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819
한자 孫洪亮遺墟碑
영어공식명칭 Stele of Son Hongryang
영어음역 Sonhongnyang Yuheobi
이칭/별칭 정평공손홍량유허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 267-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5년 8월 5일연표보기 - 손홍량유허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손홍량유허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성격 비|유허비
건립시기/일시 1748년연표보기
관련인물 손홍량(孫洪亮, 1287~1379)|조현명(趙顯命)|서명균(徐命均)|권서(權紓)|손병두(孫炳斗)|이수걸(李秀杰)
재질 석배
높이 2.3m
너비 60㎝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 267-1 지도보기
소유자 손인철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비.

[개설]

손홍량은 호는 죽석(竹石)이고,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시호는 정평(靖平)으로 일직손씨의 중시조이다. 고려 충선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1349년(충정왕 1) 추성보절좌리공신이 되고 판삼사사에 올랐으며,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의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왕에게서 ‘일직(一直)한 사람’이란 칭찬과 함께 궤장(机杖)과 초상(肖像)을 하사받았다.

[건립경위]

1748년(영조 24) 안동 사림이 발기하여 고려 명신인 손홍량(1287~1379)의 유허(遺墟)에 건립하였다.

[위치]

손홍량유허비일직면 송리1리 마을 어귀의 도로변에 인접한 마을회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형태]

크기는 높이 2.3m이고, 너비 60㎝이다. 귀부(龜趺)로 된 좌대(座臺) 위에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를 얹은 구조이다. 비각은 단칸 기와집이다.

[금석문]

비문은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 조현명(趙顯命)이 짓고, 글씨는 영조 때 좌의정 서명균(徐命均)이 제액(題額)을 썼으며, 생원 권서(權紓)가 비문을 썼다. 비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고려 좌리공신 삼중대광 판삼사사 직성군 시정평손공 홍량유허비 좌의정 서명균(徐命均)이 쓰다. 숭정(崇禎) 재갑자(再甲子) 9월일 세우다. 공의 휘(諱)는 홍량(洪亮)이니 복주(福州) 타양현(陀陽縣) 사람이다. 복주는 지금의 안동부(安東府)이다. 본성은 순(荀)이요, 시조 간(幹)은 신라의 왕을 따라 일직군(一直郡)에 갔다가 일직 사람이 되었다. 그 후 고려 현종의 이름자와 음이 같다 하여 성을 손씨로 할 것을 나라에서 명하였다.

증조인 세경(世卿)은 상의직장이고, 조부 연(衍)은 전객령이며, 부는 방(滂)인데 합문지후로 금자광록대부 문하평리상호군에 추증되었고, 모는 안동조씨로 밀직전사(密直殿使) 상호군(上護軍) 송(松)의 따님이다. 충렬왕 정해년(1287)에 공이 일직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는 장대하면서 영리하였고 장성해서는 더욱 꿋꿋하면서 자상하여 세상을 경영할 청운의 뜻을 품었다.

충선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서 충숙왕·충혜왕·충목왕을 섬겼다. 충목왕 때 상공(相公)에 임명되어 충성을 다하여 정무를 처리함에 너그러움을 기본으로 했기에 대신의 체통을 지켰다. 충정왕 신묘년(1351)에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인 영가(永嘉, 안동)에 돌아갔음은 산수의 낙을 따른 것이다. 그때의 연령이 60세를 넘으셨다. 공민왕 임인년(1362)에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공민왕께서 복주에 피난을 가셨다. 이때에 공이 평상복으로 길가에 나가 알현하였더니 왕은 반갑게 가상히 여겼다.

갑진년(1364)에 공이 도성에 가서 국왕께 평난(平亂)을 하례드렸다. 왕께서 즐겁게 하례를 받으신 다음 사례로 공의 초상을 그려서 안석(案席)과 지팡이를 함께 내리시고 두 아들 득수(得壽)·득령(得齡)에게 명하여 부축하여 대궐문을 나가게 하니 이 모두가 유례없는 특전이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날에는 조정 백관들이 전송을 하였으며 특히 명망 높은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초은(樵隱) 같은 분들은 공을 위하여 시를 지어 세상에 알렸다.

신우(辛禑·禑王) 5년 기미년(1379) 7월에 공이 돌아가시니 나이 93세였고, 관직은 추성보절 좌리공신 삼중대광 판삼사사 상호군(推誠保節 佐理功臣 三重大匡 判三司事 上護軍)으로 직성군(直城君)에 봉했으며 시호를 정평(靖平)이라 받으셨다. 공은 높은 덕망과 거룩한 공훈을 세우고 육조에 걸쳐 중추가 되는 명신이요, 고령의 향수를 누리셨다.

본가에 소장된 문헌이 전하지 못하였고 동사(東史)에 기록된 사덕이 대략 이와 같았다. 공의 배위(配位)는 타양군부인(陀陽郡夫人) 양성이씨(陽城李氏)로 개성부윤 정(挺)의 따님이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셨는데, 장남은 득수니 관이 밀직대언이고, 차남 득령은 관이 전서이다. 두 따님은 흥해군(興海君)배전(裴詮)과 통례문전사인 김오(金悟)에게 출가하였다. 내외 자손 중에 명현(名賢)들이 많이 배출되었으니 모두 다 기록할 수 없다.

공의 초상은 병란 중에 잃어버리고 공의 유지(遺址)만이 일직 송동(松洞)에 남아 있음을 알았다. 사림들이 공을 추모하는 마음이 무궁하도록 간절하여 비를 세워 기념하고자 한다. 아! 공이 늙어서 고향으로 돌아간 지 12년 만에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고, 공이 세상을 떠나신 지 14년이 되던 해에 고려의 운명이 끝나게 되었다. 공이 재직하고 퇴직하는 것과 생존하고 별세하는 데 따라 국가의 안위가 좌우될 만큼 영향이 컸음을 알 수 있도다.

무릇 공의 연세가 퇴직할 만큼 고령이 되지 않은 때에 관직에서 물러났음은 혹시 나라 운이 기울어질 조짐을 먼저 아셨던가. 또한 오래 사심을 알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목은 이색 등 제현(諸賢)보다 먼저 일신(一身)을 감추어 명과 몸을 보전한 것일까?

『시전(詩傳)』에 말하기를 ‘슬기롭고 사리에 밝아서 그 신명(身命)을 보전한다.’라고 하였다. 또 말하기를 ‘현명하고 착한 군자는 올바른 판단에 힘썼도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공을 두고 말한 것이다.

수충갈성분무공신(輸忠竭誠奮武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우의정겸영경연사감춘추관사 풍원부원군 조현명이 글을 짓고, 생원 영가(永嘉) 권서가 쓰고, 두연씨(斗淵氏)가 동엽(東燁)으로 하여금 족후손(族後孫) 병두(炳斗)에게 유래를 쓰게 하고 이어서 음기(陰記)를 잇게 했다. 외손 진성(眞城) 이수걸(李秀杰)이 삼가 쓰다. 무자년 3월일 다시 세우다.”

(靖平公孫洪亮遺墟碑 前面大字 高麗佐理功臣三重大匡判三司事直城君諡靖平孫公洪亮遺墟碑 左議政 徐命均 書 崇禎 再甲子 九月 日 立 碑文 公諱洪亮福州陀陽縣人福州今之安東府也本姓荀始祖幹奉新羅王次一直郡遂爲一直人後避高麗顯宗諱賜姓孫氏曾祖世卿尙衣直長同正祖衍典客令父滂閤門祗侯贈金紫光祿大夫門下評理上護軍母安東曺氏密直殿使上護軍松之女忠烈王丁亥公生于一直里第幼雋穎長益雄偉慨然有經世之志忠宣朝登第歷事忠肅忠惠至忠穆王時拜相公忠藎盡節爲政務寬大得大臣體忠定王辛卯致仕歸永嘉從山水之樂時年六十餘恭愍王壬寅紅巾賊亂作王奔福州公以野服迎於道王嘉之甲辰公入都賀平亂王喜手寫公眞屛几杖以賜命二子扶掖出端門皆異思也及歸傾朝出餞一時名碩如牧隱樵隱諸公爲詩文以長大之辛禑五年己未七月公卒年九十三官至推誠保節佐理功臣三重大匡判三司事上護軍直城君贈諡靖平公公以令德崇勳爲六朝元臣享大耋以終顧家藏文獻不傳其見於東史者大略如此也公配沱陽郡夫人陽城李氏開城尹挺之女生二男二女得壽密直代言得齡典書女適興海君裴詮通禮門殿使金悟內外子孫多名賢不可盡書也公之眞佚於兵火獨公遺址在一直松洞者尙可指認也士林想慕公無窮將樹石以表之嗚乎公告老歸十二年而有紅賊之變公沒十四年而麗運訖公之進退存沒關國家治亂興亡善可見矣抑公年未至而退若有以見於幾先者而又能以壽考先圃牧諸賢以沒身與名俱全詩云旣明且哲以保其身又曰愷悌君子神明所勞公之謂也 輸忠竭誠奮武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事 豊原府院君趙顯命記 生員永嘉權紓書命刻之曰斗淵氏使東燁來責族後孫炳斗以識其由係之陰記 後外裔眞城李秀杰謹書 戊子 三月 日改立)

[현황]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주변은 관리가 잘되어 비교적 깨끗하게 보존되고 있으며, 시멘트 담을 설치하여 보호하고 있다. 유허비에서 약 450m 떨어진 곳에 보물 제57호인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4.24 시조를 중시조로 교정 일직손씨의 시조는 손응임. 손홍량은 중시조임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