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690
한자 安東陶山書院
영어음역 Dosan Seowon
영어의미역 Dosan Private 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도산서원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도산서원길 154]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9년 5월 31일연표보기 - 안동 도산서원 사적 제17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 도산서원 사적 재지정
성격 서원
양식 홑처마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575년(선조 8)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도산서당)|4칸(전교당)|3칸(동재·서재)|3칸(상덕사)
측면칸수 1칸(도산서당)|2칸(전교당)|1칸(동재·서재)|2칸(상덕사)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도산서원길 154]지도보기
전화 054-840-6599
홈페이지 안동 도산서원(http://www.dosanseowon.com)
소유자 안동 도산서원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원.

[개설]

안동 도산서원은 선비들이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월천(月川) 조목(趙穆, 1524~1606)을 함께 향사하면서 심신을 수양하고 학문을 연마하던 교육 시설이다. 이황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을 운영하고, 도산서당을 설립하여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전력하였다.

이황중종(中宗, 1488~1544), 명종(明宗, 1534~1567), 선조(宣祖, 1552~1608)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조목이황을 가까이에서 가장 오랫동안 모시면서 공부한 제자이다. 안동 도산서원은 1561년(명종 16) 이황이 건립한 도산서당, 농운정사와 이황이 타계한 후 문인들의 발의로 건립된 서원을 통칭한다.

[위치]

안동 도산서원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도산서원길 154]에 있다. 낙동강에서 곡구암(谷口巖)을 끼고 들어서면 영지산(靈芝山)을 배산(背山)으로 동쪽은 천연대(天淵臺)이고, 서쪽은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이다. 안동 도산서원은 아늑한 골짜기 안에서 안동호(安東湖)를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다.

[변천]

1561년(명종 16) 이황이 도산서당과 농운정사(隴雲精舍)를 건립하였다. 이황이 죽자 1574년(선조 7) 이황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결의하여 보물 제211호인 상덕사(尙德祠)란 사당을 짓고 보물 제210호인 전교당과 동재(東齋)·서재(西齋)를 지어 1575년 안동 도산서원을 완공하였다. 같은 해 선조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형태]

안동 도산서원 입구에 들어서면 동측 조금 높은 터에 담장으로 둘러싼 도산서당이 있고, 서측으로는 농운정사와 하고직사(下庫直舍)가 있다. 도산서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홑처마 맞배지붕집이다. 서당과 정사 사이로 난 통로를 따라 오르면 문인들이 세운 도산서원 체제가 시작된다.

먼저 정문인 진도문(進道門)이 있고 좌우에는 동서 광명실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면에는 강당인 전교당(典敎堂)이 있으며, 전교당의 좌측과 우측에는 서재인 박약재(博約齋)와 동재인 홍의재(弘毅齋)가 있다. 전교당 마당에서 동측으로 또 다른 담장 속에는 장판각(藏板閣)이 있고 서측으로는 주사(廚舍)인 상고직사(上庫直舍)가 있다. 전교당과 장판각 사이로 올려다보이는 높은 터 위에 상덕사가 있으며, 그 좌측에는 전사청(典祀廳)이 있다.

[현황]

안동 도산서원은 1969년 5월 31일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사적으로 재지정되었다. 이황의 유덕을 기리고 추모하는 행사인 도산서원 향사례(享祀禮)가 매년 봄가을 서원 내 상덕사에서 치러진다. 춘기향례(春期享禮)는 음력 2월 중정일(中丁日)에, 추기향례(秋期享禮)는 음력 8월 중정일에 지낸다.

[의의와 평가]

안동 도산서원이황이 생전에 후진을 양성하던 도산서당 체제와 사후에 문인들에 의해 설립된 도산서원 체제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 서원사에서 주목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