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금양강도의 터. 갈암 금양강도지(葛庵 錦陽講道址)는 갈암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이 만년에 금양정사(錦陽精舍)를 세워 후학들을 강학하던 곳이다. 이현일은 본관이 재령(載寧)이고,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이시명(李時明)의 아들이며, 영해 인량리에서 대대로 살았다. 퇴계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학행(學行)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새못골에 있는 조선 중기 사당. 경덕사(敬德祠)는 예안이씨 문중 이필간(李弼幹, ?~1514)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이필간은 본관이 예안(禮安)이고, 자는 충문(忠文)이다. 음보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냈으며, 1498년에 일어난 무오사화로 신진 사류들이 화를 입고 세상이 혼탁해짐을 한탄하였다. 이필간이 세상을 떠난 후, 아들 이영(李英)을 포함한...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고산서원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이상정(李象靖, 1710~178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이상정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이다. 14세에 외할아버지 이재(李栽, 1657~1730)를 사사하였다. 학문에 크게 힘써 문장·율려(律呂) 등 제도 문물에 대하여 연구하고 경학(經...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재사. 고성이씨 재사는 고성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李增, 1419~1480)과 정부인(貞夫人) 경주이씨의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한 재사로, 당호는 수다재(水多齋)이다. 이증의 자는 자겸(子謙)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한 후 음보(蔭補)로 진해·영산현감을 지냈다. 관직에 물러나서는 경상북도 안동의 학덕 있는 선비 12인과 함...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재사 및 사당.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재사 3동, 사당)은 광산김씨로서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가장 먼저 들어와 자리 잡은 농수(聾叟) 김효로(金孝盧, 1445~1534)와 김효로의 증손자 근시재(近始齋) 김해(金垓, 1555~1592)를 모시는 재사와 사당이다. 재사는 후조당(後彫堂)에 부속된 건물이다. 일곽 내에는 중...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귀암정사는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터전을 잡은 김근(金近, 1579~1656)의 위패를 봉안한 곳이다. 김근의 본관은 의성, 자는 성지(性之), 호는 오우당(五友堂)이다.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김안계(金安繼)의 아들이다. 1623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과거를 폐하였다가 주위의 권유로 다시 시작하여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수암(...
-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효자이자 유생.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공거(公擧), 호는 방담(方潭). 아버지는 권우신(權遇臣)이다. 권강은 경상도 안동부(安東府)에서 태어났다. 일찍부터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彥璣)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23세 되던 1589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오르지 않았다. 후에 향리에 머무르고 있던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을 찾아가 제자가 되...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금곡재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509-73번지[금소4길 25]에 있다. 약산 기슭에 남동향으로 터를 잡았다. 1810년(순조 10) 예천임씨의 발의로 금수서당(錦水書堂)으로 건립되었다. 상량문에 의하면 1849년(헌종 15)에 중수하였으며, 이후 이름을 금수서숙(錦水書塾)으로 바꾸었다. 1928년 예천임씨 입향조인 야...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당. 기양서당은 류의손(柳義孫, 1398~1450)과 류복기(柳復起, 1555~1617)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건물이다. 류의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효숙(孝叔), 호는 회헌(檜軒) 또는 농암(聾巖)이다. 1419년(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26년(세종 8) 식년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하였다. 그 뒤...
-
경상북도 안동시 노하동에 있는 조선 말기 정열효각. 김성범·일직손씨 정열효각(金成範·一直孫氏 旌烈孝閣)은 안동시 노하동 885번지에 세워져 있다. 노하동은 서후면과 경계 지점에 있는 마을로, 정열효각은 마을 한가운데에 위치한 마을회관에서 북쪽으로 170m 정도 떨어져 있다. 조선 순조 때 안동시 노하동에 사는 김해김씨 김전대(金塡大)가 갑자기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자, 부인과...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문. 김정근 효자문(金正根 孝子門)은 성균진사를 지낸 김정근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김정근 정려문이라고도 한다. 김정근은 1738년(영조 14)에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대직(大直), 호(號)는 낙북(洛北)이다. 김희맹(金希孟)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김옥경(金沃慶)이다. 1773년(영조 49) 증광...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농암사당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위패와 별본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분강서원(汾江書院)에 딸린 건물이다. 이현보는 1498년(연산군 4) 식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42년 호조참판에 올랐고 이듬해 상호군이 되고 자헌대부에 올랐다.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의 분강서원에 배...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사. 둔번초당은 의성김씨 3대 입향조 김을방(金乙邦)의 아들인 김축(金軸)의 묘를 수호하고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사이다. 김을방의 호가 둔번(遁煩)이다. 김을방은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고려가 망하자 향리 예안으로 물러나 요성산(邀聖山) 아래 집을 지어 '둔번초당(遁煩草堂)'이라 이름하고 이로써 호를 삼았다고 한...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망호리 남씨 영모사는 노애(魯厓) 남태백(南太白, 1559~1601), 운간(雲磵) 남태화(南太華, 1565~1591), 청천(晴川) 남태별(南太別, 1568~1635) 등 삼형제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166번지에 있다. 망호리 남씨 영모사는 1826년(순조 26) 건립되었다. 190...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려각. 정려각은 국가에서 풍습으로 권장하기 위하여 충신·효자·열녀 등 모범이 되는 사람을 표창하고자 그 사람이 사는 마을 입구나 집 앞에 세우는 것으로, 무실 정려각은 전주류씨 류성(柳城)의 처인 의성김씨의 정절을 기리고 있다. 의성김씨는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딸이면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누이로,...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정산리에 있는 문소김씨를 기리는 표열각. 문소김씨 표열각(聞韶金氏 表烈閣)은 흥해배씨 배재형(裵在衡, 1894~1919)의 부인 문소김씨의 효열(孝烈)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배재형은 한일병합 후 가족과 함께 만주로 옮겨 갔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활동하다가 갑자기 병이 들자, 문소김씨 부인은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이고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병 구환...
-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유생이자 효자. 본관은 원주(原州). 초명은 변중일(邊仲一), 자는 가순(可純), 호는 간재(簡齋). 증조부는 변광(邊廣), 할아버지는 변영청(邊永淸), 아버지는 생원 변경장(邊慶長),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정희순(鄭希舜)의 딸이다. 변중일은 안동부(安東府) 금계촌(金溪村, 현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서 태어났다. 18세 때인 임진왜란 당시...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효각. 변중일 충효각(邊中一 忠孝閣)은 간재(簡齋) 변중일(1575~1660)의 충성과 효행을 기려 건립한 것이다. 변중일은 임진왜란 당시 할머니와 어머니가 병을 앓고 있어 피난을 가지 못하고 간호를 하였다. 어느 날 왜병이 할머니를 해치려 하자 대신 죽겠다고 자청하였는데, 왜병이 효심에 감복하여 깃발과 칼을 신표(信表)로 주고 물...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사빈서원은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과 그의 아들 5형제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1685년(숙종 11)에 사림과 후손들의 공의로 건립되었다. 1709년(숙종 35) 동구 밖 사수(泗水)가로 이건하여 ‘사빈서원’이라 하였다가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고, 1882년(고종 19) 사림과 후손들...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사휴서당은 사휴당(四休堂) 김이성(金爾聲, 1609~1677)을 기리기 위한 서당이다. 김이성은 의성김씨 귀미 입향조 김근(金近)의 아들로,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이계(伊溪) 남몽뢰(南夢賚)·갈계(葛溪) 김도(金燾) 등과 도의로 교유하였다. 어려서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자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도학 연마와 가...
-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사. 산천정사는 1939년 산천(山泉) 이적(李適, 1566~?)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하였다. 이적의 아호를 따 산천정사(山泉精舍)라 이름 짓고, 아래 정사에 딸린 재사를 건립하였다. 이적의 본관은 고성(固城)이며 탑동파 파조이다. 유일재(唯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진중에서 활동하...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서산서원 관련 인물인 이색(李穡, 1328~1396)은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이다. 1341년(충혜왕 복위 2)에 진사가 되었고, 1348년(충목왕 4) 원나라에 갔다가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1351년(충정왕 3) 부친상을 당해 귀국, 1352년...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선현 제향과 교육을 위해 설치된 조선시대 사립교육 기관. 숭유 정책을 국시로 내세운 조선왕조는 성균관과 향교 등을 설립하여 유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였다. 그러나 15세기 후반부터 이러한 관학은 점차 쇠퇴하여 교육의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었다. 관학의 부진은 다른 한편으로 사학의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다. 관학 쇠퇴의 주요인이 교사의 무자격에 있었다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강당. 선원강당은 화산(花山) 권주(權柱, 1457~1505)가 공부하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운 강당이다. 권주는 1480년(성종 11)과 1481년(성종 12)에 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후 공조정랑, 사간원헌납, 도승지, 충청감사, 경상감사 등을 두루 거쳤으며,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명 외교에도 일익을 담당하였다. 1504...
-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교 단체. 성균관유도회 안동지부는 유교 문화의 함양과 유도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45년 성균관유도회 총본부가 서울에서 발족된 이후 1981년 1월 1일 성균관유도회 안동지부가 설립되었다. 봄가을에 치르는 석전제(釋奠祭)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치르는 제의 등과 같은 제례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84년 복철추...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및 재사. 수졸당(守拙堂)은 퇴계 이황(李滉)의 손자인 동암(東巖) 이영도(李詠道, 1559~1637)와 그의 아들 수졸당 이기(李岐, 1591~1654)의 종택이다. 수졸당은 이기의 아호이다. 재사는 이영도의 묘사를 지내는 곳인데, 이황 묘소가 건물 바로 뒤편 산에 있어 이황의 묘사 준비도 이곳에서 하고 있다. 이영도는...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시은당은 조선 후기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의 조부인 시은 이진(李珍)이 지은 정사이다. 이진은 시은당에서 수많은 제자를 가르쳤고, 이유장도 시은당에서 글을 배웠다. 건립 당시에는 바위를 갈고 닦는 것처럼 학문에 임해야 한다고 하여 마암정사(磨巖精舍)라고 부르다가 후에 이진의 호를 따 시은당이라 하였다. 시은당은 상리리 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안동 도산서원은 선비들이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과 월천(月川) 조목(趙穆, 1524~1606)을 함께 향사하면서 심신을 수양하고 학문을 연마하던 교육 시설이다. 이황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을 운영하고, 도산서당을 설립하여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전력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도산서원의 상덕사와 그 정문 및 담장. 도산서원 상덕사 부 정문 및 사주토병은 도산서원에서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는 공간인 상덕사(尙德祠)와 그 정문 및 담장이다. 상덕사에는 이황뿐만 아니라 제자인 월천 조목(趙穆, 1524~1606)의 위패도 함께 있다. 조목의 위패가 처음 봉안된 것은 1...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도산서원 내에 있는 조선 중기 강당. 도산서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도산서원의 부속 건물인 전교당은 유생들의 자기 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는 강당이다. 이황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안동 병산서원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류성룡은 본관이 풍산(豊山)으로, 1564년(명종 19) 사마시를 거쳐 도승지·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 등 많은 관직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시에는 영의정으로 왕을 호종하고, 성곽 수축·화기 제작을 비롯하여 군비 확충에 힘썼으며...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재사. 송석재사는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안동성을 지키는 데 큰 공을 세웠던 대박(大朴) 김철(金澈, 1569~1616)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한 집이다. 조선 중기 임하면 사의리에 세워졌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7년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정침을 중심으로 좌·우익사를 두고 앞면에는 5칸의 누각을 설치하여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안동권씨 가문의 재사.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서후면사무소에서 북으로 뻗은 길과 안동과 옹천 사이의 길에서 봉정사 쪽을 향해 뻗은 길이 만나는 지점에서 봉정사 쪽으로 조금 더 나아가면 안동 안동권씨 능동재사가 있는 골짜기가 나타난다. 골짜기는 깊게 사선으로 찢어져 올라간다. 골짜기의 초입에는 커다란 규모의 비각이 있고, 재사는 그 위쪽...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 안동권씨 소등재사는 안동권씨 권태사(權太師)의 18세손인 권곤(權琨, 1427~1502)의 묘를 수호하고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사로, 일명 ‘추원재(追遠齋)’라고도 부른다. 권곤은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안동 안동권씨 소등재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 303번지[서동골길 94-26] 권...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와룡면 소재지의 안동 쪽 끝부분으로 가면 정산으로 향하는 2차선 도로가 있다. 그곳에 마련된 시멘트 다리를 건너서 가다 보면 안동댐과 연결된다. 남흥재사의 표석은 이 길의 초입, 시멘트 다리 입구에 자리 잡고 있다. 남흥재사는 더 나아가 중가구리 마을의 가장 위쪽에 자리 잡고 있다. 남흥재사는 낮은 산이 원형을 이루며 둥그렇...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재사(齋舍)란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서 마련한 살림집으로 현재 영남 지방에 많이 남아 있다. 안동 영양남씨 재사는 문신 남창년(南昌年, 1463~?)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세운 건물이다. 합각마루와 추녀마루의 망와 명문 기록으로 보아 1826년(순조 26)경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창년은 조선 영조 때 문과에...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는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묘제(墓祭)를 위하여 건립된 재사이다.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다만 안동 의성김씨 서지재사에서 약 50m쯤 떨어져 있는 학봉 신도비(鶴峰神道碑)의 건립 연대가 1634년(인조 12)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학봉 신도비보다 늦은 1700년...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 장태사공 성곡재사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지대한 공을 세운 삼태사의 한 사람인 안동장씨(安東張氏) 장정필(張貞弼)의 제단을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한 집이다. 또 다른 삼태사로는 김선평(金宣平)과 권행(權幸)이 있다. 태조는 김선평을 대광(大匡)으로, 권행과 장정필을 각각 대상(大相)으로 임명하고 고창군을...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제청. 지촌제청은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 1623~1695)의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제청의 규모로는 비교적 큰 편인데, 전면 우측에 있는 지산서당이 협소하여 강학에 어려움이 있자 후학을 위한 강당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원래 지촌제청이 있던 지례마을은 예로부터 도원향(桃園鄕)이라 불릴 만큼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곳이었다. 지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명리에 있는 조선 후기 진성 이씨 재실. 안동 진성 이씨 두솔원 재사는 진성 이씨 안동 입향조인 송안군(松安君) 이자수(李子脩)의 묘소와 묘제를 받들기 위해 지은 재실이다. 2011년 6월 2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588호로 지정되었다. 명리 산기슭에 있다. 주변에 안동 학가산 온천, 안동 과학 대학교, 서후면사무소 등이 위치해 있다. 1700년대에 현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청성서원은 조선 중기의 학자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1532~1587)을 추모하는 서원이다. 권호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제자이며, 류성룡(柳成龍, 1542~1607)·김성일(金誠一, 1538~1593) 등과 깊이 사귀었다. 만년에 덕망이 더욱 높아져 문인들의 출입이 잦았으며, 참봉·교관(敎官)...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재사. 안동 숭실재는 풍산부원군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의 묘제를 위해 지어졌다. 류중영은 서애 류성룡(柳成龍)의 부친이며, 중종 때 문신으로 경연관으로서 활약하였다. 안동 숭실재가 위치한 서후면 성곡리 능동의 골짜기는 남향으로 좁직하고 길게 열려 있다. 골짜기의 남쪽 끝은 서후면 소재지와 저전삼거리로 이어지는 2차선의 굽...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사. 안동 하회마을 겸암정사는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이 학문 정진과 제자 양성을 위해서 지은 정사이다. 류운룡은 15세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에 힘썼으며, 이황이 향리인 도산에 서당을 열었을 때 제일 먼저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황 또한 류운룡의 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사.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는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이 서재로 사용하던 정사이다. ‘빈연(賓淵)’이라는 이름은 부용대 아래의 심연(深淵)을 빈연이라 부른 데서 비롯한 것이다. 류운룡은 15세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에 힘썼으며, 이황이 향리인 도산에 서당을 열었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사.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이 평소 가깝게 지내던 탄홍(誕弘)의 도움을 받아 지은 것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던 곳이다. 류성룡의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인으로, 대사헌·경상도관찰사 등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사.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가 대대로 살아온 곳으로 빼어난 자연 경관과 민속 전통·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양반촌이다. 하회 원지정사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이 부친상을 당하자 낙향하여 건립한 정사로, 류성룡이 병이 났을 때 요양하던 곳이기도 하다. 원지(遠志)는 약초의 일종인 소초(小草)...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2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후산정사는 진성이씨 일직파 이종수(李宗洙, 1722~1797)가 건립한 정사이다. 이종수는 안동부 일직현에서 처사 이덕삼(李德三)과 의성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종수는 평생을 향리에서 학문 생활로 일관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에서 국도 5호선을 따라 의성 방향으로 13㎞ 정도 가면 중앙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진입 도로가 나오는데,...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재사. 안동권씨 말산재사는 안동권씨 도촌파 문중의 선조인 가립(可立) 권심행(權審行, 1517~1565)의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모시기 위한 건물이다. 안동권씨 말산재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 649번지[하양지길 25]에 있다. 야산 동쪽 산자락 끝에 남향하여 권심행의 묘가 있는 건너편 말산을 바라보고 있다. 안동권씨 말산재사...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안동권씨 송파재사는 안동권씨 복야공(僕射公) 권수홍(權守洪)의 묘단(墓壇)과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의 인물인 송파(松坡) 권인(權靷)의 묘소를 수호하고 묘제(墓祭)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권인은 고려 후기에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냈고,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경상북도 안동 지역으로 내려와 절의를 지켰다고 한다....
-
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안동김씨 종회소는 본래 삼태사(三太師)의 한 사람인 김선평(金宣平)을 모시기 위한 사당으로 건립되었다. 김선평은 고려 전기의 공신으로 본관은 안동이다. 930년(태조 13) 태조가 견훤(甄萱)과 싸울 때, 경상북도 안동에서 권행(權幸)·장길(張吉)과 더불어 태조를 도운 공으로 대광(大匡)에 임명되었다. 뒤에 벼슬이 삼한벽상공신삼중대광...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안동김씨 가문의 재사. 안동김씨 태장재사는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묘단을 지키고 제사를 받들기 위해 1750년(영조 26)에 건립되었다. 1653년(효종 4)에 처음 지어진 안동권씨 능동재사에 비해서는 1세기 정도 늦은 셈이다. 이 100년의 시차는 조선왕조의 가문 의식이 틀을 잡아가던 시기에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다른 경우보다 의미...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생담정사는 의성김씨 입향조 김근(金近, 1579~1656)의 정사이다. 김근의 자는 성지(性之), 호는 오우당(五友堂)이다. 김용(金涌)의 문인으로 류진(柳袗)·정영방(鄭榮邦) 등과 교유하였으며, 1623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저서에 『오우당집(五友堂集)』과 『사금록(沙金錄)』이 있...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안동 세덕사는 행정(杏亭) 탁순창(卓順昌, 1495~1593)의 6대조 경렴정 탁광무(卓光茂)와 5대조 탁신(卓愼)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1699년(숙종 25)에 세운 사당이다. 탁순창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임진왜란 때 훈련대장을 역임하였다. 건물은 정문을 비롯하여 강당인 추원당(追遠堂)과 사당인 세덕사 등 모두 3동으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精舍). 안동 이로당(安東 怡老堂)은 호봉(壺峰) 이돈(李燉, 1568~1624)이 학문과 마을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이돈은 자는 광중(光仲)이고, 호는 호봉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601년(선조 34) 명경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사헌부지평, 예조정랑 등을 거쳤다. 1612년...
-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유교 단체. 안동청년유도회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유교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겨 사회봉사에 앞장서고 민족 문화의 창조적 계승 사업에 동참하는 단체이다. 향교는 지방에서 유학 교육과 성현에 대한 제사를 담당하며, 지역별로 조직된 유교인들의 모임인 유교회는 사회봉사 단체의 성격을 띤다. 안동청년유도회는 유교의 근본 가르침에 입각하여 바른 덕성과 절조 있는 행동으...
-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에 있는 조선 중기 사묘. 안동 태사묘는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삼태사, 즉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정필(張貞弼)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건립 당시에는 삼공신 묘(三功臣廟)라 하였는데, 1613년(광해군 5) 중건과 더불어 이름을 태사묘(太師廟)라 개칭하였다. 930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고려 태조와 후백제의 견훤이...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의 향교. 안동향교는 고려시대에 건립하여 조선시대까지의 유생들의 교육에 힘써 온 국립 중등 교육 기관이다.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들을 배양하였으며, 조선시대까지 중등 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예안향교(禮安鄕校)와 더불어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유학 교육과 보급에 힘써 지금까지도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위대...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안동향교에서 지내는 제사. 석선제는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 文宣王)를 비롯한 4성(四聖) 10철(十哲) 72현(七十二賢)을 제사지내는 의식이다. 석전이라는 이름은 ‘채(菜)를 놓고[釋], 폐(幣)를 올린다[奠]’에서 유래한다. 처음에는 간략하게 채소만 놓고 지냈으나 뒤에는 고기·과일 등 풍성한 제물을 마련하여 지냈다. 안동향교에서는 봄(음력 2월...
-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정자 및 재사. 어은정이라는 당호는 어은(漁隱) 이용(李容)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어은’이란 아호에는 이용의 할아버지인 이명(李洺)과 아버지 이굉(李汯)이 벼슬을 버리고 경상북도 안동의 낙동강가에 안동 임청각과 반구정(伴鷗亭)을 지어 은거자적(隱居自適)하였듯이, 이용도 세념(世念)을 끊고 강호에 자적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하겠다....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안동대학교 내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서원. 역동서원은 고려 말기 학자 우탁(禹倬, 1263~134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이다. 우탁은 고려 후기 정주학(程朱學) 수용 초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천장(天章) 또는 탁보(卓甫, 卓夫), 호는 백운(白雲)·단암(丹巖)이다. 흔히 ‘역동선생(易東先生...
-
전통시대 안동에 살았던 효부나 열부. 전통적으로 열녀란 남편이 죽어서 개가할 수 있는데도 개가하지 않는 여인을 뜻하였으나 조선 후기 주로 상층 지식인들이 엮은 한문본 『열녀전(烈女傳)』에는 대체로 남편을 따라 죽은 소위 종사(從死) 여인들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어, 결과적으로 열(烈)과 죽음을 밀접하게 연계시키는 관습을 만들었다. 열녀 개념의 변모를 살펴보면, 조선 초기에 나온 『...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예안이씨의 정충각과 정효각. 예안이씨 정충·정효각(禮安李氏 旌忠·旌孝閣)은 예안이씨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8~1594)과 용눌재(慵訥齋) 이한오(李漢伍, 1719~1793)의 충절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이홍인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다가 1594년(선조 27)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당시 공로를 밝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에 있는 조선 전기 지방 교육 기관.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서 국가에서 세운 교육 기관이다. 조선시대의 향교는 나라로부터 노비, 토지, 서책 등을 지급받고 교관이 파견되어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나, 1894년 갑오개혁 이후로는 신식 학제가 실시됨에 따라 교육의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거행...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과 그에 딸린 강당. 오미동 도림강당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과 그의 자제 8형제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추원사와 그에 딸린 강당을 말한다. 도림강당은 1805년(순조 5)에, 추원사는 1806년에 세웠다. 추원사는 강당의 후면 우측에 높은 단을 조성하여 동향으로 앉히고 낮은 토석 담장으로 둘러쌓았다....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운곡서당은 조선 후기 학자인 금옹(錦翁) 김학배(金學培, 1628~1673)와 적암(適庵) 김태중(金台重, 1649~171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세운 서당이다. 김학배와 김태중이 학문을 가르쳤던 곳의 지명을 따서 운곡서당이라 이름 지었다. 김학배는 1663년(현종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이...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지리에 있는 조선 중기 재사. 운천재사는 조선 중기 문신인 운천(雲川) 김용(金涌, 1557~1620)과 부인 이씨의 묘소를 지키기 위하여 1639년(인조 17)에 장재산을 조산(祖山)으로 하여 전면의 반변천(半邊川)을 바라보면서 건립되었다. 지동재사(枝洞齋舍)라고도 한다. 김용은 조선 선조 때 사람으로 자는 도원(道源), 호는 운천, 본관은 의성이다. 34...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재사. 원사암(遠思庵)은 창건 당시 사암(思庵)이라고 불렀는데, 김만휴(金萬烋, 1625~1694)가 1685년(숙종 11) 무렵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원사암이라 이름 붙였다. 이와 같은 사정은 김만휴가 찬한 「이건상량문(移建上樑文)」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사암에 모셔진 김자강(金自江)은 음직으로 참봉과 무과에 올라 훈련원참군을...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당. 월천서당은 월천(月川) 조목(趙穆, 1524~1606)이 후진을 지도하고 수학하기 위해 건립한 서당으로, 현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썼다. 조목은 이황의 제자이며 1552년(명종 7)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봉화현감·장악원정(掌樂院正)·공조참의(工曹參議)를 지냈다. 조목은 원래 벼슬에...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의성김씨 청계 종가에서 제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마련한 토지. 조상들의 제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조성한 위토(位土)를 관리하는 조직을 소(所)라고 하는데, 대개 조상마다 별도의 위토가 있는 까닭에 이들 조직 역시 복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청계공파의 경우 현재 총 9개의 소를 보유하고 있다. 제위소(祭位所)는 김진(金...
-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유학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이르는 말. 유교는 공자를 시조(始祖)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으로 공교(孔敎) 또는 공자교(孔子敎)라고도 한다. 삼강오륜을 덕목으로 하며 사서삼경을 경전으로 한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이자 정치학이며 수천 년 동안...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한서암의 문. 유정문(幽貞門)은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유정문과 명칭이 동일하다. 두 곳 모두 이황이 만들고 이름을 지은 것으로, 의미 또한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 도산서당의 유정문은 이황이 도산서당과 주위의 자연을 칠언시와 오언시로 노래한 『도산잡영(陶山雜詠)』 가운데 한 가지이다. 이때 유정이란 ‘그윽하고 바르다’는 뜻이다. 이는...
-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에 있는 조선 중기 서당. 은곡서당은 조선 중기 학자 은곡(隱谷) 박진(朴璡, 1477~1566)이 건립한 서당이다. 박진의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자는 자진(子珍)이다. 1549년(명종 4) 동지의금부사에 제수되었으나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과 후진 양성에 힘썼다. 은곡서당은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337-3번지[석동길 38] 안동대학교 뒤편에 위치...
-
조선 후기 이중건의 부인인 의성김씨의 정려문. 의성김씨 정려문(義城金氏 旌閭門)은 1854년(철종 5) 의성김씨의 정절을 기리기 위해 부인이 살았던 도산면 토계리에 지은 것이다. 의성김씨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12세손인 이중건(李中健)의 부인이다. 김씨는 결혼 후 남편 이중건이 오랫동안 중병을 앓자, 밤낮으로 정성을 다해 간호하였다. 그러나 남편은 결국 세상을 떠났으며, 김...
-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안동 지역에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의로운 활동을 한 인물. 안동은 예로부터 충효의 고장, 선비의 고장으로 나라가 어려운 형편에 처했을 때 많은 의로운 이들이 떨쳐 일어났다. 대표적인 예로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을 한 이들, 일제강점기에 나라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사람들을 들 수 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은 5월 4...
-
이황(李滉)은 조선 중기, 성리학 문화를 완성하고, 성리학을 학문화한 사람이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이 만년에 머물러 공부하고 제자를 길러 냈던 도산서당을 기반으로 하여 퇴계 이황이 타계한 후 서원으로 확장 발전한 곳이다. 역사 속에서 이황의 역할은 무수한 제자들을 양성함으로써 시대를 바꾸어 내는 전위대를 등장시킨 데 있다. 도산서당은 교육자 이황이 있게 하였던 바탕이고, 도산서원...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임천서원은 조선 선조 때 문신이며 학자인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1607년(선조 40) 임하현에 임천향사(臨川鄕社)를 세워 위패를 모셨다가 1618년(광해군 10) 임천서원으로 사액되었다. 1847년(헌종 13)에는 석문정사 서편 엄곡촌으로 이건되었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
-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 임천서원 내에 있는 조선 중기 강당. 임천서원 강당은 조선 선조 때 문신이며 학자인 학봉(鶴峯) 김성일(金成一, 1538~1593)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다. 김성일은 이황(李滉, 1501~1570)의 제자로 1568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이조좌랑·병조좌랑·함경도순무어사(咸鏡道巡撫御使)·대사성(大司成)·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당시에...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물한리에 있는 조선 전기 강당 및 주사. 작산 구강당 및 주사는 이자수(李子脩)의 유덕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웠다. 이자수는 진보현(眞寶縣) 출신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1361년(공민왕 10) 침입한 홍건적을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워 송안군(松安君)에 봉해졌다. 작산 구강당 및 주사는 1480년(성종 11) 건립되었다. 학문을 강론...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물한리에 있는 조선 전기 진성이씨 가문의 재사 및 정사. 작산정사는 송안군(松安君) 이자수(李子修)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손의 학문 연구를 위하여 1480년(성종 11)에 이황(李滉)의 조부 3형제가 창건하였으며, 가창재사는 이정(李楨)의 유덕을 추모하는 곳으로 1480년 작산정사와 함께 건립하였다. 가창(可倉)은 작산(鵲山)의 옛 이름이다. 작산정사 및 가창...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주류씨 가문의 재사. 전주류씨 호암재사는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과 지제교, 연안부사를 지낸 류극서(柳克恕, ?~1388)의 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 재실 터에는 신라시대 사찰인 성천사(聖泉寺)가 있었다고 한다. 이는 사찰을 재사로 개수하였다는 것이다. 유빈고을은 류빈이라는 사람의 이름을 취해 고을...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충문. 정충문(靖忠門)은 정평공(靖平公) 손홍량(孫洪亮, 1287~1379)의 충성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려문이다. 손홍량은 본관은 일직(一直)이고, 호는 죽석(竹石)이다. 본성(本姓)은 순(荀)이었으나, 현종의 이름과 같아 5대조 손응(孫凝) 때 손(孫)이라는 성씨를 하사받은 일직손씨 후손이다. 아버지는 합문지후(閤門祗侯)를 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당. 지산서당은 지촌(芝村) 김방걸(金邦杰, 1623~1695)의 유덕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과 고을의 선비들이 세운 서당이다. 김방걸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1660년(현종 1)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승지·대사간·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번지[지례예술촌길 390] 지...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렬각. 진천송씨 정렬각(鎭川宋氏 貞烈閣)은 임증수(林曾秀)의 부인 진천송씨를 기리는 정렬각이다. 송씨 부인은 폭우가 쏟아져 산사태로 남편과 자식이 죽자, 시신을 찾아내 장사 지낸 뒤 자신도 남편과 자식의 뒤를 따랐다. 이에 후손들이 부인의 정려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1927년 정렬각을 세웠다. 진천송씨 정렬각은 북후면 신전1리 산...
-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조선 말기 재실. 추원재는 고려 후기 충신이며 효자인 상촌(桑村) 김자수(金自粹)의 어머니인 일직손씨(一直孫氏)의 묘소 아래에 있는 재실로, 김자수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김자수는 1351년(충정왕 3)에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금곡동에서 태어났다.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에 올랐으나 고려왕조가 망하자 절의를 지켜 은둔하였다...
-
1556년(명종 11) 퇴계 이황이 예안의 향촌 교화를 위해 작성하였던 자치 규약. 퇴계향약은 향촌 교화의 절실한 필요에서 예안의 재지 사족들에 의해 추진되고 마련되었다. 따라서 퇴계(退溪)뿐만 아니라 일찍이 농암(聾巖) 이현보(李賢寶)도 향약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농암은 예안의 풍속이 아름답지 못함은 민의 유망(流亡)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씨향약을 실시...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려각. 풍산김씨 정려각(豊山金氏 旌閭閣)은 류홍춘(柳弘春)의 부인 풍산김씨(豊山金氏)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교남지(嶠南誌)』에 “남편(류홍춘)이 관의 곡식을 축냈다는 누명을 쓰고 체포되어 욕된 형을 받고 집으로 돌아와 억울함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에 김씨는 혈서를 써 상경하여 쟁명(錚鳴)을 울리고 진상을...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에 있는 조선 중기 풍산류씨 가문의 재사. 안동시 풍산읍 수리 50번지[수석길 6-89]에 위치한다. 풍산과 안동 사이 국도에서 풍산읍의 동쪽 경계 부분과 안동시의 서쪽 끝 송야교 부분을 이어주는 길로 들어서면 중간쯤 되는 지점에 수동이 있다. 수동은 풍산들의 서북쪽 한 끝을 호선으로 감싸고 있는 산자락 끝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수동마을 뒷산에 서...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호계서원은 조선 중기 지방 유림들의 공론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위패를 봉안하고 후학들에게 학문을 강론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이후 1620년(광해군 12)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과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였다. 현재 이황은 도산서...
-
전통시대 효행으로 이름난 안동 출신의 인물. 전통사회에서 효(孝)는 유교 윤리(인의예지) 중 가장 근본이 되는 항목으로 여겼으며, 가정에서의 효는 곧 나라와 임금에 대한 충성의 기초로 여긴 가장 중요한 도덕이었다. 효자는 가계의 연속이 중요시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에서 생겨난 산물이다. 나라에서는 효행을 적극 권장하였고, 암행어사의 암행 활동에서도 효자를 천거하는 일이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