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131
한자 豊山柳氏
영어의미역 Pungsan Ryu Clan
이칭/별칭 하회류씨(河回柳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집필자 김복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집성촌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지도보기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지도보기
입향시기/연도 15세기 초
성씨시조 류절(柳節)
입향시조 류종혜(柳從惠)

[정의]

류절을 시조로 하고 류종혜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세거 성씨.

[개설]

안동의 풍산류씨는 시조 류절(柳節)의 6세손 류종혜(柳從惠)가 조선 초 하회에 정착한 이후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크게 번창한 가문이다.

[연원]

풍산류씨는 고려 때 호장을 지낸 시조 류절의 증손 류백(柳伯)충열왕 때 출사하여 가문을 일으켰고 류절의 6세손 류종혜가 조선 초 공조전서를 지내고 풍산현으로 낙향하여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

[입향경위]

류종혜는 친구인 배상공(裵尙恭)과 함께 산수가 아름다운 하회촌으로 이거하였다. 이후 배상공의 아들 배소(裵素)의 사위 권옹(權雍)이 이어서 살게 되고 류종혜의 손자 류소(柳沼)가 권옹의 사위가 되어 다시 하회촌으로 복귀한 이래로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류소의 큰아들 류자형(柳子泂)의 후손은 자형의 아들 류공지(柳公智)가 예안 서촌에 살던 영양김씨(英陽金氏)의 사위가 되면서 예안으로 이거하였으나 현황은 알 수 없다.

류소의 둘째 아들 류자온(柳子溫)은 진사에 급제하고 아들 4형제를 두었는데 맏아들 류공작(柳公綽)은 간성군수를 지냈고, 류공작의 아들 입암(立巖) 류중영(柳仲郢, 1515~1573)은 1540년 문과에 급제하여 내 외직을 두루 거치고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에 추봉되었다. 류중영의 아들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은 원주목사,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은 영의정이 되었다. 이들의 후손은 각각 겸암파와 서애파로 분류된다.

류자온의 둘째 아들 류공권(柳公權)도 문과에 올라 공조좌랑을 지냈고 류공권의 아들 귀촌(龜村) 류경심(柳景深, 1516~1571)은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대사헌, 평안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류운룡의 증손 회당(悔堂) 류세철(柳世哲, 1627~1681)은 1666년 복제 문제를 논하는 영남유림소의 소수(疏首)가 되었고, 우헌(寓軒) 류세명(柳世鳴, 1636~1690)은 문과를 거쳐 병조정랑 홍문관교리를 지냈고 도학에 깊었다. 류세철의 증손 류영(柳泳, 1687~1761)은 『겸암문집(謙菴文集)』과 『풍산류씨족보(豊山柳氏族譜)』를 편찬·간행하고 퇴락한 겸암정사(謙菴精舍)를 중수·복원하였다.

류성룡의 셋째 아들 수암(修巖) 류진(柳袗)은 풍수지리설을 따라 상주 낙동으로 이거하였는데 고종 때 좌의정을 지낸 류후조(柳厚祖, 1798~1876)가 그의 7세손이다. 서애 류성룡의 장손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 1598~1674), 현손 주일재(主一齋) 류후장(柳後章, 1650~1706), 6세손 임여재(臨汝齋) 류규(柳氵+奎) 등은 학문과 도덕으로 추앙되었다.

류원지의 6세손 일우(逸愚) 류상조(柳相祚, 1763~1831)가 병조판서를 지내고 정간(貞簡)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학서(鶴棲) 류이좌(柳台佐, 1763~1837)가 이조참판, 류지영(柳芝榮, 1828~1896)이 안동부사를 지내는 등 많은 이들이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류성룡의 10세손 회은(晦隱) 류도발(柳道發, 1822~1910)은 경술국치의 비분을 이기지 못해 식음을 끊어 순절하였다.

풍산류씨하회에 터를 잡은 이래 문과 급제자 22명, 무과급제자 5명, 사마시합격자 70명 등 많은 명신과 선비를 배출하며 명문거족으로 대를 이어 살고 있다. 지역에서는 세거지 이름을 따서 ‘하회류씨(河回柳氏)’라는 별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현황]

류경심의 후손은 참판공파로 분파하여 풍천면 하회리에 거주하고 있으며, 류자온의 셋째 류공석(柳公奭)의 아들 류중청(柳仲淸)의 후손은 모하당파(慕河堂派)로, 넷째 류공계(柳公季)의 아들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의 후손은 파산파(巴山派)로 분파하여 풍천면 광덕리 일원에 살고 있다.

[관련유적]

서후면 성곡리 능골에 류중영의 묘소와 신도비 재사가 있고, 풍천면 하회리 일원에 류운룡류성룡의 종택와 불천위 사당, 류운룡을 제향한 화천서원(花川書院), 류성룡을 모신 병산서원(屛山書院), 북촌댁(北村宅), 남촌댁(南村宅), 주일재(主一齋) 등 고택, 겸암정사, 옥연정사(玉淵精舍), 상봉정(翔鳳亭), 파산정(巴山亭) 등이 있다. 이들을 포함한 수많은 유적과 유물을 비롯하여 하회류씨 500년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안동 하회마을 전체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4.08 [입향경위] 수정 <변경 전> 맏아들 류공탁(柳公綽)은 간성군수를 지냈고, 류공탁의 아들/문과 급제자 20명, 생원 진사시 합격자 35명 <변경 후> 맏아들 류공작(柳公綽)은 간성군수를 지냈고, 류공작의 아들/문과 급제자 22명, 무과급제자 5명, 사마시합격자 70명
2014.04.07 오류 내용 및 관련 시청각 추가 * 오류 내용 수정 <변경 전> 류절의 7세손 류종혜가/류중영의 아들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 1539~1601)/『겸암문집(謙菴文集)』/겸암정사(謙庵精舍)/류규(柳奎)/류상조(柳相祖, 1763~1831)/류공계(柳公系) <변경 후> 류절의 6세손 류종혜가/류중영의 아들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겸암문집(謙菴文集)』/겸암정사(謙菴精舍)/류규(柳氵+奎)/류상조(柳相祚, 1763~1831)/류공계(柳公季) * 관련시청각 추가: GC024P0152(충효당 입구), GC024P9222(양진당) * 대표시청각 교체: GC024P2957(하회 풍산류씨 작천댁)을 GC024P0152(충효당 입구)으로 교체
이용자 의견
류** 삼산이주, 즉 서산, 선산, 풍산, 진주, 전주류씨는 문화류씨에서 분파되었습니다. 류지홍님의 의견과 같습니다. 2015.02.21
류** 문화류씨 시조인 고려개국 공신 10세손에서
7세 류공권의 손자 류순(9세)의 7남중
2남에서 하정공 류관(13세 세종기 선초삼청)
3남 문산군 류자성에서 풍산 류씨(14세류절)
4남서령부원군 류성간후손이 서산류씨,
5남선산부원군 류원비 후손이 선산류씨
6남전성군 류양재 후손이 전주류씨
등으로 엄밀히는 모두 문화류씨 분파입니다
고려말10세때 분파된것입니다
2015.02.16
류** 풍산(하회) 류씨, 선사류씨, 전주류씨,진주류씨,서산류씨는
모두 고려초 왕건기 개국공신인 대승공 류차달(류해)를 시조로 하는 문화류씨의 10세때 분파한
성씨 입니다.
고려 후기 대승공 7세류공권의 4세즉 증손들이 분파된것입니다.
9세 류순 밀직사에 7명의 아들중

류성비후손들은문화류씨
문산군 류자성의 후손들이 풍산류씨로
10세손에서 분파됨
2015.02.16
류** 몇대손인지 궁금해새 글남게습니다
할아버지성함은 류봉석5
아버지성함은 류덕수
저의성함은 류영철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은 풍산류씨종친회(02-2299-4567)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4.07.07
류** 안녕하십니까 저는풍산류씨구요
몇대손인지궁금해서 그래요
할아버지성함은 류봉석
아버지성함은 류덕수
저의이름은 류영철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은 풍산류씨종친회(02-2299-4567)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4.07.07
류** 몇대손인지 좀알려주세용
저는풍산류씨고요
할아버지성함은 류봉석 아버지성함은 류덕수 그리고 저는 류영철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은 풍산류씨종친회(02-2299-4567)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4.07.07
대***** 관리자님, 너무 수고가 많습니다. 이렇게 바로 바로 수정을 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추가로 '謙菴精舍'를 '謙嵓精舍'로 수정을 부탁드립니다.
하회마을 사진은 제가 정리하는데로 이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겸암정사는 겸암(謙菴) 유운룡(1539∼1601) 선생이 학문 연구와 제자를 가르치기 위해 세운 것으로 문화재청에서 발표한 공식명칭이 중요민속문화재 제89호 하회겸암정사(河回謙菴精舍)이고, 다른 사전에도 謙菴精舍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근거 자료 없이는 수정이 불가합니다. 근거자료 보내주시면 바로 수정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4.10
대* 연원에서 '류절의 7세손'을 6세손으로, 류공탁(柳公綽)을 '류공작'으로, 문과급제자 22명, 무과급제자 5명, 사마시합격자 70명으로 수정하시면 좋겠습니다.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미처 수정해드리지 못한 부분 다시 수정 요청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4.07
관** 반영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1.10.31
류** 임진왜란 전투 사상 가장 비참한 죽음을 당한 사람이다.

류종개(柳宗介) : 본(本) 풍산(豊山) 권옹(倦翁) 빈(贇)의 아들. 사마에 합격하고 을유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성품은 강직하며 주역을 읽고, 병서를 검토하는 것을 즐겼다. 임진년(1592)에 바야흐로 상제가 되어 여묘를 살다가 임금님의 수레가 서쪽으로 파천하셨다는 소문을 듣고, 탄식하여 말하기를 “자식이 되어서 효도를 위하여 죽고, 선비가 신하가 되어서 충성을 하다가 죽는 것이 직무상의 본분이다”하고 창의하여 동지를 규합하고, 칼날을 무릅쓰고, 적에 대항하다가 해를 입었다. 선조조에 참의에 증직되고,문계서원에 배향되었으며 광해조에 정문이 내려지고 사당을 세웠다.
묘소는 봉화군 상운면 문촌리 마장평동록에 있다
2011.07.20
류** ◈류종개(1558∼1592)
류종개는 임진왜란때의 충신이다.
선조 18년(1585)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과 성균과 전적의 관직 생활을 하다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고향에 돌아와 있을 때 일본에서 대병을 이끌고 고니시 등이 우리나라를 쳐들어왔다.
의병 600여명의 대장이 되어 소천면 화장산 전피현에서 왜군 선발대는 섬멸(殲滅)하고 본진 3000 명과 싸우다가 의병이 전멸되었는데 금산의 700의총 다음 가는 큰 전쟁터였다.
불행하게도 대장 류종개는 왜군에게 사로 잡혔고, 간악한 병사들은 칼날을 세워 머리끝 정수리에서부터 하나하나 살가죽을 벗기니 피는 온몸을 감싸다 못해 땅바닥에 떨어져 고였고 지조 높은 선비라 왜군에게 도리어 소리치며 항의를 하였다.
하나 조금도 관계치 않고 얼굴 전체가 벗겨지고 몸통으로 칼이 내려올 때 쓰러졌다. 왜군들은 더 간악을 쓰면서 무참히 쓰러진 피투성이를 발끝까지 살갗을 벗겨 자기들의 가방에 넣어 가져갔다.
임진왜란 전투 사상 가장 비
2011.07.20
류** *****4*****
류빈의 셋째아들 류종개(柳宗介,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계유(季裕). 아버지는 류빈(柳贇)이다. 안동시 예안면에서 태어났다.
류종개(柳宗介, 1558~1592)는 1579년(선조 12)에 진사가 되었고, 훈도로서 1585년(선조 18) 26세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교서관정자가 된 뒤 성균관전적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와 있던 중 1592년 임진왜란을 당하였다. 이때 사족(士族)들이 적에게 대항하지 않고 피난하자, 류종개는 홀로 향병(鄕兵) 수백 명을 모아 고을을 지키고 있었다. 함경도 지역에서 태백산맥을 타고 퇴각하던 왜적과 맞서 싸우던 류종개는 봉화 소천(小川)의 전피현(箭皮峴) 싸움에서 전사하였는데, 이 소식을 전해들은 향리 사족들이 들고 일어나 영남 일대의 왜적을 격퇴하였다.
예조참의에 증직되고 정려(旌閭)가 내려졌으며, 봉화군에 있는 경현사우(景賢祠宇)와 문계서원(文溪書院)에 제향되었다.
[묘소]묘소는 봉화군 상운면 문촌리
2011.07.20
류** *****3*****
저술 및 작품]저서로는 문집인 『권옹집(倦翁集)』·『성리대전(性理大典)』·『시서역전대전(詩書易典大典)』·『대전절요』 등이 있다. 역학에도 밝아 『역도오십이본(易圖五十二本)』을 지었는데, 그의 역학 이론은 하도(河圖)를 체(體)로 삼고 낙서(洛書)를 용(用)으로 삼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는 마곡서원과
하회 낙고사에 배향되었다.
2011.07.20
류** ******1*******
입향경위]류종혜는 친구인 배상공(裵尙恭)과 함께 산수가 아름다운 하회촌으로 이거하였다. 이후 배상공의 아들 배소(裵素)의 사위 권옹(權雍)이 이어서 살게 되고 류종혜의 손자 류소(柳沼)가 권옹의 사위가 되어 다시 하회촌으로 복귀한 이래로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류소의 큰아들 류자형(柳子泂)의 후손은 자형의 아들 류공지(柳公智)가 예안 서촌에 살던 영양김씨(英陽金氏)의 사위가 되면서 예안으로 이거하였으나 현황은 알 수 없다.~~~~~~~~~
공지의 둘째아들 류빈(柳贇, 1520~1591)은 1554년(명종 9) 생원초시에 합격하였고, 1561년(명종 16)에는 진사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오직 독서와 수양에만 전념하였다. 또한, 성리대전(性理大全)과 경전(經傳)의 요점을 뽑아 『대전절요(大全節要)』를 만들어 퇴계 이황(李滉)에게 질의하였다.
2011.07.20
류** *****2*******
류빈의 저술 중 논 부문에 균전제(均田制)와 반작록(班爵錄), 군사은농(軍師隱農) 등의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재교(李在敎)가 쓴 행장에 “근세의 정치인들이 농지 자유화에만 힘쓰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방이 편협하므로 정전제도(井田制度)를 갑자기 고치기는 힘드나 균전법(均田法)은 행할 수 있다는 주장을 국가에서 채용하지 않은 것이 애석하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시무에도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2011.07.2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