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근시재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024
한자 近始齋集
영어음역 Geunsijaejip
영어의미역 Geumsijae Garland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명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시문집|별집
관련인물 김해(金垓, 1555~1593)|김석윤(金錫胤)
저자 김해
편자 김석윤
간행자 김돈(金墪)|김영(金瑩)
저술연도/일시 1593년연표보기
편찬연도/일시 1708년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783년연표보기
권수 4권
책수 2책
가로 30.8㎝
세로 19.8㎝
표제 近始齋先生文集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관악로 1]|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 60-1[반포대로 201]|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20[퇴계로 1997]

[정의]

1783년 간행된 조선 중기 문신 김해의 문집.

[개설]

근시재 김해(金垓, 1555~1593)이황의 문인인 김부의(金富儀, 1525~1582)의 아들로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다. 1588년에 사마시에, 1589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합격하였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이 일어나고, 사국(史局)에서 사초(史草)를 태운 사건에 연루되어 면직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영남 의병대장에 추대되었다. 안동·군위·상주 등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고, 경주의 진중에서 병사하였다.

[편찬/발간경위]

『근시재집』김해의 증손 김석윤(金錫胤)이 이보(李簠)의 발문과 조덕린(趙德鄰)의 서문을 받아 1708년 1책으로 수집·편차해 놓은 것을 1783년 후손인 김돈(金墪)과 김영(金瑩) 등이 주축이 되어 4권 2책으로 재편한 한편, 정범조(丁範祖)의 발문을 받아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근시재집』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783년 간행된 초본으로 한국국학진흥원 소장본이다.

[형태]

4권 2책의 목활자본으로 권수제는 근시재집(近始齋集), 판심제는 근시재선생문집(近始齋先生文集)이다. 어미는 상하화문어미(上下花紋魚尾)로 크기는 가로 30.8㎝, 세로 19.8㎝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19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근시재집』은 권두에 조덕린의 서문, 권말에 정범조이보의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 이은 권1에는 사(辭) 3편과 시 107수가 있고, 권2와 권3 전반부에는 남치리(南致利)와 예에 관하여 논의한 편지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조목(趙穆), 종숙부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 김성일(金誠一), 김기(金圻)에게 보낸 서한이 있다. 또한 권우(權宇)에게 중국의 이학(理學)에 관한 견해, 존양함양(存養涵養)에 과한 자신의 견해, 남치리의 묘갈에 대한 상의, 출처(出處)에 관한 견해, 시묘(侍墓)에 관한 견해를 피력한 서한이 있다.

이외에도 곽정보(郭精甫)에게 보낸 여러 편의 서한이 보인다. 권3의 뒷부분 잡저(雜著)는 설(說) 1편, 변(辨) 1편, 제후(題後) 1편, 제문 2편, 표(表) 1편, 전(箋) 1편, 계 1편, 유사(遺事) 2편, 묘지(墓誌)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에는 「의태학생등청철거제도사찰전(擬太學生等請撤去諸道寺刹箋)」, 유사에는 「선고성균생원부군유사(先考成均生員府君遺事)」, 「백고성균생원부군유사(伯考成均生員府君遺事)」, 묘지에는 「백고성균생원부군묘지(伯考成均生員府君墓誌)」, 「단인광주김씨묘지명(端人光州金氏墓誌銘)」이 있다. 권4는 부록으로 이상정(李象靖)의 행장, 채제공(蔡濟恭)의 묘갈, 이현일(李玄逸)의 묘지, 아들 김광계(金光繼)의 가장, 김기(金圻)의 전(傳) 등이 있다. 또 월천 조목을 비롯한 여러 사람의 제문, 만사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근시재집』은 저자 김해의 자세한 이력과 임진왜란 시기 안동 지역의 의병활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