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856
한자 安東金氏台庄齋舍
영어음역 Andonggimssi Taejangjaesa
영어의미역 Taejangjaesa Shrine of Andong Gim Clan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249[풍산태사로 3193-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천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4월 25일연표보기 - 안동김씨태장재사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김씨태장재사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성격 재사
양식 목조기와집
건립시기/일시 1750년연표보기
정면칸수 7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249[풍산태사로 3193-6]지도보기
소유자 안동김씨 종중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안동김씨 가문의 재사.

[개설]

안동김씨태장재사는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묘단을 지키고 제사를 받들기 위해 1750년(영조 26)에 건립되었다. 1653년(효종 4)에 처음 지어진 안동권씨 능동재사에 비해서는 1세기 정도 늦은 셈이다. 이 100년의 시차는 조선왕조의 가문 의식이 틀을 잡아가던 시기에서 나타나는 것이므로 다른 경우보다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가문의 재사 사이에 나타나는 시차는 두 가지 요인이 뒤섞여 작용한 탓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는, 안동권씨의 시조 묘는 실전되기는 하였지만 찾을 수 있었던 탓에 시조 묘를 수호하고 묘제를 주관하는 건물이 일찍 건립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반면에 안동김씨 시조 묘는 끝내 찾을 수 없었다. 1624년(인조 4) 결국 『여지승람(輿地勝覽)』의 “부의 서쪽, 천등산 좌측 줄기에 봉우리가 하나 있으니 태장이라고 한다”는 기록에 의거해서 여기 설단을 하고 그 아래 재사가 들어서게 된 것이지만, 이러한 차이가 아무래도 두 가문의 재사 건설 시간표를 서로 다르게 만들어 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터이다.

다른 하나는 안동권씨는 고려 때부터 크고 작은 벼슬아치를 계속 배출하며 가문의 성가를 높이 쌓아 나가고 일문의 구성원 숫자를 확장하여 나갔다. 그런 점에서 안동김씨안동권씨 만큼 초기의 성장이 비약적이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안동김씨는 조선 중기 이후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가문의 위세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가문의 성장 과정 속에서 보이는 이런 차이가 가문의 구심점인 시조 묘단 건립과 시조 묘를 수호하는 재사 건설의 시간 차로 나타났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치]

안동시 서후면에서 북쪽으로 뻗는 길이 제비원 쪽에서 봉정사로 들어오는 길과 만나는 지점 길가에 태장리가 있다. 마을 건너편, 산기슭의 한 쪽에는 신도비각이 위치한다. 길 북쪽으로 붙은 작은 실개울 위에는 시멘트 다리가 걸쳐져 있고, 그 안쪽으로는 소나무 숲이 잘 관리되고 있다.

마을 뒤쪽 그리 넓지 않은 공간이 있는데, 골짜기가 좀 넓게 벌어져 있다고 할 수 있을 따름이다. 골짜기 아래쪽, 나무 숲 사이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고, 한쪽에는 네모난 인공 연못이 있다. 그 위쪽으로 안동김씨태장재사 진입로가 뻗어 있고, 그 위쪽 산기슭에 안동김씨태장재사가 위치하고 있다. 안동김씨태장재사 위쪽에는 시조 김선평의 묘단이 위치하고 있다.

[형태]

안동김씨태장재사는 높은 석축을 쌓고, 그 위의 산기슭 경사면에는 나무와 잔디를 심어 정원 형상을 갖추었다. 그리고 그 경사면 위에 재사 건물을 세웠다. 길에서 재사 입구까지는 16계단을 두어서 산기슭의 기울기를 극복하였다. 안동김씨태장재사의 정문을 통과하여 5단 계단을 올라가면 안마당이다. 안마당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안마당 양쪽으로 이상루에 오르는 계단이 가설되어 있다. 한단의 돌계단 위에 4단의 나무계단이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상루의 안마당 쪽 들보 사이에는 커다란 북과 북채가 매달려 있다. 누마루의 안마당 쪽을 제외한 면은 안쪽에도 밖과 똑같이 8할 정도의 벽면은 창호지를 바른 격자무늬 창호로, 그 외의 2할은 위쪽으로는 백토칠, 마루바닥 쪽으로는 나무를 횡으로 부쳐 처리하였다. 백토와 흰 창호지, 갈색의 부드러운 나무 색깔 등이 어울려 밝고 따뜻한 느낌이 들게 한다.

이상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이다. 중앙의 처마 밑에는 ‘이상루(履霜樓)’라는 세 글자가 새겨진 현판이 있다. 서리를 밟으며 새벽 일찍 조상을 섬기기 위해 움직인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상루 1층 7칸 중 제4칸에는 두 쪽 대문이 가설되어 있다. 벽면들은 약 8할 정도를 나무벽으로 처리하였고, 위쪽의 나머지 부분은 백토를 발라 처리했다. 2층은 벽면의 8할 정도를 각 면마다 4쪽의 격자무늬 방문으로 처리하였고, 그 위쪽 나머지 부분은 아래층과 같이 백토를 발랐다. 안마당 쪽으로 터진 한 면만은 벽이 없이 그냥 열려 있다.

이상루 처마의 아랫면과 기왓골의 수키와 마구리도 백토를 발라 처리하였다. 나무의 목질이 갖는 탁한 색감과 백토의 흰 색깔이 어울려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으며, 오래 된 것 같지도 새로 지은 것 같지도 않은 중화된 느낌을 갖게 한다. 2층 누마루에는 밖으로 쪽마루를 돌리고 난간을 달았다. 난간은 계단이 놓여 있는 부분만을 제외하고 사방으로 돌아간다. 1층의 기둥은 8각으로 모가 나게 깎은 것이다. 주초는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원구의 형상으로 잘 깎아 놓았다.

이상루 마루 위에 서서 안마당을 향하면 왼쪽 끝은 관리사 영역이다. 관리사로부터 측문이 열리고, 그곳을 통해 재사로 들어올 수 있다. 「태장주사중건기」가 이상루 안에 현판으로 걸려 있는데, 그것을 보면 무인년에 이상루를 중건하면서 재사의 오른편에 주사 8칸을 지었다고 되어 있다. 원래 재사에 주사가 있었지만 무너져 버렸으므로 다시 자리를 옮겨 새로 지었다는 것이다.

이상루에는 현판이 많이 걸려 있다. 그 중에는 「시조태사묘이단기」도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시조묘가 실전되었으므로 『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는 옛날 태장리라는 자료와 옛 노인들이 이곳을 태사묘동이라고 전해 내려온 말에 의거하여 이 근처의 옛 유적과 풍수의 좌향을 고려해 가능성 있는 곳을 18~19개소 정하였고, 신씨 성을 가진 사람과 산송(山訟)을 벌려 태장재사 터를 획득하였다는 점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정확히 어느 것이 태사 묘소인지는 확인할 수 없어 묘단을 세워 제사를 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상루(履霜樓)에 서서 볼 때 안마당의 왼쪽은 두 칸 건물로 막혀 있다. 앞에 쪽마루와 난간을 둔 두 개의 방이 여기 있는데, 이곳에는 ‘전임실’이라는 나무쪽이 붙어 있다. 안마당의 정면 뒤쪽으로는 9칸의 건물이 일직선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당에서는 5단 계단을 통해 건물의 마루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 뜨락까지는 4단 높이이다. 계단 쪽은 섬돌이 놓여 1단이 더 높은 것이다.

안동김씨태장재사는 다른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쪽마루 밖으로 난간을 두르고 있다. 각 칸마다 방이 마련되어 있고 두 쪽의 작은 문이 달려 있다. 관리사로부터 6칸은 참제원실(參祭員室), 그 옆에는 장노실, 그 옆에는 유사실, 그 옆에는 전사청이 나란히 1 칸 씩 차지하고 있다. 이 건물의 가운데 부분 처마 밑으로는 ‘태장재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안동김씨태장재사에는 각 방마다 누가 쓰는 방인지가 표시된 나무쪽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안동권씨 능동재사와 여기 외에서는 이런 사례를 찾기 어렵다.

[현황]

1981년 4월 25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11년 현재 안동김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재사는 모두가 다 같은 것은 아니다. 작은 규모의 재사도 있고 큰 규모의 재사도 있다. 문중 전체가 모일 수밖에 없는 시조의 재사 같은 경우는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게 되니 공간이 넓게 필요할 수밖에 없고, 많은 사람들의 찬조가 가능하므로 규모 있는 건물을 갖출 재력이 모아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안동권씨 능동재사풍산류씨 숭실재 같은 경우도 그러하지만, 안동김씨태장재사는 그런 대규모 재사의 전범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어쩌면 이렇게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안동김씨태장재사 같은 것이 이러한 전범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