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2350
한자 -主
영어의미역 the Tutelary Spirit of a House Site
이칭/별칭 터주신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현

[정의]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가신(家神).

[개설]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신이기에 ‘터주신’이라고도 한다. 터주는 집안의 액운을 거둬 주고 집터를 맡아서 재복(財福)을 관장하다고 믿는다. 터주가 관장하는 영역은 울타리 안이 된다. 집 건물이 들어앉아 있는 터도 물론 포함되지만 건물의 수호는 따로 성주가 관장한다. 집터의 운이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 미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즉, 터줏대감은 인간의 재수, 특히 재물의 운수를 관장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집의 뒤꼍이나 장독대 가까이에 터주를 모시는 터주가리를 만들어 둔다. 짚가리를 만들고 항아리에 쌀을 담아서 신체(神體)로 삼는다. 매년 햅쌀을 갈아 넣는데, 그냥 갈아 넣기도 하지만 무당을 불러 굿을 하면서 행하기도 한다. 이 터주가리에는 매년 행하는 고사나 굿이 있을 때 모시는 것은 물론이지만 평소에도 간단한 치성을 드리는 경우도 있다.

[대감놀이]

무당이 굿을 할 때 터줏대감이 모셔지는 거리가 있다. 이 거리에서 터주의 성격이 뚜렷이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대감놀이는 터줏대감을 모시는 거리로, 무당이 시루를 이고 술을 마시면서 집안을 돌아다닌다. 특히, 안마당과 뒤꼍을 돈다. 이는 대감신이 자기의 관장 영역을 돌아보는 것이라 한다. 이때 무당은 대감신이 강신하여 부르는 「대감 타령」이라는 노래를 부른다. 이 노래는 주로 재수를 섬겨 주자는 것으로 되어 있다.

대감놀이의 무당노래 가운데 잘 알려진 것은 ‘욕심이 많은 대감’, ‘탐심이 많은 대감’이라는 구절이다. 욕심과 탐심은 일반적으로 비난이 되는 말이기는 하여도 사실상 한국인의 재산에 대한 욕심을 반영하고 있으며, 대감신은 그 집을 위하여 남의 재산이나 돈벌이를 강조하고 있다. 안동 지역에서는 터주가리 대신에 바깥용단지를 섬기기도 한다.

[사례]

1. 임동면 고천2리의 경우

터주는 보통 지신(地神)이라고도 하는데, 집터를 맡아보며 집안의 액운을 걷어주고 재복을 주는 신이다. 고천리에서는 터줏대감이라고 한다. 그 자리는 막연하나마 집터라고 하며 신체는 없이 건궁으로 모신다. 의례 날은 다른 가정신 의례를 행할 때와 같으며 제물은 팥시루떡·밥·채소(나물)를 올린다.

2. 임하면 금소리의 경우

집터를 지켜주는 터주는 터주가리를 신체로 하여 뒤꼍에 모시는 것이 보편적이다. 금소리의 김갑용은 터주신이 마당의 터에 있다고 생각하며, 신체 없이 건궁으로 모시고 있다. 터주신에 대한 의례는 음력 정월 대보름과 설, 가을 햅쌀 날 때, 10월 고사떡을 해먹을 때 등이다. 의례 날이 되면 이른 새벽에 일어나 목욕재계를 하고, 장을 본 후 해가 질 무렵 제사를 지낸다. 제물은 밥·감주·과실·대구포 등을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