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710
한자 李賢輔宗家文籍
영어공식명칭 Old Documents in the Collection of Eldest Descendants of Yi Hyeonbo
영어음역 Nongamyihyeonbo Jongsonga Sojang Munjeok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20[퇴계로 1997]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4년 7월 29일연표보기 - 이현보 종가 문적 보물 제120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현보 종가 문적 보물 재지정
성격 고문서|문적류
관련인물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이파(李坡, 1434~1486)|이문량(李文樑, 1498~1581)|김안국(金安國, 1478~1543)|이숙량(李叔樑, 1519~1592)|남세건(南世健)
저자 이현보(李賢輔, 1467~1555)|김안국(金安國, 1478~1543)|이숙량(李叔樑, 1519~1592)
저술연도/일시 조선 전기|조선 중기
책수 교지류 23점|전적 7종 8책|회화 1점
사용활자 갑인자
소장처 한국국학진흥원
소장처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20[퇴계로 1997]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고문서와 전적.

[개설]

이현보 종가 문적은 원래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종손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던 조선 전기와 중기의 고문서와 전적류, 회화류 등으로 2004년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되었다. 이현보 종가 문적 중 1994년 7월 29일에 보물 제1202호로 지정된 문적은 교지류(敎旨類) 23점, 전적(典籍) 7종 8책, 그리고 회화(繪畫) 1점이다. 이현보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창시자로서 「농암가(聾巖歌)」·「춘면곡(春眠曲)」·「어부사(漁父詞)」 등의 문학작품을 남겼다. 저서로 『농암집(聾巖集)』이 전한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구성/내용]

이현보 종가 문적 중 고문서류인 교지는 총 23매로, 1498년(연산군 4)~1560년(명종 15) 사이의 것으로 이현보(14매), 이파(1매), 이문량(8매)과 관련된 교지들이다. 전적류로는 『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으로 모두 2책으로 되어 있다. 한 책은 당시 명사들의 친필로 쓴 시를 모아 하나의 첩으로 만든 것이고, 『애일당구경별록(愛日堂具慶別錄)』은 「생일가」를 포함한 국문 가사 등 이현보의 작품과 행적을 별도로 모아 편성한 것이다. 또한 회화류인 『은대계회도(銀臺契會圖)』는 이현보가 동부승지로 재직시 승정원 관원 10명과 계모임하는 모습을 그렸다.

○ 교지류 23점 : 1498년 이현보의 문과 홍패(紅牌)를 위시하여 1560년까지의 증조 이파(李坡) 및 아들 이문량(李文樑)이 받은 각종 임명장 등이다.

○ 『애일당구경첩』2책 : 1508년(중종 3)에서 1526년(중종 21)까지 김안국(金安國)을 위시한 여러 유학자들이 이현보에게 증정한 그림 및 송축시(頌祝詩)가 들어 있다.

○ 『애일당구경별록』1책 : 1519년(중종 14)에서 1551(명종 6)까지의 이현보의 「화산양로연시(花山養老宴詩)」 및 국문 가사를 모아 놓았다.

○ 『계사구로회첩(癸巳九老會帖)』1첩 : 1533년(중종 28)에 결성한 계회첩(契會帖)으로 뒷면에 『속구로회첩(續九老會帖)』이 있다.

○ 『분천강호록(汾川講好錄)』1책 : 명종 연간(1545~1567)에 이숙량(李叔樑)이 편찬하였다.

○ 『농암유고초(聾巖遺稿草)』1책 : 명종 연간(1545~1567)에 이현보의 유고를 초록하였다.

○ 『정동면례시일록(亭洞緬禮時日錄)』1책 : 18세기 후반 이현보의 묘를 이장할 당시의 일을 일기로 기록하였다.

○ 『당음비사(堂陰比事)』1책 : 갑인자(甲寅字)로 간행된 것으로 이현보가 하사 받은 책[內賜本]이다.

○ 『은대계회도』1점 : 1534년(중종 29) 이현보가 동부승지로 재직할 때 도승지 남세건(南世楗) 등 10명이 참석한 계회도이다.

[의의 및 평가]

『은대계회도』는 훼손이 심하기는 하나, 다른 계회도와는 달리 처음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계회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교지 등의 자료는 조선 전기 인사행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들로 평가되며, 전적류는 국문 가사와 국문학 연구 자료로 주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