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후기 신도비. 고성이씨 신도비(固城李氏 神道碑)는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책록이 된 좌의정을 지낸 용헌(容軒) 이원(李原)의 여섯째아들인 이증(李增, 1419~1480)의 행장을 기록한 신도비이다. 이증은 영산현감을 지냈고,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고성이씨 신도비는 안동시 정상동 488-2...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재사. 고성이씨 재사는 고성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李增, 1419~1480)과 정부인(貞夫人) 경주이씨의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한 재사로, 당호는 수다재(水多齋)이다. 이증의 자는 자겸(子謙)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한 후 음보(蔭補)로 진해·영산현감을 지냈다. 관직에 물러나서는 경상북도 안동의 학덕 있는 선비 12인과 함...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귀래정은 고성이씨 입향조 이증(李增)의 둘째 아들인 낙포(洛蒲) 이굉(李汯, 1440~1516)의 정자이다. 이굉은 25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40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상주목사·개성유수 등을 지내다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이중환(李重煥, 1690~1752)은 『택리지(擇里志)』에서 경상북도...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대구보호관찰소 안동 지역 지소. 보호관찰소는 재범 방지를 목적으로 법무부장관의 관할 아래 보호관찰에 관한 업무를 맡아서 관리하는 기관이다. 대구보호관찰소 안동지소는 집행유예나 가석방 소년범의 건전한 사회 복귀와 재범 방지 및 복지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7월 1일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에서 대구보호관찰소 안동지소로 개...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반구정(伴鷗亭)은 안동 임청각(安東臨淸閣)을 지은 이명(李洺)의 여섯째 아들 이굉(李肱)이 건립한 정자이다. 이굉은 자가 계임(季任), 호가 반구옹(伴鷗翁)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고 음보로 예빈시별제(禮賓寺別提)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이후 안동부(安東府)의 남쪽 낙동강 건너편에 반구정을 짓고 자적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민주시민의 자질을 가진 사람, 교육과정 운영을 충실히 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사람, 기초 과학 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가진 사람,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여 미래 사회의 적응력을 가진 사람, 쾌적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한 심신을 가진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근면,...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안동고등학교 축구부. 안동고등학교 축구부는 축구를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게 지역에서 축구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4월 25일 이치형(교장) 단장, 박명서 감독, 장세인 코치와 함께 안동고등학교 2학년 1명과 1학년 14명으로 구성된 안동고등학교 축구부가 발족하였다. 축구부 학생들의 훈련과 전국축구대회 출전을 주요...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및 재사. 어은정이라는 당호는 어은(漁隱) 이용(李容)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어은’이란 아호에는 이용의 할아버지인 이명(李洺)과 아버지 이굉(李汯)이 벼슬을 버리고 경상북도 안동의 낙동강가에 안동 임청각과 반구정(伴鷗亭)을 지어 은거자적(隱居自適)하였듯이, 이용도 세념(世念)을 끊고 강호에 자적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하겠다....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전기 신도비. 비석(碑石)은 고인의 사적(事蹟)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문장을 새겨 넣은 돌을 말한다. 비석의 종류에는 신도비(神道碑)가 포함되는데, 조선시대에는 종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만 세울 수 있게 제도화하였다. 이굉(李浤, 1440~1516)은 자는 심원(深源)이고, 호는 낙포(洛浦)·연생당(戀生堂)이며, 본관은 고성...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출토된 조선 중기 복식 유물. 1998년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택지 조성을 위해 고성이씨 문중 묘를 이장하던 중 일선문씨 묘가 발견되었고, 20여 일 후 손자인 이응태(李應台, 1556~1586)의 묘가 발굴되었다. 이응태의 묘에서는 총 75점의 유물이 수거되었다. 수의로 저고리와 바지에 철릭을 입고 있었으며, 소렴의(小殮衣)와 대렴의(大斂衣)에는...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출토된 조선 중기 복식 유물. 1998년 안동시 정상동에서 택지 조성을 위해 고성이씨 문중 묘를 이장하던 중, 이명정(李命貞, 1504~1556)의 합장묘(合葬墓)에서 미라가 발견되었다. 미라는 종8품 봉사(奉事)를 지냈던 이명정의 부인 일선문씨였다. 이명정의 관은 심하게 부식되었지만, 일선문씨의 관은 단단한 회곽묘 덕분에 관 내부가 그대로 유지되어 미라...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법정동. 귀래정 위쪽에 있으므로 정상동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 안동군 남선면(南先面)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정촌(亭村)·옹정곡(瓮井谷)·삼정곡(三井谷)·거부곡(巨夫谷) 등을 통합하여 정상리가 되었다. 1983년 안동시에 편입되었고,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와 통합되면서 안동시 정상동이 되었다. 1998년 행정동인 서구동(西區洞)...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고성이씨 동성 마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정촌(亭村)·옹정골·삼정곡·거부골·도트마리 등을 통합하여 정상동이라 하였다. 정상동 고성이씨 집성촌인 정촌마을은 귀래정(歸來亭)과 반구정(伴鳩亭) 등의 정자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굉(李浤)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김굉필(金宏弼) 일당으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고 영해로 유배되었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