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427
한자 李光庭
영어음역 Yi Gwangjeong
이칭/별칭 천상(天祥),눌은(訥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배종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봉화군
성별
생년 1674년연표보기
몰년 1756년연표보기
본관 원주
대표관직 동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천상(天祥), 호는 눌은(訥隱). 할아버지는 이시암(李時馣)이고, 아버지는 이후룡(李後龍), 어머니는 진성이씨(眞城李氏)로 이시철(李時哲)의 딸이다. 양부는 이선룡(李先龍)이다.

[활동사항]

이광정조현명(趙顯命)이 경상도관찰사 재임 중 지방에 학문과 교화를 일으키고자 많은 선비를 뽑을 때 안동부훈도장(安東府訓都長)이 되었다. 하루는 안동부사 이보혁(李普爀)이 강론하는 자리에 왔었는데 이광정은 장횡거(張橫渠)의 「서명(西銘)」에 나오는 동족, 형제의 의리를 세심하게 설명하면서 이보혁을 매우 신랄하게 풍자하였다. 자리에 앉아 있던 문도들은 두려워 어쩔 줄 모르고 이보혁 또한 얼굴색이 변하였지만 이날 강론을 들은 자들은 모두 이광정을 칭찬하였다.

조정에서 효렴(孝廉)을 천거하라 하였을 때 조현명이 문학(文學)과 행의(行誼)가 산남(山南)의 제일이라고 천거하였다. 뒤에 김재로(金在魯)가 영백(嶺伯)으로서 조정에 들어가 또 천거하여 1735년(영조 11)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제수되었다. 그런데 이광정은 부임하자마자 역대 임명 기록부를 열람하다가 화담 서경덕(徐敬德)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이 그 자리를 사양한 사실을 알고는 “두 선생은 높은 학문으로도 부임하지 않았네/ 높은 곳에 있는 외로운 강직함은 내 얼굴을 부끄럽게 하는구나/ 내일 아침에 자리를 걸어놓고 동남쪽으로 내려가리라/ 강과 바다의 가을바람은 소매에 가득하니 춥기만 하다.”라는 절구 1수를 읊은 후에 병을 핑계로 물러났다.

1741년 갑오년 이후 새로 창설한 서원의 철폐 명령이 내려진 데 반대하여 의소(擬疏)를 지었다. 이듬해부터는 류운룡(柳雲龍)『겸암집(謙菴集)』, 이덕홍(李德弘)『간재집(艮齋集)』, 이후경(李厚慶)의 『외재집(畏齋集)』, 조임도(趙任道)의 『간송집(澗松集)』, 조종도(趙宗道)의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권벌(權橃)『충재집(冲齋集)』 등을 교감하고 서문을 지었다.

1753년 당시 재상이던 조영국(趙榮國)이광정은 문장과 학술에 중망이 있었음에도 여러 차례의 관직 제수를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을 교수한 점을 높이 평가하여 6품직 하사를 건의하여 왕의 허락을 얻었다. 1756년 봄 존호(尊號)를 올린 일로 다시 가선대부계(嘉善大夫)의 품계에 가자되고 동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같은 해 4월 봉화현(奉化縣) 법전(法田) 어은곡(漁隱谷)의 계사(溪舍)에서 향년 83세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사상]

이광정은 어려서부터 『좌전(左傳)』, 『국어(國語)』, 『한서(漢書)』, 『사기(史記)』, 굴원(屈原) 등의 문장 읽기를 좋아했는데, 나이가 든 후에는 “어릴 때 망령되게도 문장에 뜻을 두어서 잡서들을 열심히 찾아보았지만, 어디에 이르렀는지 후회만 된다.”라고 탄식하고는 마침내 찬술하는 것을 그만두고 홀로 거처하면서 육경(六經)만을 강마하였다.

『소학(小學)』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 “학문이란 부모를 섬기고 어른을 공경하는 것을 미루어서 집안과 나라에 미치는 것일 뿐이다. 『소학』 한 책이 곧 그 근원이니, 마음을 방자하게 하여 성명(性命)을 뽐내면서 말하는 것을 후학들은 마땅히 경계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눌은집(訥隱集)』이 있고, 그 밖에 『칠공자전(七公子傳)』이 따로 전한다. 문집은 이광정의 손자 이종훈(李宗勛)과 문인들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수집·편집하고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교정을 거친 후 후손 이사훈(李師勛) 등이 부록을 첨가하여 1808년(순조 8) 마침내 간행하였다.

[묘소]

묘소는 봉화현 대조산(大鳥山)에 있다.

[상훈과 추모]

행장은 문인 이상정이, 묘지명은 간옹(艮翁) 이헌경(李獻慶)이, 묘갈명은 채제공이 찬술하였다. 내성현(奈城縣, 봉화군 봉화읍 일대에 있던 옛 고을)에 있는 백록리사(栢鹿里社)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