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제사 중에는 불천위 제사가 으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A020203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해

하회마을에서 전통적인 관혼상제 의식이 최근까지 잘 유지되고 있는 것은 다른 마을에서 흔하게 보기 어려운 불천위(不遷位) 제사 덕분일 수 있다. 불천위 제사란 일반적으로 4대조까지만 올리는 제사의 관례를 깨고 5대조, 6대조가 되어도 그 후손들이 계속해서 위패를 모셔 두고 제사를 올리는 특별한 제사를 말한다.

불천위의 자격은 학문이 탁월하고 많은 인재를 양성한 대학자나 나라의 종묘사직을 지킨 충신, 후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만큼 탁월한 행적을 남긴 사람에 한정하여 주어진다. 이런 인물의 경우 나라에서 왕이 불천위를 내려주는 경우도 있고 유림에서 추대하여 불천위로 인정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불천위 제사가 있다는 것은 가문의 최고 명예를 보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천위를 받게 되면 위패를 재실의 제일 왼쪽 자리에 고정해서 두고 대대로 제사를 올린다. 불천위가 있으면 그만큼 제사가 늘어나서 여러 모로 부담이 되고 다소 번거롭지만 집안의 영광으로 알기 때문에 정성껏 모시는 것이다.

하회마을의 류씨 문중에는 입암공(立巖公) 류중영(柳仲郢), 구촌공(龜村公) 류경심(柳景深), 파산공(巴山公) 류중암(柳仲菴), 문경공(文敬公) 류운룡(柳雲龍), 문충공(文忠公) 류성룡(柳成龍) 등 불천위가 무려 5위나 된다. 불천위로 모신 분들의 비위(妣位), 즉 부인들의 제삿날까지 더한다면 하회에서는 현재 1년에 10차례의 불천위 제사가 드는 셈이다. 이중 파산공의 불천위 제사는 하회 이웃의 광덕동에서 모시고 있는데 하회를 경유하여 찾아갈 수 있다. 하회의 인물이지만 현재 후손들이 상주에서 불천위 제사를 올리는 수암공(修菴公)은 제외했다.

불천위 제사는 제수(祭需)가 특히 다채롭고 풍성하며 제관들이 문중의 파(派)를 초월하여 두루 참여할 뿐 아니라 지역의 각 문중이나 유림(儒林)의 대표들까지 널리 참여한다는 점에서 예사 제사와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제수를 차리는 방식이나 제례의 절차는 기제사와 그리 다르지 않다.

불천위 제사는 해마다 위토(位土)에서 나오는 곡물과 경비로 제수를 장만하므로 종가에서 별도의 경제적인 부담 없이 제사를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파나 유림에서 참례하는 제관들은 사전에 제수를 마련해 보내거나 제비(祭費)를 부조하기도 한다. 서애 선생 불천위 제사 때는 독특한 제물로서 ‘종개’라고 하는 밀가루로 구운 과자를 여덟 모로 80개 차려서 쓴다. 서애 선생이 평소에 즐긴 음식이라 하여 특별히 관심을 둔 것이다.

불천위 제사든 기제사든 하회의 풍산류씨 집안에서 올리는 제사는 세 가지 독자성을 지닌다. 하나는 제사를 차릴 때 부부를 한 곳에 합하여 제사를 모시지 않고 기일마다 제각기 차려서 제사를 올린다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제수 가운데 편과 나물 등을 제외하고 어육(魚肉)은 모두 날것을 쓴다는 점이다. 다만 돼지고기만 익힌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사를 지내고 음복을 할 때에도 제수로 쓴 고기는 먹을 수 없다.

제삿밥도 특이하다. 가문에 따라서는 제삿밥 위에 나물을 골고루 얹어서 음복하는 사람이 제각기 취향에 따라 비벼 먹도록 하는데, 여기서는 큰 양푼에 밥과 나물을 섞고 간을 하여 버무린 다음에 이것을 그릇에 담아낸다. 따라서 음복상에 오른 비빈 제삿밥과 편, 과일은 먹되 제수로 쓴 반찬은 먹지 않고 종이에 싸서 집으로 가져간다. 세 번째 특징으로는 다른 문중과 달리 종부가 제관으로 참여하지 않고 종손을 비롯한 남성들만 제관으로 참여한다는 것이다.

불천위 제사의 제관으로는 문중의 일가는 물론 다른 지역 문중의 종손이나 유림 대표들이 널리 참여한다. 한 마디로 제사 중의 제사로서 문중제사이자 유림 제례인 셈이어서, 전통적인 제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하회에서 직접 불천위 제사와 문중시사에 참여하여 공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