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839
한자 安東法興寺址七層塼塔
영어공식명칭 Seven Storied Brick Pagoda in Sinse-dong, Andong
영어음역 Andong Sinsedong Chilcheungjeontap
이칭/별칭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2년 12월 20일연표보기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국보 제1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국보 재지정
성격 탑|전탑
양식 전탑
건립시기/연도 통일신라시대
재질
높이 17m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 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안동시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전탑.

[개설]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높이 17m로 국내 최대 규모의 통일신라시대 전탑(塼塔)이다. 전탑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되나, 탑 주위로 민가와 철도가 들어서 있어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명칭에는 신세동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탑이 있는 곳은 법흥동이다.

[형태]

단층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이 올려져 있는데, 기단부의 면석은 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판석에는 팔부신중, 사천왕 등을 비롯한 신상들이 새겨져 있다. 기단 윗면은 시멘트로 덮여 있으며, 초층 탑신 밑까지 비스듬히 경사져 올라갔는데, 본래의 형태는 아니다. 본래는 초층 탑신의 밑부분에서 기단 윗면까지 수평으로 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모습은 사찰이 없어지고 그 자리에 다른 건물이 들어서는 과정에서 지반이 낮아지면서 바뀌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초층 몸체[옥신]에는 남쪽으로 문을 낸 감실이 있고, 감실 내부 천장은 사각추 모양으로 비스듬하게 조성되었는데, 네 천장 면이 만나는 중심에는 탑신 위까지 뚫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심주(心柱)를 세웠던 구멍이 있다. 감실 안에는 불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옥개석]은 벽돌로 쌓았기 때문에 계단식 형태를 띠고 있으나 지붕을 덮었던 기와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기와로 덮여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붕돌 구조상 처음부터 기와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조선시대에 중수하는 과정에서 기와를 덮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륜부는 현재 노반석만 남아 있으나 『영가지』에 금동 장식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본래 금동 상륜부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가지』에 기록된 탑의 개축 연대는 1487년(성종 18)이다.

[현황]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았을 뿐만 아니라, 탑과 3m 정도의 거리에 중앙선 철도가 지나가고 있어 진동과 소음으로 인한 붕괴가 염려된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보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다.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3.11 항목명 변경 안동 신세동 칠층전탑에서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