곡(星谷)·성읍이라 하였는데, 이후 변하여 평팔리(坪八里)가 되었다. 『영가지(永嘉誌)』 방리조(坊里條)에는 “평팔촌(坪八村)은 현(縣)의 남쪽 10리에 있다. 옛날에 읍(邑)이었던 까닭에 그대로 이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일직면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전곡(薪田...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평화동은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이 살았던 곳이지만 다 같이 평화적으로 살자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1895년 지방 관제 개혁으로 안동부(安東府) 부내면(府內面) 옥동(獄洞)에 속하였고, 1931년 안동읍 상반정(常盤町)이 되었다. 1947년 일본식 명칭 변경 방침에 따라 평화동(平和洞)으로 개칭되었다. 1963년 안동시 평화동이 되었고,...
-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불좌상. 총 2구의 석불좌상이 있는데, 하나는 불상의 머리가 떨어져 나간 채 야외에 보존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대좌 위에 올려 보호각 내에 안치되어 있다. 두 구의 석불좌상 가운데 후자의 것은 최근에 주민들이 전자를 본떠서 만들었다. 크기는 높이 52㎝, 너비 56㎝이다. 불신은 통견(通肩)한 법의를 걸쳤는데 군의(裙衣)가 뚜렷하고,...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대한불교 미타종 소속 사찰. 평화사는 1987년 주지 최사불에 의해 창건되었다. 최사불은 26세에 병이 나서 3년 동안 병마와 싸우던 중 청량산 장군봉에 올라가 백일기도를 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기도 중, 신령이 나타나 어느 곳에 가면 흑장미가 있을 테니 그 꽃을 먹으라는 계시를 내렸다. 최사불이 즉시 그곳에 가 보니 흑장미가 만발해...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과 남선면을 연결하는 다리. 다리가 있는 곳의 옛 지명을 차용하여 이름을 지었다. 길이는 300m, 다리 폭은 7.5m이다. 상부구조는 PSC Beam이고 하중은 DB-18톤으로 설계되었다. 안동~길안을 잇던 옛 포진교가 침수됨에 따라 교통이 불편해지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79년 5월 15일에 건설하였다. 시공자는 한얼산업주식회사이며 시행청은 안동군이다....
-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순릉참봉(順陵參奉)에 제수된 매호(梅湖) 권행가(權行可)의 현손이며 권중정(權中正)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권명시(權命時), 아버지는 권진원(權震元), 어머니는 예안김씨(禮安金氏)로 통덕랑 김종발(金宗渤)의 딸이다. 권덕수의 집안은 권덕수의 5대조인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이래...
-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순릉참봉(順陵參奉)에 제수된 매호(梅湖) 권행가(權行可)의 현손이며 권중정(權中正)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권명시(權命時), 아버지는 권진원(權震元), 어머니는 예안김씨(禮安金氏)로 통덕랑 김종발(金宗渤)의 딸이다. 권덕수의 집안은 권덕수의 5대조인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이래...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이승(以承), 호는 표은(瓢隱)·도연(陶淵). 할아버지는 김수일(金守一), 아버지는 김철(金澈), 어머니는 풍산김씨(豊山金氏)로 고려삼사좌윤(高麗三司左尹) 김안정(金安鼎)의 후손이며 지평 김봉조(金奉祖)의 딸이다. 아버지 김철은 백부 김극일(金克一)의 후사가 되었다. 김시온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태어났다...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던 조선시대 암각서. 표은(瓢隱) 김시온(金是榲, 1598~1669)을 추모하기 위해 새긴 글씨이다. 김시온은 병자호란 후 도연(陶淵)에 은거하면서 학문에만 전념하여 제자백가 및 경학에 통달하였으며, 후세 사람들이 명나라에 대한 절의를 저버리지 않은 숭정처사(崇禎處士)라 하였다.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위치한 도연폭포(陶淵瀑布) 주변 절벽에 하남삼...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객귀를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는 의례. 객귀물리기는 배가 아플 때 그것은 잡귀가 들었기 때문이라 믿고 민간에서 행하는 치병의식의 하나이다. ‘객구물리기·객귀물림·푸닥거리’라고도 한다. 객귀는 일정한 정처가 없기 때문에 마을이나 거리를 방황하다가 관혼상제와 같은 비일상적인 행사나 사람들이 약해진 틈을 엿보아 침입한다. 마치 거지가 구걸 행각을 하는 것처럼 음식이...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농가 간의 노동력 교환 방식의 하나. 전통사회의 대표적인 공동노동 혹은 협동노동 관행에는 두레와 품앗이가 있다. 두레는 공동노동 방식으로 주로 벼농사 지역에서 많이 행해졌고, 품앗이는 협동노동 방식으로 밭농사가 중심을 이루는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품앗이는 전통적인 농업사회에서 농가 간의 비교적 단순한 협동노동의 형식으로 힘든 일을 서로 거...
-
품앗이와 계는 각성들이 모여 사는 가송리에서 모듬살이의 지혜로운 원리를 가장 잘 드러내는 전통이다. 마을 사람끼리 각종 계를 조직함으로써 공동체 생활과 관련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하고, 품앗이를 통해 노동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2009년 현재 가송리에서는 서낭계와 상여계가 주축을 이루면서 마을의 중요한 대소사를 관장하고 있다. 1985년 쏘두들과 가사리를 잇는 가송교(일명 새마을...
-
가송리 사람들의 생업은 밭농사이다. 농경지 중에서 밭의 비율이 90%를 넘을 정도로 밭농사는 가송리 사람들에게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비중이 높다. 가송리에서는 특히 고추를 많이 재배하는데, 이는 고추 가격이 다른 작물에 비하여 고가로 유지되는데다 비교적 유동성이 적어서 소득이 높고 재배하기가 비교적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추는 2~3가구를 제외한 모든 가구에서 재배...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칠월 중순 무렵 논매기가 끝나면 벌이는 농민들의 제축 행사. 풋굿(백중놀이)은 연간 농작물 재배의 핵심적인 활동을 모두 마치고, 음력 7월 초·중순 무렵에 마을 단위로 날을 정하여 하루를 먹고 노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풋구·머슴날·풋굿먹기·꼼베기놀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마을의 우물을 치고 길을 닦는 등 공동노동을 하며, 각 집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마을에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칠월 중순 무렵 논매기가 끝나면 벌이는 농민들의 제축 행사. 풋굿(백중놀이)은 연간 농작물 재배의 핵심적인 활동을 모두 마치고, 음력 7월 초·중순 무렵에 마을 단위로 날을 정하여 하루를 먹고 노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풋구·머슴날·풋굿먹기·꼼베기놀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마을의 우물을 치고 길을 닦는 등 공동노동을 하며, 각 집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마을에서...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칠월 중순 무렵 논매기가 끝나면 벌이는 농민들의 제축 행사. 풋굿(백중놀이)은 연간 농작물 재배의 핵심적인 활동을 모두 마치고, 음력 7월 초·중순 무렵에 마을 단위로 날을 정하여 하루를 먹고 노는 세시풍속이다. 이를 풋구·머슴날·풋굿먹기·꼼베기놀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마을의 우물을 치고 길을 닦는 등 공동노동을 하며, 각 집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마을에서...
-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에 있는 풍물굿패. 풍물굿패 참넋은 민족전통예술의 현대적 계승 발전과 지역 문화의 양적·질적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3년 안동대학교 탈춤 동아리 덧뵈기에서 활동하던 회원 몇 명과 고등학생 풍물패 누릿쟁이 회원 몇 명이 모여 창단하였다. 1993년 안동 KBS 홀에서 「맘판」이라는 사물놀이 공연을 시작으로 같은 해 10월 14일 안동대학교 오케스트라와 「...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물놀이. 안동 지역에서 행하던 풍물놀이는 예전에는 마을 공동체에서 힘든 노동을 즐겁고 활기찬 노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놀이와 노동이 결합된 두레굿으로 형성되었다. 그 후에 마을 전체의 크고 작은 일들과 결합하면서 마을굿으로 확대 발전되었다. 안동에서는 해마다 정초에는 걸립굿을 쳤고, 여름철 김을 맬 때에는 두레굿을 쳤다. 또 몇 년마다 행하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을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사랑을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창의를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 사랑, 창의를 스스로 가꾸는 어린이’이다. 1928년 6월 1일 풍북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 풍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9년 11월 25일 신양분교장을 안양국민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자율과 책무를 존중하는 자주적이고 도덕적인 민주시민, 스스로 학습하는 지혜를 길러 학력과 재능을 키워가는 사람, 창조하는 지식을 길러 정보화 사회에 앞장서는 사람, 세계를 향한 미래 사회의 지도자로서 비전을 지닌 사람, 바른 삶의 실천을 위해 지력과 심력을 실현할 수 있는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경안노회 소속 교회이며,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교회이다. 2009년 교회 표어는 섬기는 교회이다. 풍산교회는 기독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2년 2월 권수백의 전도로 정봉모(鄭鳳模), 김인수(金仁壽), 강덕수 등이 하리동 김인수의...
-
김문적을 시조로 하고 김자순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 안동의 풍산김씨는 조선 초 김자순(金子純)이 왕자의 난을 피해 풍산현 오릉동에 정착한 후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가문이다. 풍산김씨 시조 김문적(金文迪)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으로 고려 고종 때 나라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풍산백(豊山伯)에 봉군되었다. 김문적...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려각. 풍산김씨 정려각(豊山金氏 旌閭閣)은 류홍춘(柳弘春)의 부인 풍산김씨(豊山金氏)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교남지(嶠南誌)』에 “남편(류홍춘)이 관의 곡식을 축냈다는 누명을 쓰고 체포되어 욕된 형을 받고 집으로 돌아와 억울함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에 김씨는 혈서를 써 상경하여 쟁명(錚鳴)을 울리고 진상을...
-
오미리에 있는 추원사(일명 도림추원사)는 1758년(영조 34)에 건립되었고, 1806년(순조 6) 현재의 위치로 이건되었다. 도림(道林)은 추원사(追遠祠)가 보림산(甫林山) 도봉(道峯) 아래 자리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림추원사는 김대현(金大賢)과 그의 아들 8명의 학덕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된 사당으로, 오미리 풍산김씨의 가장 핵심적인 추모공간이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김치공장에서 생산되는 김치. 낙동강 유역의 사질토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배추와 무를 사용하여 김치를 만듬으로써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고자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풍산김치는 서안동농협에서 운영하는 김치공장에서 생산되는 김치로 1994년 12월 2일 상표등록(등록 제303267호)을 마쳤다. 2003년 3월 27일 농산물 50만 불...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공단지는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역 주민이 현재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와 농어촌의 소득 격차를 줄여 도농간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고자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1983년 말에 제정되었으며, 1984년부터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풍산농공단지는 공장,...
-
류절을 시조로 하고 류종혜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 안동의 풍산류씨는 시조 류절(柳節)의 6세손 류종혜(柳從惠)가 조선 초 하회에 정착한 이후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크게 번창한 가문이다. 풍산류씨는 고려 때 호장을 지낸 시조 류절의 증손 류백(柳伯)이 충열왕 때 출사하여 가문을 일으켰고 류절의 6세손 류종혜가 조선 초 공조전서를 지내고 풍산현으로 낙향하여 정착하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 있는 조선 중기 풍산류씨 가문의 재사. 안동시 풍산읍 수리 50번지[수석길 6-89]에 위치한다. 풍산과 안동 사이 국도에서 풍산읍의 동쪽 경계 부분과 안동시의 서쪽 끝 송야교 부분을 이어주는 길로 들어서면 중간쯤 되는 지점에 수동이 있다. 수동은 풍산들의 서북쪽 한 끝을 호선으로 감싸고 있는 산자락 끝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수동마을 뒷산에 서...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조직된 농민운동 단체. 풍산소작인회는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활동하는 소작인과 준소작인의 상호 부조와 생활 향상 등을 목적으로 조직되었다. 풍산소작인회는 1920년대 전반기 농민운동의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이준태·권오설·김남수 등이 풍산학술강습회에서 만든 단체이다. 1923년 11월 11일 풍산학술강습회에서 회칙·결의·집행위원 등을 선출하고 조직...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행정구역.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삼국시대에 하지현(下枝縣)에 속하였다가 신라 경덕왕 때 영안(永安)으로 고쳐 예천군(醴泉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풍산현(豊山縣)으로 개칭하였고,...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1946년 학교 건립을 시작하여, 1947년 7월 15일 풍산국민학교에서 병산초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49년 4월 30일 지금의 위치로 교사를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50년 4월 1일 3년제 6학급 병산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8년 3월 1일 풍산중학교로 학교 이름을 바꾼 뒤, 1976년 11월 25...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직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특기를 가진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다. 1933년 10월 27일 4년제 풍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6년 1월 1일 6년제 풍산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하였다. 194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와 풍천면 하회마을 일대에 있는 평야. 풍산평야는 풍산읍 일대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 듯 하다.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안동은 경상북도 북부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영양·청송,...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하수종말처리장. 풍산하수종말처리장은 풍산읍 지역의 생활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7월 19일 설립 인가를 받아 12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2007년 9월 5일의 시운전에 이어 11월 30일 가동을 시작했으며 12월 3일 풍산하수종말처리장 준공식을 가졌다. 지역에서 생성되는 하수의 정화·방류, 하수 중에 섞여 있는 모래·넝마...
-
홍지경을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 안동의 풍산홍씨는 시조 홍지경(洪之慶)이 안동 풍산에 정착한 뒤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안동의 토성 중의 하나이다. 홍지경이 1242년(고종 29)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이 국학직학에 이르렀으며 안동 풍산에 정착하였다. 홍지경의 아들로 고려 첨의사인을 지낸 홍애(洪崖) 홍간(洪侃, ?~1304)는 시인으로 세상에 이름을 알렸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암각서. 풍산홍씨 세장지지(豊山洪氏世葬之地)는 풍산홍씨 문중의 홍중묵(洪重黙)이 시조와 조상들을 추모하기 위해 새긴 글씨이다. 풍산홍씨 세장지지는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 신성포 탑평촌에 건립된 창암정(蒼巖亭) 아래에 있다. 창암정은 탑평촌 서쪽에 솟아 있는 두암(斗巖)이라는 암벽 위에 있는데, 암각서는 두암에 새겨져 있다. 창암정은...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조직된 농민운동 단체. 풍산소작인회가 조직된 이후, 소작인회의 산하 조직으로 가장 활동이 왕성한 곳이 일제강점기 당시 안동군 풍서면 소산동 지역이었다. 이에 풍산소작인회에서는 이곳을 따로 독립시켜 풍서농민회를 조직하였다. 풍서농민회는 상호 부조와 생활 개량을 목적으로 하고, 무산계급의 해방운동을 기하며 당면의 이익을 위하여 투쟁함을 설립목적으로 하였다. 풍...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정직하고 예절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지식을 창조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을 튼튼히 하는 어린이, 질서를 지키고 환경을 깨끗이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했다. 1943년 4월 30일에 풍서공립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43년 5월 15일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
-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는 땅의 형세를 인간의 길흉화복에 관련시킨 전통적인 지리 이론으로서 주로 산천이 어우러져 이루는 외적인 모습을 설명하는 것이다. 풍수지리는 산·수(水)·방위·사람 등 4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구성하며, 『주역(周易)』을 주요한 준거로 삼아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논리로 체계화하였다. 풍수지리는 명당을 찾...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17세기 초에 편찬된 안동 지역 지방지(地方誌)인 『영가지(永嘉誌)』 고적조(古蹟條)의 “풍악산성(豊嶽山城)은 풍산현(豊山縣)의 동북쪽 2리 지점에 있으며 지금은 못 쓰게 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늦어도 17세기 초에는 산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하지산(下枝山)에 있다. 하지산은 풍...
-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능(爾能), 호는 일우(逸愚).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8세손이자 류원지(柳元之)의 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류성화(柳聖和)이고, 할아버지는 류운(柳澐)이다. 아버지는 류종춘(柳宗春)이며, 생부는 류해춘(柳海春)이고, 외할아버지는 이세진(李世震)이다. 류상조(柳相祚, 1763~1838)는 아버지에게서 가학(家學)을...
-
조선 중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경회(景會), 호는 풍은(豊隱). 할아버지는 군자감주부를 지낸 이신(李愼), 아버지는 이전(李荃),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홍여려(洪汝礪)의 딸이다. 이홍인은 경상도 안동부 풍산현(豊山縣, 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으로 옮겨 살았다. 5세 되던 해에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혼자서 자랐지만 제사를 모시거...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와 풍천면 하회마을 일대에 있는 평야. 풍산평야는 풍산읍 일대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 듯 하다. 풍산읍을 에워싸고 있는 산 모양이 굽을 ‘곡(曲)’자와 콩 ‘두(豆)’자를 합친 것처럼 생겨 이 두 글자를 합하여 ‘풍(豊)’자를 쓰고, 뫼 ‘산(山)’자를 붙여 풍산이라 지었다고 하였다. 안동은 경상북도 북부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영양·청송,...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법정면. 풍남면(豊南面)·풍서면(豊西面)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풍성할 풍(豊)’자에, 낙동강을 끼고 있으므로 ‘내 천(川)’자를 써서 풍천(豊川)이라 하였다. 삼국시대에 하지현(下枝縣)에 속하였고, 고려시대에 풍산현(豊山縣)에 속하였으며, 조선시대에 풍남면(豊南面)·풍서면(豊西面)으로 분리되었다. 1934년 풍남면·풍서면과 소산리를 병합하여 풍천면으로 개편...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에서 수동 국신사당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79년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수동에서 주민 권오구(남, 68)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99년 안동시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한 『안동시사』에 수록하였다. 수동마을에 권사도라는 청년이 살고 있었다. 권사도는 말도 잘 타고 활도 잘 쏘아서 무술이 천하일품이었다. 어느 날 수동마을 어디선가 하루 종일 하늘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정직한 마음과 성실한 생활태도로 특기를 개발하고, 협동적이고 진취적인 꿈을 키우는 슬기로운 학생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성실·협동’이다. 1972년 12월 28일 풍강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2월 교사를 신축하였다. 같은 해 3월 초대 정용조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신입생 4학급 280명이 배정 입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마음과 몸을 튼튼히 하는 어린이, 자기 일에 스스로 힘쓰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어린이, 질서를 잘 지키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 근면, 사랑’이다. 1939년 4월 13일에 풍천공립심상소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39년 5월 10일 개교하였다. 19...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에 있는 법정리. 도촌리는 원래 길골·질골·길곡(吉谷)·도곡(道谷) 등으로 불리었다. 예전 영해에서 소금이나 해산물을 지고 영양을 거쳐 장갈령(長葛嶺)을 넘어 도촌리를 지나 예안까지 갔는데, 장갈령에서 마을로 뻗어 내려오는 길을 길골이라 하였다. 한편 마을 사람들은 피박 또는 피박골이라고도 불렀다. 사래실 앞산 고지박을 닮은 명당을 껍박이라 하였는데, 한자로...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에 있는 법정리. 도촌리는 원래 길골·질골·길곡(吉谷)·도곡(道谷) 등으로 불리었다. 예전 영해에서 소금이나 해산물을 지고 영양을 거쳐 장갈령(長葛嶺)을 넘어 도촌리를 지나 예안까지 갔는데, 장갈령에서 마을로 뻗어 내려오는 길을 길골이라 하였다. 한편 마을 사람들은 피박 또는 피박골이라고도 불렀다. 사래실 앞산 고지박을 닮은 명당을 껍박이라 하였는데, 한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