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조상 위업 드높이는 일에 발 벗고 나선 김창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C030201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미영

김창현은 1936년 4월 13일(음력) 오미리 경남재에서 출생했다. 독립운동자금을 대느라 살던 집까지 팔던 집안 어른들로 인해 그는 넉넉지 못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안동고등학교 재학 시절, 안동시내 친척집에서 학교를 다니던 김창현은 주말마다 집안일을 돕기 위해 24㎞나 되는 거리를 걸어서 집으로 왔다. 그러나 일을 끝내지 못하면 2~3일씩 학교를 가지 못하는 일도 종종 있었다. 이렇듯 잦은 결석으로 인해 학업에도 지장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선생님으로부터 지적을 많이 받았다.

그러던 어느 날, 김창현은 한글날 백일장에 나가 시조 부문에서 장원을 하게 되었다. 어릴 적부터 한문을 배우고 익힐 기회가 많았던 그로서는 숨어 있는 재능을 발견한 순간이었다. 입상을 통해 주위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게 된 김창현은 학업에 정진할 수 있었으나, 집안 형편 때문에 진학을 포기하고 1957년 군 입대를 결심하였다.

힘든 군 생활을 하던 중 안타까운 소식이 연이어 도착했다.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같은 해에 돌아가신 것이다. 당시만 해도 3년상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할아버지 빈소는 작은 아버지가 지켰고, 군 제대 후 마을로 돌아온 김창현은 부친의 빈소를 지키면서 가장으로서 역할을 해야 했다. 또한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는 공무원 시험 준비로 정신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면서도 마을일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지역사회개발대와 야학활동 전개]

마음이 맞는 동네 청년들과 며칠 밤을 지새워 ‘마을 발전 방안’을 고민하던 김창현은 청년들의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동작업 계획을 세우게 된다. 많은 사람이 모여 미리 짜인 계획대로 일을 하게 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김창현은 ‘지역사회개발대’를 결성하게 된다.

15~30세 가량의 청년 100여 명이 모여 발대식을 열었고, 김창현은 자연스레 회장을 맡게 되었다. 동네 어른들도 청년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에 적극 지원을 약속하는 등 순조롭게 일이 진행되었다. 그런데 예상 밖의 난관에 부딪치게 되었는데, 군사정권 초기이던 당시 시대 여건이 문제가 되었다. 면사무소와 경찰서에서 임의적인 단체 결성에 우려를 표명하자, 김창현과 마을 청년들은 눈물을 머금고 지역사회개발대를 해체할 수밖에 없었다.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 다시 마을에 도움이 될 만한 일을 찾던 김창현은, 화수당에서 야학을 시작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김창현은 20여 명의 학생들을 모아서 밤이면 한문과 도덕을 가르치면서 기금 마련을 위해 마을 어른들을 만나기도 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조상 위업을 드높이는 일에 앞장서다]

낮에는 일하고, 밤이면 야학과 취업 준비를 하던 김창현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농업협동조합에 취업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30여 년간 일하던 농업협동조합에서 퇴직한 후 마을로 돌아온 김창현은 허백당 위토를 관리하는 대지소 유사직을 시작으로 문중조직을 재정비, 조상들의 위업을 높이는 일에 몰두하게 된다.

그러던 중 김창현은 마을 뒤 참나무 숲을 광복기념공원으로 조성하여 조상들의 얼을 기리는 동시에 길이 후손들에게 알려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김창현은 며칠 밤을 새워 「현충시설 건립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는, 도청과 시청, 보훈청의 문을 두드렸다. 그리하여 보훈청으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이 왔고, 마을 사람들과 문중 사람들로부터 격려의 말이 전해졌다.

급기야 그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2008년 10월 11일 오미광복기념공원 준공식이 열렸는데, 당초 200명 정도가 참석하리라는 예상을 깨고 8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참석했다. 마을 사람들이 십시일반 정성껏 모금을 하여 조상의 얼을 기리는 광복공원을 거뜬히 세웠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근동 사람들까지 모여들어 대성황을 이룬 것이다.

그 동안 김창현은 오미광복기념공원 조성사업 외에도 문집 번역 간행사업, 신도비 건립 모금사업, 2권의 오미마을 연구서 발간 등 오미마을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해 왔으며, 대구에 살고 있는 종손을 대신해 마을과 문중을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정보제공]

  • •  김창현(남, 1937년생, 오미리 거주)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