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 출신의 망명자들이 중국에 건설한 한인 자치 단체. 경학사는 서간도로 망명하는 한인들의 생활 기반을 안정시키고, 한인 청년들을 구국 인재로 육성하여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경학사는 신민회 회원들과 안동 지역의 망명 인사들이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해 1911년 4월 중국 길림성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 대고산(大孤山)에서 결성된 한인 자치...
-
1909년 안동 지역에 설립된 구국 교육운동 단체. 교남교육회 안동지회는 국권 회복을 위한 계몽과 교육운동을 위해 설립되었다. 1908년 3월 8일 서울 지역에 있던 영남 출신 인사 140여 명이 보광학교(普光學校)에서 교남교육회 발기회를 개최하였으며, 3월 14일 종로 청년회관에서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시총회를 열고 현영운 임시회장과 임원을 선출하였다. 3월 15일 보광학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9년(고종 26)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서 출생하여 1969년 사망하였다. 김구현은 흠치교(吽哆敎: 증산교)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는데, 흠치교는 뒷날 보천교(普天敎)로 불리는 종교단체이다. 보천교는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을 따르던 차경석(車京石, 본명 車輪洪)이 창시한 흠치교 계열의 새로운 종교이다. 차경석은 강일순이 죽고...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 단체. 대한광복회는 군자금 수합, 독립군 양성, 연락 거점 마련, 무기 비축 등을 통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3년 의병 계열의 인사들이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모여 조직한 광복단과 1915년 대구에서 결성된 계몽운동단체인 조선국권회복단의 일부가 결합하여 1915년 7월 15일 대한광복회를 결성하였다. 여기에 안동 출...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인사들이 독립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만주 통화현에 만든 군영.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중국과 일본의 전쟁 발발을 예상하고, 조선의 독립을 위한 대책을 세우면서 군대를 조직하고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였다. 원병상은 『신흥무관학교』에서 백서농장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이곳은 사람의 발자취가 닫지 않은 밀림지대로서 곰·멧돼지·오소리 등 산짐승이 득실거리는 깊은...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인사들이 참여하여 만주 통화현에 조직된 자치 기구. 재만 한인사회의 자치를 담당하고 이를 토대로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여 독립전쟁을 위한 준비를 목표로 부민단이 설립되었다. 1912년 경학사가 해체되고 나서 한인사회의 자치와 산업의 향상을 지도할 새로운 조직이 필요하게 되어, 1912년 가을 통화현(通化縣) 합니하(哈泥河)에 부민단이 조직되었다. 부민단은 허혁에...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인사들이 참여하여 서간도 유하현 삼원포에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서로군정서는 서간도 지역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자치 활동을 지도하고 독립전쟁에 대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19년 1월 부민단의 제도와 사업을 이어받아 한족회를 조직하였다. 이후 한족회는 군정부를 따로 조직하였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1919년 11월 서로군정서로 개칭하고서 임시정부의...
-
일제강점기 신간회 산하 안동 지역의 하부 단체. 신간회 안동지회는 1927년 2월 15일 서울에서 좌우합작을 통한 신간회의 결성과 더불어 안동 지역에 설립된 신간회의 지회이다. 안동 지역 청년운동의 지도적 조직체였던 화성회(火星會)가 1927년 4월 해체를 선언하고, 신간회 안동지회 설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1927년 7월 9일 정현모·김중학·심규하·이술상·권태석·이세녕·권중열·...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있었던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한 운동.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학생은 물론 기독교인들에게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이에 맞선 거부·투쟁운동이 전개되었다. 일제의 집요한 정책으로 기독교가 일제의 황민화 정책을 받아들이자 이에 반대하는 교역자와 신도들이 서로 연대하여 조직적 집단적 저항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경...
-
일제강점기 안동의 풍산읍에서 조직된 사회주의운동 단체. 신흥청년회는 사상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청년운동의 근본정신을 관철하고 사회주의운동의 새로운 국면을 열고자 설립되었다. 이와 함께 사회 진화의 법칙에 의한 사회 혁신과 훈련을 통한 역군의 양성, 무산계급 청년의 단결 등을 조직의 활동 목표로 삼았다. 1922년 수양과 친목단체의 성격이 강한 풍산청년회가 당시 안동군 풍산면...
-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 인물들이 지도자로 활동한 사회주의 정당. 1920년대에 들어와 청년지식층에서는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는 이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사회주의운동의 주된 무대는 국외에서 국내로 옮겨오게 되었고, 1925년 4월 17일 코민테른의 유일한 한국지부였던 조선공산당이 탄생하였다.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을 이끌었던 조선공산당은 민족해방과 계급해방을 동시에 추구하는 독립운...
-
1920년대 안동 등지에서 민족 대학을 설립하고자 했던 운동.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은 민족의 우수 인력을 우리 민족의 손으로 길러내고자 민족에 의한, 민족을 위한, 민족의 교육을 목표로 삼았다. 1920년 6월 한규설과 이상재·윤치소 등 100명이 조선교육회 성립 발기회를 개최하면서 비롯되었다. 이 모임에 참석한 인사들은 민족 교육을 하는 최고의 교육기관이 없음을 개탄하고 조속한...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조직된 조선형평사의 안동 분사. 조선형평사는 백정의 신분해방운동의 일환으로 1923년 4월 경상남도 진주에서 시작되었고, 경상북도에서도 대구에 형평사지사(6월), 경주분사(7월), 상주 수평동맹회(8월), 예천분사(8월), 고령분사(9월) 등이 결성되었다. 안동 지역에서는 1923년 10월 안동분사가 결성되어 형평운동을 전개하였다. 출발 시기에 안동분사원은...
-
일제강점기 안동에서 일본식 이름으로 개명을 강요당하자 거부한 운동.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의 식민 정책은 전쟁 수행을 위한 정책으로 바뀌었다. 이를 위해 일제는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내세우며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고 한국인을 철저히 일본인처럼 만들려고 하였다. 창씨개명은 이러한 정책 가운데 하나이었으며, 창씨개명거부...
-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일어났던 청년들의 사회운동. 3·1운동 이후 대중의 힘을 효과적으로 결집하고 항일 역량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조직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1920년부터 각 지역에 청년회가 조직되어 계몽적인 성격을 가진 실력 양성 운동 및 문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안동 지역에도 1920년 들어 청년운동 단체가 생겨나기 시작하여 5월 안동청년회를 출발로 예안...
-
1920년대 중국 지린성 청산리 일대에서 많은 안동 출신 인물들이 참여하여 전개한 독립운동과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제가 간도 지역에서 저지른 한인 학살 사건. 1920년 6월 북간도의 봉오동전투에서 독립군에 크게 패한 일제는 보복의 일환으로 서북간도 지역에 근거지를 구축하고 항일전을 펼치고 있던 독립군을 소멸시키기 위해 ‘간도지방불령선인 초토계획(間島地方不逞鮮人 剿討計劃)’을 세웠...
-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어 일제에 저항한 운동. 안동 지역의 자결 순국은 세 차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1907년(고종 43) 이후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국권 침탈이고, 두 번째는 1910년 8월 국권 피탈이며, 세 번째는 1919년 고종의 죽음이었다. 안동 지역에서 가장 먼저 자결 순국한 이는 김순흠이다. 김순흠은 일제의 국권 침탈이 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