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소를 넣고 둥글게 빚은 뒤 검은깨 고물을 묻힌 찰떡. 깨꾸리떡은 의례음식으로 편대에 떡을 괼 때 순서상 부편 위에 올라가는 검은깨를 묻힌 찰떡이다. 깨에 ‘굴린다(묻힌다)’고 하여 깨꾸리떡이라고 한다. 찹쌀을 씻어 불려 건진 다음 소금으로 간한 뒤 빻아 체에 내려 익반죽한다. 소는 볶은 콩가루에 꿀을 버무려 놓는다. 검은깨(흑임자)는 볶아 갈아 놓는다. 반죽...
-
닭 육수에 찹쌀과 생콩가루를 넣어 만든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안동 지역은 산이 많고 평야가 적으며 강수량이 적어 농업 조건이 열악한 편이다. 이로 인해 예로부터 안동 지역에서는 밭농사가 성행하여 특히 콩을 이용한 음식들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닭과 콩을 이용한 닭콩밴대기가 나온 듯하다. 이 음식의 특징으로는 영양소의 적절한 배합을 들...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종가의 조상 제사에서 차려지는 고임제물. 다른 지역과 달리 안동에서는 도적을 가장 주된 제물로 여긴다. 『예서(禮書)』에는 편적(片炙)이라고 하여 계적(닭)·육적(쇠고기)·어적(생선)의 3적을 각각 올리도록 되어 있다. 이들 3적을 모아서 적틀[炙臺]에 고임 형태로 높이 쌓는 것을 도적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이는 유교 이념의 강화에 의해 가문의식이 팽배해지면...
-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특산물인 마를 이용하여 만든 음식. 마(Dioscorea opposita Thumb)는 마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초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순수한 자연마를 밭에서 재배하여 토종마 또는 자연마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마를 먹어 왔는데 한자로 서여(薯蕷)가 바로 마를 일컫는다. 백제의 무왕(武王)과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善化公主)의 이야기에...
-
북어 살을 발라내어 조리한 경상북도 안동 지역 반가의 음식. 주로 마른 북어 살을 보푸라기를 내어 조리한 반찬류로 다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경상북도 지역의 고유한 향토음식이다. 북어 대신 대구포를 이용하기도 한다. 경상북도 지역의 종가 음식으로 제사상이나 어른 상에 많이 올리던 것으로 보아 이가 약한 어른들이 드시기 좋게 하기 위해 조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북어는 뼈를 발...
-
멥쌀가루에 채 썬 무를 섞어 팥고물을 얹어 만든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무떡은 나복병(蘿蔔餠)이라고도 하며 『부인필지(婦人必知)』에서는 “무를 얇고 넓게 저며 소금물에 담갔다 건져 쌀가루에 굴려 묻은 것만 두고 아니 묻은 것은 도로 굴려 그 무쪽을 시루에 안칠 적에 쌀가루에 대강 뿌려 찐다”라고 하였다. 『시의전서(是議全書)』에서는 멥쌀 대신 찹쌀을 쓴다고 기록되어 있다....
-
문어를 삶아 꼬치에 꿴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제례음식. 문어는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안의 100~1,000m 깊이에서 서식하는데, 여름에는 얕은 바다에서 주로 활동한다. 우리나라의 문어는 11월에서 이듬해 2월이 가장 맛있는 시기이다. 문어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이 풍부하며, 문어의 독특한 맛을 내는 주성분이 된다. 또한 지질, 당질이 적은 반면, 단백질이 높은 고단백 저지방 식...
-
문어를 삶아 얇게 저민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혼례·상례 음식. 문어는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안의 100~1,000m 깊이에서 서식하는데, 여름에는 얕은 바다에서 주로 활동한다. 우리나라의 문어는 11월에서 이듬해 2월이 가장 맛있는 시기이다. 문어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우린이 풍부하며, 문어의 독특한 맛을 내는 주성분이 된다. 또한 지질, 당질이 적은 반면, 단백질이 높은 고단백 저...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배추와 밀가루를 주재료로 만든 전(煎).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북부에서는 배추로 구운 전을 일상식은 물론 의례음식에서 결코 빠뜨리지 않는다. 다른 지역에서는 배추로 전을 붙일 경우 물이 생기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으나 안동 지역에서는 배추의 고유한 단맛과 시원한 느낌을 좋아하여 배추전을 선호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배추전을 해 먹는 경우가 거의 없는...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개고기를 주재료로 만든 탕.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는 예로부터 대소사의 접빈객(接賓客)을 위해 개장국 혹은 보신탕이 널리 이용되었는데,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재령이씨 집안에서 17세기에 정부인 안동장씨가 쓴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에는 개를 요리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소개되어 있다. 특히 안동시 풍산읍과 풍천면 구담리가 보신탕으로 유명하다. 안동시에는 다른...
-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산야에서 나는 식용이 가능한 야생 식물. 산야에서 자라는 식용이 가능한 야생식물을 모두 산나물이라고도 하지만 엄밀히 구분하면 산에서 자라는 산나물과 들에서 자라는 들나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나물종류 중 많은 경우가 들에서 자라기도 하고 산에서도 자라기도 하기 때문에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산나물은 대개 봄철에 채취를 하게 되는데 깊은 산속일수록 계절적으로 더...
-
상어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꼬치에 꿴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제례음식. 상어는 전 세계의 열대지방에서 한대지방에 걸쳐 깊은 바다에서 연안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다. 상어는 세계적으로 350여 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약 4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상어, 곱상어, 고래상어, 까치상어 등이 있는데, 보통 동해에서 잡히는 상어는 까치상어이다. 상어의 살에는 다량의 요소와...
-
멥쌀과 송기껍질을 이용하여 보릿고개 시절에 해 먹던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소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는 침엽수이다. 소나무는 양지식물로 다른 나무들이 자라기 힘든 메마른 곳에서도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잘 자란다. 안동 지방은 산악이 많고 건조하며, 총면적의 70%가 임야이다. 옛날에는 흉년에 구황식품(求荒食品)으로, 『기식송피제법(飢食松皮製法)』이라는 고문서에서 송...
-
수수가루로 만든 경단에 팥고물을 묻힌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떡. 수수의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와 인도이며, 주산지는 중국·중앙아시아이다. 세계 각지에 넓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다. 안동 지방은 임야가 70%를 차지하여 평야가 적으며, 토지가 척박할 뿐 아니라 강수량이 적고 한랭한 편으로 논농사보다 밭농사 발달하였다. 안동 지방에서는 밭작물로 보리·밀...
-
연한 쑥을 멥쌀가루에 버무려 쪄서 먹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쑥은 전국의 길섶, 논·밭둑, 산기슭, 강기슭 등 어디든지 군락을 이루고 자생하는 식물로, 「단군신화」에 등장한 이래 우리에게 아주 친숙하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줄기는 약용으로, 어린잎은 식용과 뜸쑥으로 사용한다. 쑥의 성분으로 특징적인 것은 칼슘, 섬유소, 비타민A, B₁, C와 다량의 엽록소를 가지고...
-
경상북도 안동의 양반가에서 여름철에 손님 접대에 많이 올리는 향토 음식. 종가집의 종부들도 만들기 어렵다고 하는 음식으로, 칼국수와 흡사하다. 국수를 삶아 찬물에 씻어 건진 상태에서 육수를 붓고 고명을 얹어 양념장으로 간을 맞추어 먹는 귀한 음식이다. 건진국수 만드는 법은 국수 빚기와 장국 만들기, 고명 준비로 나누어진다. 국수는 밀가루와 생콩가루를 섞어 반죽한 뒤 홍두깨로 밀어서...
-
밥에 무, 고춧가루, 생강 등을 넣고 엿기름에 삭힌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멥쌀이나 찹쌀을 무와 고춧가루, 생강 등의 향신료와 엿기름물에 버무려 3~4시간 발효 시킨 뒤 재빨리 냉온에서 식혀 하루 동안 숙성시킨 음료이다. 안동식혜는 전국에서도 안동문화권에서만 전해지는 대표적인 향토음식이다. 일반적으로 식혜라 불리는 음료와 구분하기 위하여 안동식혜라 불리고 있다. 맛이 시원...
-
경상북도 안동에서 유래한, 닭에 채소와 당면을 넣고 간장에 조린 향토 음식. 안동찜닭은 1980년대부터 안동의 재래시장에서 즐겨먹기 시작한 음식이다. 토막 친 닭고기에 각종 채소와 당면을 넣은 안동찜닭은 육류 요리이면서도 저렴하고 푸짐하여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짭짤하면서도 달콤하고 매콤한 맛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좋아한다. 많은 사람들이 안동찜닭을 안동의 전통...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곡류와 솔잎을 발효시켜 증류한 가양주(家釀酒). 영가주(永嘉酒)는 안동 지역에서 전하는 전통적인 소주 가운데 하나로, 명칭은 안동 지역의 옛 이름인 ‘영가군(永嘉郡)’에서 따 왔다. 현재는 안동 소재의 안동소주일품주식회사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주정 도수는 40%이다. 안동에 소주가 전해진 시기는 고려 충렬왕 때로 보인다. 1281년(충렬왕 7) 몽골군...
-
찹쌀가루 반죽을 쪄서 말린 다음 튀겨 꿀을 바른 뒤 고물을 묻혀낸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유과(油果)는 한국의 전통적인 과자류의 총칭으로 다른 말로는 유밀과(油密果)라고도 한다. 그러나 안동에서는 특히 기름에 튀겨 부풀린 과자에 고물을 묻힌 것을 유과라 부른다. 이러한 과자는 지역에 따라 산자, 강정, 유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조선시대에 쓰인 안동장씨(安東張氏,...
-
쇠고기 우둔살을 생으로 채 썰어 참기름과 소금에 버무리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소가 생육하기 좋은 자연환경과 소를 유통하기 좋은 지리적 환경이 합해져 안동은 예로부터 소로 유명한 지역이었다. 질 좋은 안동한우에 열을 가하지 않고 최소한의 양념만으로 만든 육회는 한우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이다. 낙동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은 자연이 청정하여 질 좋은 한우가 생...
-
경상북도 안동의 특산물인 은어로 만든 구이. 조선시대 임금님께 진상될 절도로 질이 좋은 은어가 서식하는 안동에는 은어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발달되었다. 그중에서도 산란기인 7~9월에 잡은 은어로 만드는 은어찜은 안동의 여름철 별미 음식이다. 은어는 민물에서 부화하여 바다로 갔다가 산란을 위해 다시 돌아오는 모천성 회귀어류로 대만, 중국, 일본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고...
-
손질한 잉어에 매콤한 양념과 콩나물을 얹어 쪄 먹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다른 지역과 달리 안동에서는 잉어로 찜 요리를 하여 즐겨 먹는다. 큼지막한 잉어에 양념을 듬뿍 올리고 콩나물을 곁들여 쪄낸 잉어찜은 안동 사람들이 즐겨 먹는 향토음식이다. 별식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특별한 날 외식이나 손님 접대를 위하여 주로 찾는다. 아시아와 유럽 대륙의 온대와 아열대 지방에 널리...
-
밀가루에 고추장이나 된장을 넣고 반죽하여 찌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밀가루에 된장이나 고추장을 풀어 반죽하여 쪄 먹는 장떡은 누구나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음식이다. 밥반찬이 되기도 하고 간식으로 먹기도 하는데, 재료도 간단하고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손님이 왔을 때 요긴하게 내놓는 음식이다. 주로 여름에 많이 먹었는데, 애호박이나 부추, 파, 풋고추...
-
찹쌀과 엿기름을 삭혀 만든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점주(粘酒)는 찹쌀과 엿기름을 섞어 삭혀 만든 것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감주 또는 식혜라고 불린다. 다른 지역 식혜가 밥알이 동동 뜨면 한 번 펄펄 끓이는 것에 비해 점주는 끓이지 않고 그대로 차게 식히므로 국물이 맑은 특징이 있다. 점주는 밥알이 점점이 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식혜에 비해 물이 많다고 하여 물...
-
칼국수와 조밥, 나물 반찬, 쌈 등을 함께 차려 먹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조밥칼국수는 안동 지역의 전통적인 면류 상차림의 하나로서 칼국수에 조밥과 각종 나물 반찬 그리고 쌈 채소를 곁들여 내는 것이다. 면과 밥과 쌈이 어우러져 보기에도 푸짐할 뿐 아니라 배가 쉬이 꺼지지도 않는다. 밭농사가 발달한 안동에서는 콩장이나 콩가루국, 콩가루찜과 같이 날콩가루를 이용한 음식이...
-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발효시켜 쪄낸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증편은 떡을 찌기 전에 발효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잘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안동 지역에서 여름철 떡으로 많이 먹는다. 안동 지역에서는 증편을 기지떡이라고도 한다. 이는 기지 잎을 고명으로 하며, 여름철 기제사에 주로 사용하고, 반죽에 술[起酒]을 이용하여 괴어 일어나도록 하기 때문이다. 먼저 멥쌀을 씻어 불려...
-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큼직하게 지진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 음식. ‘노치’는 ‘노티’가 구개음화를 일으켜 생겨난 명칭이다. 노티는 찰기장가루를 엿기름으로 삭혀서 지져 낸 유전병(油煎餠)으로 평안도 지역의 향토음식이다. 안동을 비롯한 경상도 지역에서는 찹쌀이나 찰수수를 이용하므로 차노치라고 하였다. 찹쌀가루나 찰수수가루를 지치로 분홍색 물을 들인 뒤 익반죽한다. 적당한 크기로 둥...
-
삶은 콩을 메주를 만들지 않고 곧바로 띄운 된장의 일종으로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일반적인 된장은 메주를 만들어 띄운 다음 겨우내 말렸다가 소금물에 담가 간장을 뺀 상태로 끓여 먹지만, 청국장은 삶은 메주콩을 곧바로 띄우기 때문에 고유의 향이 일반 된장보다 훨씬 강하다. 안동 지역에서는 메주를 쑬 때 삶은 콩을 별도로 남겼다가 청국장(듬북장)을 만들어 겨울철 별미로 먹는다...
-
시래기나물을 날콩가루에 버무려 끓인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안동 지역에는 콩을 재료로 한 음식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특히 날콩가루를 이용하여 다양한 채소류들과 버무려 찌거나 끓이는 음식들이 많다. 봄철에는 마늘잎이나 파 이파리 혹은 부추를 썰어서 날콩가루와 함께 쪄서 무쳐먹기도 하고, 여름이면 팥잎을 송송 썰어 그렇게 하기도 한다. 콩가루시래기국은 늦가을에 배추 잎이나...
-
돼지고기, 김치, 메밀묵을 넣고 끓인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메밀은 비옥하지 않은 토질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로, 원산지는 동북아시아, 만주, 몽골, 시베리아, 인도 등 고산지대이다. 우리나라에는 산간 지역인 강원도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토양이 척박하고 밭이 많은 안동 지방에서도 후기 작물로 메밀이 많이 재배되었다. 메밀은 필수 아미노산이 많고, 비타민 B₁, B₂도 쌀...
-
제사를 지내지 않았지만 실제 제사음식과 똑같이 음식을 차려 먹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향토음식. 헛제삿밥은 일종의 비빔밥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고서도 제사를 지낸 것과 똑같이 음식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다. ‘헛’은 참되지 못함을 나타내는 접두사이다. 헛제삿밥이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짜 제삿밥이다. 우리나라에는 제사를 지내고 나면 구성원들이 모두 모여 제수음식을 나누어 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