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437
한자 協東學校
영어의미역 Cooperation School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강윤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중등교육기관
설립연도/일시 1907년연표보기
폐교연도/일시 1919년연표보기
설립자 류인식

[정의]

근대 시기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교육목표]

안동 청년들을 계몽운동의 주체로 육성하기 위한 신교육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변천]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근대식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척사(斥邪) 유림의 비난을 극복하고 류인식(1865~1928), 하중환, 김후병이 학교 설립 인가를 신청하였다. 1907년 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내앞마을에 있던 가산서당(可山書堂)을 보수하여 협동학교가 설립되었다. 협동학교라는 명칭은 “나라의 지향(志向)은 동국(東國)이요, 향토의 지향은 안동이며, 면의 지향은 임동(臨東)이므로 ‘동(東)’을 택하였고, ‘협(協)’은 안동군의 동쪽에 위치한 7개면이 힘을 합쳐 설립한다.”는 뜻에서 협동(協東)이라고 하였다.

협동학교 설립 과정에서 이미 안동 유림들의 반발이 드세었으며 이후 운영 과정에서도 유림들의 비난이 끊이질 않았다. 특히 1909년에는 보수 유림들에 의해 서원을 다시 세우는 일이 도모되기도 하여 근대식 교육을 견제하고 나섰고, 이런 와중에 1910년 7월 급기야 인근 예천 지역에서 활약하던 의병(최성천이 지휘)이 협동학교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국 각지 계몽운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사건으로 신문들은 날마다 협동학교 피습사건을 보도하였고, 영남 지방 보수 유림들을 격렬히 비난하고 나섰으며, 전국 각지에서 의연금을 모집하는 등 협동학교를 돕기 위한 활동도 펼쳐졌다.

1910년 한일병합으로 국권을 상실하자 협동학교와 안동의 계몽·교육운동을 주도하던 인사들의 국외로 망명하였으며 이후 1912년 임동면 수곡동 한들에 있던 유치명의 종택으로 협동학교를 이전하였다. 1911년 3월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한데 이어 1915년 제2회 졸업생, 1916년 제3회 졸업생, 1917년 제4회 졸업생, 1918년 제5회 졸업생을 각각 배출하였다. 1919년 협동학교 학생들이 3·1운동에 참여하여 시위를 주도하자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 현재 안동독립운동기념관 내에 협동학교 교사였던 가산서당(2007년 복원)과 기념비가 있다.

[교육활동]

당시 일반적인 사립학교는 초등 교육 과정이었으나 협동학교의 정규 교육 과정은 3년제 중등과정이었으며, 본과 진학을 위한 예비과도 두었다. 재학생의 연령은 대개 20세가 넘었다. 전체 3년 과정 가운데 현재 전해지고 있는 2학년 교과 과정을 살펴보면 수신·국어·역사·지리·외국지지·한문·작문·미술·대수·지리·체조·창가·화학·생물·동물·식물·박물 등 17개 과목으로 구성되었다.

협동학교에서 채택하였던 교재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는 『대한신지지(大韓新地誌)』·『외국지리(外國地理)』·『중등생리학(中等生理學)』·『신찬물리학(新撰物理學)』·『식물학교과서』·『상업대요(商業大要)』 등이 있다. 이 밖에 양계초의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이 교재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진다.

협동학교 교사로는 김규식·김기수·김동삼·김병식·김병칠·김형식·박태훈·이관직·김진황·김철훈·김하정·김형식·류동태·류연갑·류인식·류장영·류주희·류진하·박태훈·안상덕·이강연·이경희·이관직·이종화·하중환 등이 활약하였다. 여기에다 백하 김대락은 1909년 계몽운동에 대한 인식을 바꾸면서 자신의 사랑채를 기꺼이 교사로 내놓았다.

협동학교의 교사들은 대개 내앞마을의 의성김씨, 임동한씨, 전주류씨의 사람들과 서울 신민회와 관련된 인물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협동학교에서 양성된 1세대가 다시 모교의 교사로 활동하였다. 김병칠과 류주희 등이 대표적이며 이중 류주희는 조부 류연갑, 부친 류동태를 이어 3대째 교사로 활약하였다.

학생들 대부분은 기숙사 생활을 하였고, 학교 재산이 넉넉하였기 때문에 학비 부담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임동면 수곡동 한들로 교사를 이동한 뒤에는 교실 옆에 방 3칸과 학교 밖 3칸짜리 초가를 구입하여 기숙사로 사용하였다. 5칸의 방에서, 한 방에 네 명씩 기숙하였다.

현재 여러 자료에서 협동학교 출신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64명 정도이며, 1회 졸업생 23명, 3회 졸업생 6명, 4회 졸업생 10명 정도, 5회 졸업생 16명, 강제 폐교로 졸업하지 못한 재학생 7명 등이 있다. 그렇지만 확인되지 못한 학생이 있을 것을 염두에 두면 실제 협동학교 출신자는 이보다 많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김후병" 항목에서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1.08
김** 김후병의 증손 창현입니다
김후병의 졸년도는 1954.7.20(음)입니다
2013.01.0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