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915
한자 禮安鄕校
영어음역 Yean Hyanggyo
영어의미역 Yean County School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퇴계로 2020-13]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8월 31일연표보기 - 예안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예안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향교|지방교육기관
건립시기/일시 1415년연표보기
정면칸수 대성전 3칸|명륜당 3칸
측면칸수 대성전 3칸|명륜당 2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퇴계로 2020-13]지도보기
소유자 경상북도 향교재단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에 있는 조선 전기 지방 교육 기관.

[개설]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서 국가에서 세운 교육 기관이다. 조선시대의 향교는 나라로부터 노비, 토지, 서책 등을 지급받고 교관이 파견되어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나, 1894년 갑오개혁 이후로는 신식 학제가 실시됨에 따라 교육의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거행하는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군마다 하나의 향교를 두었는데, 예안향교는 1415년(태종 15) 예안군에 설치하였던 향교이다. 1601년(선조 34)에 고쳤고, 1745년(영조 21)에 크게 수리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사·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형태]

건물로는 명륜당, 동재·서재, 대성전(大聖殿)과 내삼문(內三門), 그리고 여러 부속 건물이 남아 있다. 대성전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대성전은 앞면이 개방된 전퇴형이며, 특히 기둥의 종량(宗樑) 위의 아이자형 솟을대공은 부석사(浮石寺)의 무량수전, 은혜사의 거조암 등 조선 전기 건축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는 형식이다.

같은 시기로 추정되는 오천동의 후조당(後彫堂)안동향교(安東鄕校)의 명륜당에도 같은 모양의 대공이 있어 그 연대나 지역적인 인접 관계 등을 고려하여 참고할 수 있다. 명륜당은 강학하던 장소로 사용되었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대부분의 향교는 명륜당과 대성전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는데, 예안향교는 명륜당이 왼쪽에 비켜서 있는 점이 특이하다.

[현황]

제향(祭享)은 2월 춘추절(春秋節)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받들고 있다. 예안향교에 소장되어 있던 교안(校案), 향안(鄕案) 등의 자료는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 보관되고 있다. 예안향교는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경상북도 향교재단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개 명륜당과 대성전은 앞뒤에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보통인데 예안향교에서는 명륜당이 왼쪽에 비켜서 있는 점이 특이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