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397
한자 柳致明
영어음역 Ryu Chimyeong
이칭/별칭 성백(誠伯),정재(定齋),유치명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주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777년연표보기
몰년 1861년연표보기
본관 전주
대표관직 병조참판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백(誠伯), 호는 정재(定齋). 할아버지는 류성휴(柳星休), 아버지는 류회문(柳晦文),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이다. 외증조부는 이상정(李象靖)이다. 아들이 세산(洗山) 류지호(柳止鎬), 손자가 수촌(水村) 류연박(柳淵博), 증손자가 일창(一滄) 류동시(柳東蓍), 고손자는 류광준(柳光俊)이다.

[활동사항]

류치명은 외가인 안동부 소호(蘇湖, 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서 출생하였다. 이상정의 문인인 남한조(南漢朝), 류범휴(柳範休), 정종로(鄭宗魯), 이우(李瑀)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05년(순조 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부정자, 성균관전적,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세자시강원문학 등을 거쳐 1831년 전라도장시도사(全羅道掌試都事)가 되었다.

1832년 홍문관교리가 되었고 1835년(헌종 1) 우부승지가 되었다. 그 뒤 초산부사(楚山府使), 공조참의를 거쳐 1847년 대사간이 되었다. 1853년(철종 4) 가선대부에 오르고 한성좌윤, 병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855년 장헌세자(莊獻世子, 사도세자)의 추존을 청하는 상소를 하였다가 대사간 박내만(朴來萬)의 탄핵을 받고 상원에 유배되었고 이어 지도(智島)에 안치되었다가 같은 해 풀려났다. 1856년 가의대부에 올랐으나 다시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1857년 제자들이 지어준 뇌암(雷巖)의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그 뒤 1860년 동지춘추관사가 되고 다음 해 85세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사상]

류치명은 경학(經學), 성리학(性理學), 예학(禮學) 등 여러 분야에 정통하여 학문적으로도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성리설에 있어서는 이상정의 학설을 계승하여 이(理)를 활물(活物)로 보고 이의 자발적 동정(自發的動靜)에 의해 기(氣)가 동정할 수 있다고 보아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있어 ‘기발이승(氣發理乘)’을 주장한 이이(李珥)의 학설을 공격하였다. 이는 능동능정(能動能靜)하는 신용(神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자발적 동정으로부터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기가 나오며, 이가 우주의 무체적(無體的)인 실체(實體)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학맥으로 보면 이황(李滉)-김성일(金誠一)-장흥효(張興孝)-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문하에 이진상(李震相), 류종교(柳宗喬), 이돈우(李敦禹), 권영하(權泳夏), 이석영(李錫永), 김흥락(金興洛) 등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정재집(定齋集)』이 있으며, 저술로 『예의총화(禮疑叢話)』, 『가례집해(家禮輯解)』, 『학기장구(學記章句)』, 『상변통고(常變通攷)』, 『주절휘요(朱節彙要)』, 『대학동자문(大學童子問)』, 『태극도해(太極圖解)』, 『대산실기(大山實記)』, 『지구문인왕복소장(知舊門人往復疏章)』 등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무실에 있다.

[상훈과 추모]

초산부사로 있을 때에는 진정(賑政)에 힘쓰고 환곡(還穀)·전결(田結)에 따른 시폐(時弊)를 교정하는 등 여러 가지 치적을 쌓아 초산 부민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짓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