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되는 말과 행동. 금기어는 사람의 어떠한 행위나 언사가 자신 및 타인에게 나쁜 해가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온 말이다. 금기어는 대부분 ‘무엇 무엇을 하면 무엇이 나쁘다’처럼 두 소절로 된 말로서 부정적인 뜻이 있다. 이런 금기어는 인간생활에 있어 경계와 주의를 주고 금지와 꺼림을 인식하게 하여 어떠한 행동과 말...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속신어의 하나로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길조어는 대부분이 ‘무엇 무엇을 하면 무엇이 좋다’처럼 두 소절로 된 말이다. 인간·물품·동물·식물·토지·영혼·미신·제사 등의 자연현상과 인간생활의 모든 형상에 그 토대를 두고 형성 및 구전되어 왔다. 어떤 행동을 하면 복이 오거나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이라는 내용의 의미...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민중들이 격언처럼 사용하여 온 말. 속담은 민중의 지혜가 담겨진 언어 표현 양식이다. 속담에는 민중이 삶의 과정에서 겪은 생각과 태도가 담겨 있고, 더불어 그들의 생활관습과 신앙까지도 내포되어 있다. 상대방에게 어떤 의사를 전달하고자 할 때 비록 짧은 문장이기는 하지만 적절한 속담을 인용해서 이야기하면 의사 전달의 효과가 높다. 왜냐하면 속담은 일정한 말투의...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사물의 뜻이나 모양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빗대어서 알아맞히는 말놀이로서 안동 지역에서는 ‘수수저까이’ 또는 ‘수지적금’이라고 한다. 수수께끼는 주로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구연으로 화자와 청자 쌍방이 참여하며, 질문과 대답으로 이루어진다. 은유적 표현이라고는 하지만...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쓰이는 특유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안동방언은 공통어나 표준어와는 다른 어떤 지역의 특유한 단어나 특징적인 언어 체계를 말한다. 이를 ‘안동사투리’, ‘안동말’이라고도 한다. 방언이란 한 언어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를 하는 동안 분열의 과정을 겪은 결과로서 생성된다. 방언은 한 개별 언어의 하위 형식으로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언어 형식으로서 일정...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쓰이는 특이한 단어나 언어적 현상. 언어란 사람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는 음성 언어인 방언이나 문자 언어인 표기법 따위의 사회 관습체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 언어의 지역적·사회적인 변종으로서 일정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특색 있는 방언을 비롯한 민담·전설 등은 음성으로 실현되는 음성언어와 문헌 자료를 통해서 확인되는 말이나 소리를...
류창석이 편찬한 안동 지역 방언 자료집. 『첨절 안곘디껴』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무실 출신인 류창석이 3년에 걸쳐 수집 정리한 안동방언 자료집이다. 이 책은 현대의 편리한 산물에 밀려 사라질 위기에 처한, 안동 지역 어른들이 수백 년간 사용하던 생생한 안동의 토박이말을 살리고 보존하기 위해 간행되었다. 이 책의 제목인 ‘첨절 안곘디껴’는 “안녕하셨습니까?”라는 안동 말에 그치는...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속신어의 하나로 인간에게 해로움을 가져다주는 부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흉조어는 직접 경험할 수는 없으나 생활 속에서 습득하면서 앞으로 일어날 지도 모를 부정적인 일에 대해 주의와 경계를 하기 위한 말이다. 안동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흉조어는 인간·동물·곤충·새·관상·날씨·통과의례·꿈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힘이 미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